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6세기 초중엽 新羅의 非干外位 운영과 及伐尺 = Silla’s Operating Non Gan(干)-Series Woewui(外位) and Geobbeolchuk(及伐尺) in the Early and Mid 6th Centu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8(32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conferred local forces on the Woewui(外位) called Kanji(干支) and Ilgeumji. Local forces, however, used autonomous titles simultaneously. Before and after the promulgating Yulrung(律令), Silla established Non Gan-series Woewui called Ilbeol(一伐)-Ilchuk(一尺)-Peail(彼日) which originated from 6-Bu(部). By maintaining Ilgeumji originated from the autonomous title near Gyeongju, Shilla simultaneously attempted to unify the hierarchy of Woewui and compromise with the local forces. In Bongpyeong-Epitaph, Geo□chuk(居尺), located in Ⅷ-16~18, was a practical assistant related to regional governance. The grade of Geo□chuk was lower than Ilgeumji.
The repositioning of Kanji just before 536 was les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Non Gan(干)-series Woewui. The integration of Ganji and Haganji(下干支) between 551 and 578 was the result of the consolidation of Gan-series Woewui. Geobbeolchuk would have been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536 and 551. At the same time, Ilgeumji(壹金知) was abolished, and Non Gan(干)-series Woewui were all organized into the titles originated from 6-Bu. Ilgeumji was replaced by Achuk(阿尺) and Geobbeolchuk.
‘Geobbeol’ meant a ‘basic’ role to assist Gan-series Woewui. In the day-to-day work, Geobbeolchuk cooperated with the commanders of Gan-series Woewui, but also took charge of tax collection and manpower mobilization. The installation of Woewui was defined as the superior law such as The state law. The principle of substitution of Geobbeolchuk was prescribed by sub-law such as The substitution law(代法). Geobbeolchuk was placed at the lowest position of Non Gan(干)-series Woewui, which was exterminat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본고는 6세기 초중엽의 신라에서 及伐尺이 설치되고 非干外位가 재편되는 과정을 재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5세기 말경 신라는 지역세력에게 干支와 일금지를 외위로 수여해 일정한 자치권을 부여하고 지방통치에 협조토록 했다. 하지만 지역세력 내에서는 자치적 위호가 혼용되었다. 도사의 파견이 확대되면서 지역세력의 위호를 외위로 일원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520년 율령반포를 전후하여 신라는 6부의 자치적 위호를 이용해 비간외위인 一伐(8), 一尺(9), 彼日(10) 등을 설치했다. 이와 함께 경주 인근의 자치적 위호에서 유래한 일금지를 유지함으로써 외위의 통일적 위계화 및 지역세력과의 일정한 타협을 꾀했다. 봉평비에서 Ⅷ-16~18의 居尺은 지방통치와 관련된 실무적 보조자에 대한 위호로 볼 수 있다. 그 위상은 일금지보다 낮았다.
비간외위의 재편은 간군외위의 변화와 연동되었다. 청제비(536) 직전 干支의 복구는 비간외위의 본격적인 재편을 동반하지 않았다. 551년 이후 578년 이전 下干支와 干支의 통합은 간군외위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급벌척은 간지의 상향분화가 시작된 단계 즉 청제비(536)부터 명활산성비(551) 사이에 외위로 편성되었을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일금지가 폐지되면서 비간외위는 6부 계통의 위호로 일원화되었고, 일금지는 아척, 급벌척 등으로 대치되었다.
‘급벌’은 간군외위를 보좌하는 하위의 ‘기초적’ 역할을 의미했다. 급벌척은 일상적인 업무에서는 간군외위의 지휘에 협조했지만, 조세 수취나 인력 동원에서는 책임자 역할도 맡았다. 급벌척을 비롯한 외위의 설치는 國法과 같은 상위법으로 규정되었다. 급벌척의 임무를 대신하는 기준은 代法과 같은 하위법으로 규정되었다. 급벌척은 비간외위의 최하급을 구성하다가 삼국통일의 완성을 전후하여 여타 외위와 함께 소멸되었다고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