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상현실게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연구 = A Legal and Institutional Study on the Virtual Reality Gam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6-351(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Recently many VR contents that experience VR and provide experience are emerging with the development of display technology and graphic technology. VR and AR technologies are recognized as one of important technologies dur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lso, the market size of VR/AR are anticipated to grow up to $150 billion by 2020. The biggest application of this VR technology is entertainment industry such as video, performance, and games. And games cover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which VR is utilized. In the field of games, VR is being used very mu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R game. Also, the research of the legal issues of VR game and discussion of regulating VR game haven’t been contently prepared yet. Because VR game not only derives the issue of IP infringement of the game contents that happened in the field of previous online game, but also it derives the new pattern of the issue using the information of real world, such as privacy data of player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ame service area. Currently, the kind of law regulating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world is quite divided and fixed. But to solve the issues of the VR game cleary, this kind of separation of the law might be weaken and rely more on how close the causation and result brought by VR game related to our real world. However, If you do not enforce regulations are established through political discussions or plans to ensure legal stability. Thus, the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regulatory predictability operators be able to acqui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tensive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games, and research that can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for augmented reality games will be necessary.
더보기이 논문은 가상현실게임과 관련하여 법제도적 측면에서 몇 가지 쟁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첫째, 규범의 적용대상으로서의 가상현실 게임의 범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규범 수범자의 이해를 돕고 예측가능성의 제고에 도움을 줄 필요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가상현실 게임의 정의를 명확히 하였다. 둘째, 가상현실게임은 기존의 게임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므로 기존의 게임과는 다른 시각에서 분류하였으며, 특히, 가상현실게임에 이용되는 기기를 「관광진흥법」상의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와 구별하고자 하였다. 셋째, 가상현실게임의 등급분류 대상 여부, 보다 상세한 등급분류 기준 마련, 등급분류 세분화를 제시하였다. 넷째, 가상현실게임이 안전성 검사 대상인지 여부와 이용 시 부작용 발생 여부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가상현실게임의 설치 및 시설 기준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흠결되어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가상현실게임의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화 허용 여부를 검토하였다. 일곱째, 가상현실게임의 셧다운제 대상 여부와 셧다운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게임산업에 있어서 미래 먹거리인 가상현실게임 관련 주요 정책 과제를 체계화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비록 가상현실게임에 관한 법적ㆍ제도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융ㆍ복합적 측면이 강하여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의식과 법리적 관점에서 규범 및 법적 쟁점을 검토한다는 사실은 향후 가상현실게임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9 | 0.83 | 1.29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