KCI등재후보
원발성 간세포암에 의한 폐쇄성황달 - 3 예 보고 - =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Hepatocellular Carcinoma - Report of three cases
저자
심찬섭(Chan Sup Shim) ; 김무원(Moo Won Kim) ; 조성원(Sung Won Cho) ; 송영식(Young Sik Song) ; 허경발(Kyung Bal Hur)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6
작성언어
-KDC
5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00-807(8쪽)
제공처
소장기관
Jaundice is not uncommonly found as a symptom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rticularly in the later stage due to the infiltrating hepatoma or to underlying cirrhosis. It is rare, however, for obstructive jaundice to occur initially and as a presenting symptom secondary to complete obstruction due to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extrahepatic bile duct. Recently we have had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ree case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in whom jaundice was caused by extrahepatic biliary obstruction. The patients were presented with recurrent and progressive jaundice with or without right upper abdominal pain at admission. All of the three cases had underlying liver cirrhosis with hep- atosplenomegaly on examination with abdominal ultrasonogram and liver scan. ERC was performed in first two cases and showed smooth well defined filling defect in distal common bile duct with accompanying dilatation in one case and well defined filling defect adherant to common hepatic duct in another case. At operation, no tumor was found grossly on the surface of the cirrhotic liver in all cases. The common bile duct was explorated and multiple irregularly shaped yellowish soft tissue (chicken fat) and blood clots were evacuated, These materials revealed pathologically well differenti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ll the cases. Abdominal ultrasonogram and ERC of this rare manifest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ill help to establish diagnosis before surgery. But because these methods have diagnostic limitation, it is worthwhile to explorate this lesion and any material or hemobilia from the lesion should be confirmed pathologically. Therefore the authors wish to emphasize that the physician should be aware of the presentation with obstructive jaundice including both in intraluminal and extraluminal obstruction as a mechanical complic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especially with underlying liver cirrhosi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