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민속학술자료총서 . 405-450

    • 저자

      민속학술자료총서 우리마당 터

    • 발행사항

      서울 : 우리마당 터, 2004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80.911 판사항(4)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민속학술자료총서/ 405-450 / 우리마당 터 편.

    • 형태사항

      46v. : 圖, 表 ; 27 cm.

    • 일반주기명

      민속학술자료총서 7차.
      405, 민속총론8. - 406, 세시풍속6. - 407, 가면극9, - 408, 탈춤9. - 409, 탈놀이6. - 410, 굿7. - 411, 굿종류6.- 412, 민속극4. - 413, 민속놀이9. - 414,민속놀이종류8. - 415, 농악8. - 416, 국악총론8. - 417, 판소리6. - 418, 판소리어문105. - 419, 판소리 춘향가7. - 420, 국악악기4. - 421, 민요8. -422,민요향가2. - 423, 민요지방9. - 424, 농요6. - 425, 예.도9. - 426, 예 관혼상제8, -427, 예 상.제례8. - 428, 예 축제.제사7. - 429, 먹거리 전통음식5. - 430, 먹거리 전통차 5 - 431, 민속춤8. - 432, 민석춤 종류6. - 433, 민속공예7. - 434, 도자기4. - 435, 도자기 청백자3- 436, 문양5. - 437, 민화6. - 438, 서예3. - 439,전통복식6. - 440, 전통복식 한복4. - 441, 민속신앙5. - 442, 장승 신앙3. - 443, 무속6.- 444, 전통가옥5. - 445, 민속마을6 - 446, 풍수지리6. - 447, 한방6. - 448, 한방 침.뜸5. - 449, 한방 본초2. - 450, 전통무예8

    • 소장기관

      소장기관 펼쳐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405]----------
    • 목차
    • 1. 韓國民俗의 美 / 崔來沃 = 1
    • 2. 建國 神話의 創造 原理 / 김기호 = 11
    • 3. 太極 槪念 硏究(一) / 김병환 = 35
    • 4. 주희의 태극 개념 / 김한상 = 61
    • 5.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였다 / 우실하 = 83
    • 6. 奉使圖의 太極圖形旗(1725)에 대하여 / 金源模 = 117
    • 7. 大韓民國 國旗上의 太極圖 小考 / 崔創東 = 135
    • 8. 한민족 숲의 문화와 민족문화의 전통 / 임재해 = 175
    • 9. 한·일 여성민속의 비교연구 / 김미영 = 195
    • 10. 민속종교와 종교 / 최인학 = 223
    • 11. 민속과 유교 / 최종성 = 237
    • 12. 불교 민속의 형성과 전개 / 김용덕 = 265
    • 13. 한국도교의 기원론에 대한 검토 / 鄭在書 = 289
    • 14. 道敎와 韓國民俗 / 金洛必 = 309
    • 15. 경기도 고양군의 민속 / 趙性善 = 339
    • 16. 近畿地方의 韓國風俗과 藝能 / 張漢基 = 355
    • 17. 진도 세등리 민속의 기능과 변천 / 나승만 = 375
    • 18. 한국 민속문화의 교육적 의미와 기능 / 임재해 = 397
    • [Volume. 406]----------
    • 목차
    • 1. 24절기에 관한 연구 / 안종은 = 1
    • 2. 음력 정월의 歲時儀禮와 가정주부 / 金孝慶 = 9
    • 3. 백중과 우란분재의 발생기원에 관한 연구 / 구미래 = 35
    • 4. 세시풍속의 형성원리와 기능, 그리고 변화와 전승 / 崔明林 = 63
    • 5. 韓國의 移徙風俗 / 裴挑植 = 115
    • 6. 古朝鮮 사람들의 衣·食·住와 風俗 / 尹乃鉉 = 165
    • 7. 韓·中 歲時風俗과 歌謠의 比較 硏究 / 張正龍 = 213
    • 8. 충청도 사찰의 세시풍속 연구 / 박종암 = 219
    • 9. 장성 황룡마을 세시풍속 / 박내경 = 285
    • 10. 光州의 歲時風俗 / 林亨 = 331
    • 11. 세시풍속에 관한 주부들의 관심도 연구 / 나문숙 = 355
    • [Volume. 407]----------
    • 목차
    • 1. 韓國假面劇에 대한 美學的 硏究 / 李盤 = 1
    • 2. 五廣大·野遊 假面劇 解題 / 崔常壽 = 17
    • 3. 한국 가면극 해석의 한 시도 / 玄永學 = 43
    • 4. 우희(優戱)와 판소리·가면극의 관련양상 / 전경욱 = 61
    • 5.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의 지역적 소통 / 전경욱 = 117
    • 6. 韓國民俗假面舞의 地域的 特性 / 李美順 = 161
    • 7. 가면극의 예술적 측면에 대한 연구 활발하게 전개되야 / 전경욱 = 245
    • 8. 假面劇의 民衆的 美意識硏究를 위한 豫備的 考察 / 蔡熙完 = 259
    • 9. 官奴假面놀이를 中心으로 한 우리 나라 民俗舞踊 授業模型 硏究 / 金順姬 = 383
    • [Volume. 408]----------
    • 목차
    • 1. 陶製 탈춤인형의 造形硏究 / 李貞姙 = 1
    • 2. 朝鮮 封建制 解體期 民衆 커뮤니케이션 樣式에 관한 硏究 / 金己煥 = 43
    • 3. 康翎 탈춤 / 梁鍾承 = 87
    • 4. 남구오광대 연구 / 박기헌 = 97
    • 5. 朝鮮後期 탈춤의 출현과 그 의미 / 朴賢淑 = 109
    • 6. 판소리와 탈춤의 演行 상황에 따른 문학적 비교 / 이강엽 = 147
    • 7. 하회탈춤을 통해 본 민속 예술의 멋 / 김재석 = 179
    • 8. 전통무용의 기록과 재현에 관한 연구 / 김종해 = 191
    • 9. 목중춤의 舞踊 藝術的 效用에 대한 硏究 / 최미자 = 211
    • 10.사이코드라마와 탈춤의 과정 비교 연구 / 고원자 = 341
    • 11. 탈춤 수업이 여중생의 한국무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박선옥 = 363
    • [Volume. 409]----------
    • 목차
    • 1. 탈춤과 방송 마당놀이 / 박진태 = 1
    • 2. 傳統民俗演戱를 위한 「터」에 關한 硏究 / 朴耕立 = 15
    • 3. 영남지역 탈놀이의 표현매체와 지역성 / 박진태 = 21
    • 4. 전통 사회 지방의 산대희와 그에 따른 연희 현장들 / 손태도 = 55
    • 5. 집단 탈놀이 활동이 중삭생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표출에 미치는 영향 / 궉영미 = 91
    • 6. 민속극의 예술성 / 박진태 = 173
    • 7. 河回탈놀이의 構成과 傳承 / 金明子 = 199
    • 8. 河回別神굿 탈놀이의 形成과 構造硏究 / 朴鎭泰 = 207
    • 9. 巫俗의 측면에서 본 河回탈놀이의 成立 / 朴鎭泰 = 277
    • 10. 마산오광대의 비교연구 / 김영일 = 307
    • 11. 고성오광대 공연의 변이양상 연구 / 심상교 = 335
    • 12. 殷栗탈놀이에 나타난 춤의 硏究 / 李美英 = 369
    • [Volume. 410]----------
    • 목차
    • 1. 굿의 구조, 음악의 상징 / 이용식 = 1
    • 2. Manse paji : The Sacred Shman Song in Korea / 이용식 = 23
    • 3. 세습무의 학습 체계와 굿의 변화 / 윤동환 = 53
    • 4. 한국 굿 음악의 제례적 성격과 연희적 성격 / 이용식 = 79
    • 5. 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 홍태한 = 99
    • 6. 굿에서 만나는 삼신의 세계 / 박흥주 = 125
    • 7. 망자천도굿에서 상징하는 무복의 특성 / 김은정 = 139
    • 8. 굿판에 나타난 人間關係 形成의 敎育的 意味 / 쿠사바 싱이치 = 147
    • 9. 한국제례의식 관점에서 본 종묘제례일무와 무속굿의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신현군 = 231
    • 10. 굿 수행 과정에서 무속인의 신체체험의 민속지학적 접근 가능성 탐색 / 김윤희 = 251
    • 11. 굿의 과정에 나타난 심리적 의미 / 신경일 = 267
    • 12. 굿의 전승 환경과 연행 현장 / 이경엽 = 283
    • 13. 全北 마을춤(굿)의 現代的 繼承에 관한 硏究 / 朴洙良 = 315
    • 14. 잡색놀음 연구 Ⅰ / 이영배 = 371
    • 15. 제주도 김녕리 돗제에 나타난 돼지 공양 / 강권용 = 393
    • 16. 남이장군 대제의 의미와 변화상 연구 / 洪泰漢 = 413
    • [Volume. 411]----------
    • 목차
    • 1. 위도띠뱃굿에서 보이는 띠배의 의미 고찰 / 서종원 = 1
    • 2. 서울 강북지역 벌리도당굿과 북한산도당굿 현지조사 / 양종숭 = 33
    • 3. 남해안 별신굿 음악 현지연구 / 이용식 = 55
    • 4. 동해안 별신굿 지화 조사연구(1) / 심상교 = 129
    • 5. 순천 삼설양굿 / 순천문화원 = 149
    • 6. 여주 이포리 '三神堂굿'의 성격 / 황인완 = 159
    • 7. 서울굿 호구거리의 의미 연구 /홍태한 = 179
    • 8. 순천 씻김굿 연구 / 이경엽 = 201
    • 9. 韓國 珍島씻김굿의 舞踊美的 硏究 / 朴孝京 = 225
    • 10. 대전의 무속신앙 / 박종익 = 299
    • 11. 제주도 칠머리당 영등굿 巫歌硏究 / 김형진 = 317
    • 12. 초감제 풀이 / 진성기 = 391
    • [Volume. 412]----------
    • 목차
    • 1. 한국 민속극에 나타난 性 / 박진태 = 1
    • 2. 京劇·歌舞伎의 色彩運用과 그 意味 / 李廷植 = 21
    • 3. 한국 전통극의 종교관과 그 표현양식 연구 / 정혜원 = 53
    • 4. 민중문화운동과 마당극 / 임진택 = 115
    • 5. 신반 오광대 과장 구성의 문제 / 김승곤 = 125
    • 6. A STUDY OF THE YARYU & O-GWANGDAE MASK PLAY(1) / 최상수 = 155
    • 7. 兩班에 대한 머슴의 反抗劇 / 崔大植 = 185
    • 8. 韓國巫俗演戱硏究 / 李杜鉉 = 211
    • 9. 巫儀의 演劇的 樣相과 巫歌의 戱曲的 樣相 / 朴性錫 = 271
    • 10. 전통 연극사·전통연희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 전경옥 = 359
    • 11. 1910년대 극장 무대 위의 여성 예술인들 / 정충권 = 391
    • 12. 민속학 교육으로서의 민속극 교육 / 박진태 = 409
    • [Volume. 413]----------
    • 목차
    • 1. 향토 민속놀이의 형태 분석 연구 / 이금주 = 1
    • 2. 우리나라 傳統的 餘暇 文化 硏究 / 강인호 = 63
    • 3.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 심우성 = 81
    • 4. 농촌 傳承놀이문화 발굴·개발 연구 / 金銀子 = 87
    • 5. 우리나라 민속놀이 문화의 관광자원 개발효과에 관한 연구 / 송성인 = 93
    • 6. 傳統民俗놀이 觀覽者들의 經驗 및 意味傳達程度 分析 / 朴石熙 = 105
    • 7. 大理의 놀이문화 / 尹光鳳 = 127
    • 8. 우동리 당산제와 놀이의 특성 / 金炯珠 = 139
    • 9. 江陵端午祭의 現代的 意義 / 장주근 = 157
    • 10. 양양의 패다리 놓기 / 崔琳圭 = 165
    • 11. 화전놀이의 축제성과 문화적 의미 / 한양명 = 183
    • 12. 韓國 女性 歌舞놀이의 類型과 意味 / 韓男洙 = 207
    • 13. 『심청가』와 『봉사놀이』의 비교 연구 / 박진태 = 281
    • 14. 대동놀이와 교육, 사회화의 문제 / 한양명 = 301
    • 15. 체육적 민속놀이의 유형분류 / 홍장표 = 319
    • 16. 民俗 놀이가 體力 向上에 미치는 影響 / 尹鍾吾 = 329
    • 17. 민속놀이 생활체육 프로그램 적용이 기초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고낙원 = 367
    • 18. 傳統놀이 文化의 發達史 / 김상겸 = 381
    • 19. 민속놀이 교육의 필요성 / 李玟圭 = 401
    • [Volume. 414]----------
    • 목차
    • 1. 이천지역의 거북놀이 지도 연구 / 엄경숙 = 1
    • 2. 고싸움놀이의 體育 史的 意義 / 崔忠換 = 19
    • 3. 咸南 北靑郡 土城 官員놀이 / 田耕旭 = 33
    • 4. 전주대사습 / 유영대 = 41
    • 5. 들놀음의 놀이원리 서설 / 정상박 = 49
    • 6. 본산대놀이와 북방문화 / 전경욱 = 67
    • 7. 河回 불꽃놀이 小考 / 柳增善 = 105
    • 8. 「驅儺行」의 儺戱와 산대놀이 / 안상복 = 117
    • 9. 靈山 쇠머리대기와 靈山 줄다리기 / 李輔亨 = 145
    • 10. 양주산대에 있어서 염불놀이의 의미와 기능 / 李昶憲 = 159
    • 11. 北坪원놀이 / 金馹起 = 181
    • 12. 윷놀이의 形態論 / 郭進石 = 193
    • 13. 민속놀이 제기차기의 경기화를 위한 고찰 / 김성률 = 213
    • 14. 줄다리기의 이해 / 강현구 = 229
    • 15. 죽장 지게상여놀이 연구 / 박창원 = 271
    • 16. 占豊俗으로서의 春川 車戰과 그 놀이化의 假想的 構成 / 崔相翼 = 289
    • 17. 투전고(鬪錢考) / 유승훈 = 313
    • 18. 화전가에 나타난 화전놀이의 기능 / 김동규 = 343
    • 19. 韓·日 兩國의 民俗줄다리기에 관한 考察 / 李載喆 = 361
    • [Volume. 415]----------
    • 목차
    • 1. 남사당노래의 전승과 민속의 창조적 수용 / 이경엽 = 1
    • 2. 慶尙道地域 地神밟기 성주풀이에 대한 音樂的 硏究 / 류상일 = 23
    • 3. 慶北 南部地方農樂의 가락에 關한 硏究 / 金漢基 = 57
    • 4. 문화제 지정에 따른 '농악12차'의 성립 / 남성진 = 143
    • 5. 판굿의 음악 / 金鉉淑 = 211
    • 6. 湖南右道農樂의 構成形式에 關한 硏究 / 安惠英 = 309
    • 7. 초등 학교 교사들의 농악 수업 실태 연구 / 오상민 = 387
    • [Volume. 416]----------
    • 목차
    • 1. 한국고고음악학(韓國考古音樂學) 정립을 위한 시론(時論) / 이진원 = 1
    • 2. 「樂記」의 音樂論에 관한 考察(Ⅰ) / 李相殷 = 25
    • 3. 심성론적 측면에서 본 「악기」의 악론 / 김영욱 = 53
    • 4. 『조선왕조실록』의 문헌적 검토 / 손태룡 = 73
    • 5. 한국고대음악 연구의 검토 / 김성혜 = 99
    • 6. 조선조 악장의 통시적 의미 / 조규익 = 129
    • 7. 고대음악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 김영운 = 159
    • 8. 조선조 군례에 사용한 음악의 종류와 성격 / 이숙희 = 191
    • 9. 봉장취의 淵源과 變遷考 / 李輔亨 = 217
    • 10. 산조의 미학과 무속신앙 / 김열규 = 239
    • 11. 관악 영산회상 상령산의 선율구조 / 이기설 = 247
    • 12. 계명곡의 악곡 분석 연구 / 이정남 = 289
    • 13. 전북 향제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사 / 임미선 = 353
    • 14. 한국불교음악의 기보에 관한 고찰 / 이지선 = 391
    • [Volume. 417]----------
    • 목차
    • 1. 19세기 후반기의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 성기련 = 1
    • 2. 김창룡 명창론 / 신은주 = 49
    • 3. 백점봉(白点奉) 소리제 小考 / 이보형 = 97
    • 4. 이화중선(李花中仙)의 생애와 예술성 / 최혜진 = 111
    • 5. 판소리에 쓰이는 長短의 原拍에 關한 硏究 / 禹賢英 = 137
    • 6. 가야금 병창과 판소리 비교연구 / 田美京 = 191
    • 7. 한국적 음악극의 지형 / 백현미 = 285
    • 8. 판소리계 소설의 '화자-피화자' 접촉 / 최정락 = 299
    • 9. 판소리 담론의 고찰 / 金榮範 = 325
    • 10. 단가 소상팔경 연구 / 서인화 = 393
    • [Volume. 418]----------
    • 목차
    • 1. 판소리문학의 卑俗性攷 / 金英東 = 1
    • 2. 판소리와 說經節·淨瑠璃의 비교연구 / 요시오카 히로또 = 41
    • 3. 판소리의 제의적 특성과 구조연구 / 오세정 = 103
    • 4. 판소리 사체에 관하여 / 서종문 = 135
    • 5. 판소리 미학의 사상적 세 층위 / 허원기 = 159
    • 6. 판소리 사설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고찰 / 고광수 = 181
    • 7. 정충권, 〈판소리 사설의 연원과 변모〉의 시각과 성과 / 정병헌 = 205
    • 8. 판소리를 통한 매체언어교육론 / 정충권 = 211
    • 9. 단가의 문예장르적 성격 / 백미영 = 219
    • 10. 「益夫傳」의 서사적 특징과 그 의미 / 류준경 = 241
    • 11. 신재효 家藏本가요의 성격 연구 / 朴智善 = 271
    • 12. 〈박첨지놀이〉의 異本 硏究 / 元明洙 = 367
    • 13. 傳統音樂의 傳承과 새마을運動의 連帶性 / 染珍模 = 395
    • 14. 판소리문학 주석의 제문제 / 김진영 = 407
    • [Volume. 419]----------
    • 목차
    • 1. 문학적 층위에서 본 〈춘향가〉의 磁力 / 김석배 = 1
    • 2. 판소리사설의 민요수용양상과 연창자들의 민요수용에 대한 인식 / 한정미 = 29
    • 3. 춘향가의 배경 / 한규섭 = 49
    • 4. 춘향가 발생설화를 통해 본 춘향가의 수용양상 / 박진태 = 73
    • 5. 명창따라 창작, 개작된 사랑가 / 전경욱 = 101
    • 6. 명창 金楚香민의 春香歌 중 '이별가(離別歌)' 대목에 대한 일고찰 / 李重訓 = 113
    • 7. 송만갑제 〈춘향가〉계열의 이별대목 비교 연구 / 이명진 = 123
    • 8. 신재효본 춘향가의 은유적 표현에 대한 문화론적 연구 / 황혜진 = 149
    • 9. 李東伯 춘향가 연구 / 裵淵亨 = 167
    • 10. 이화중선과 성우향의 춘향가 비교 연구 / 金秀美 = 225
    • 11. 자료 별츈향젼이라 = 413
    • [Volume. 420]----------
    • 목차
    • 1. 한국의 악기 口音 / 이상규 = 1
    • 2. 새로운 國樂器의 調律方案 摸索 / 손태룡 = 37
    • 3. 『세종실록』 악보의 치화평 1·2·3에 대한 고찰 / 김세종 = 75
    • 4.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삼현육각 / 황미연 = 93
    • 5. 조선후기 중국악기의 수용과 正樂 문화의 성격 / 송혜진 = 115
    • 6. 『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의 차자표기 연구 / 오창명 = 131
    • 7. 도드리 연주에 대한 소고 / 김정수 = 169
    • 8. 國樂器의 改良에 關한 硏究 / 張師勛 = 191
    • 9. 민요를 통한 단소지도 방법 사례 연구 / 민미란 = 229
    • 10. 전통악기를 활용한 효율적인 국악교육 연구 / 서윤주 = 305
    • 11. 취학전 유아의 타악기를 이용한 국악수업 / 최미향 = 371
    • 12. 국악기 활용을 통한 국악가창 교육법 / 박영진 = 395
    • [Volume. 421]----------
    • 목차
    • 1. 전통민요의 자료 활용과 문화콘텐츠 / 이창식 = 1
    • 2. '아이어르는 소리'의 음악적 특징 연구 / 명현 = 31
    • 3. 소리꾼의 민요인식과 민요의 창조적 형상화 양상 / 김유희 = 73
    • 4. 언어와 민요의 운율 자질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구희산 = 95
    • 5. 鄕歌와 民謠에 나타난 淨土思想에 관만 硏究 / 박범훈 = 107
    • 6. 『신한민보』 수록 민요형 사설의 특성과 기능 / 최은숙 = 141
    • 7. 상여소리 짝소리의 가창방식, 생성조건, 분포와 변이 / 김헌선 = 165
    • 8. 고려속요의 발생에 관한 연구 / 염은열 = 189
    • 9. 民謠에 나타난 佛敎思想 / 강준철 = 213
    • 10. 〈소〉의 상징성 고찰 / 김영민 = 243
    • 11. 1930년대 신민요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수용 / 장유정 = 263
    • 12. 민요채집을 위한 器機 사용론 / 이해식 = 299
    • 13. 民謠 分類 方法論 硏究 / 김도훈 = 355
    • 14. 民謠 = 379
    • 15. 한일 민요의 상관성 분석을 위한 야마구치현 민요의 연구 / 황의종 = 389
    • [Volume. 422]----------
    • 목차
    • 1. 고전문학의 생활화에 관한 하나의 단상 / 김창원 = 1
    • 2. 三句六名에 대하여 / 박인희 = 19
    • 3. 萬葉의 노래와 鄕歌 / 金思燁 = 47
    • 4. 北朝鮮における鄕歌硏究 / 畑山康幸 = 65
    • 5. 동아시아 문학사에서의 향가의 위상 / 최귀묵 = 93
    • 6. 高麗鄕歌의 硏究 / 宋永俊 = 123
    • 7.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창원 = 153
    • 8. 歌詞 처사가와 양양가의 史的 考察 / 김창곤 = 185
    • 9. 한·중 《風入松》의 비교 시론 / 권오성 = 203
    • 10. 處容歌 硏究의 綜合的 檢討 / 金榮洙 = 219
    • 11. 〈혜성가〉의 성격과 기능 / 김혜진 = 259
    • 12. 均如傳 소재 鄕歌 관련기록의 검토 / 崔喆 = 279
    • 13. 均如傳의 鄕歌硏究 / 曺平煥 = 295
    • 14. 균여 향가의 문학사적 가치해명 / 최철 = 313
    • 15. 禱千手觀音歌에 對하여 / 琴基昌 = 333
    • 16. 〈花郎世紀〉 鄕歌의 借字表記에 대하여 / 박희숙 = 361
    • 17. 信忠說話와 怨歌 / 한미옥 = 383
    • 18. "水路夫人"條 歌謠 硏究 / 이완형 = 409
    • [Volume. 423]----------
    • 목차
    • 1. 이천시 신둔면 지역 민요의 특징 / 홍순석 = 1
    • 2. 라후레셀 마을 제천음악과 강원도 민요 / 全仁平 = 31
    • 3. 동부민요의 음악적 특징 연구 / 윤명원 = 59
    • 4. 경상북도 서사민요의 음악적 연구 / 이용식 = 81
    • 5. 부산지역 민요의 유형과 성격 / 박경수 = 117
    • 6. 동래지방의 민요 / 장관진 = 145
    • 7. 자료 : 경남 통영시 해녀 〈노젓는노래〉조사 / 이성훈 = 195
    • 8. 정읍시 북면의 구전민요 = 227
    • 9. 청순가의 수용과 의미 / 김혜정 = 253
    • 10. 금당도 민요자료 / 나승만 = 281
    • 11. 제주도 민요의 분류체계 / 변성구 = 313
    • 12. 제주 민요 歌唱者論 / 좌혜경 = 349
    • 13. 북한의 민요수용 시각과 통속민요의 문제 / 한정미 = 375
    • 14. 중국 조선족 창작가요에 대한 선율분석 / 박위철 = 393
    • 15. 한·몽 민요 비교 연구의 필요성 / 박소현 = 415
    • [Volume. 424]----------
    • 목차
    • 1. 民謠로 본 農民의 價値觀 硏究 / 尹相烈 = 1
    • 2. 白石의 풍속사적 농민시 / 서범석 = 33
    • 3. 경기도 논농사소리의 음악적 특징과 지역별 분포 / 이윤정 = 43
    • 4. 이천지역 민요조사 연구(1) / 홍순석 = 67
    • 5. 충청도 토리를 찾기 위한 시론 / 배인교 = 105
    • 6. 경기도 논농사 소리의 음악적 특징과 분포 / 김인숙 = 131
    • 7. 영남권 〈논매는소리〉의 전승양상과 사설구성의 특질 / 권오경 = 165
    • 8. 익산 삼기 농요 연구 / 柳庄暎 = 201
    • 9. 전라남도 민요의 분포와 특징 / 전지영 = 243
    • 10. 통속민요 뱃노래의 현대적 계승 / 김진우 = 267
    • 11. 〈채지가〉 연구 (Ⅰ) / 김경미 = 287
    • 12. 경기 지역 민요 토리에 관한 고찰 / 신은주 = 307
    • 13. 경북 동해안 지역 어업노동요 / 김기현 = 331
    • 14. 닻배노래에 나타난 어민 생활사 / 이윤선 = 375
    • 15. 제주도 잠수(潛嫂)들의 생활과 민요 / 韓昌勳 = 411
    • [Volume. 425]----------
    • 목차
    • 1. 「동방예의지국」의 윤리사상 / 최민홍 = 1
    • 2. 寒岡 鄭逑의 學問과 禮學思想 / 都民宰 = 27
    • 3. 三國時代의 禮俗과 儒敎思想 / 金哲埈 = 57
    • 4. 東西洋의 正義論 / 李瑞行 = 89
    • 5. 세시의식에 표현된 가족관과 사회관 / 류종목 = 117
    • 6. 부부유별(夫婦有別)의 재해석 / 정영숙 = 133
    • 7. 전통가족관의 의미와 기능 / 조희선 = 147
    • 8. 전통예학의 현대적 의미와 과제 / 한기범 = 163
    • 9. 周易의 關 / 정병석 = 187
    • 10. 〈주역〉의 군자·성인관 / 黃惠貞 = 209
    • 11. 조선 중기 鄕禮에 대한 인식의 변화 / 高英津 = 251
    • 12. 동아시아 사회에 있어서 예의 의미 / 이희재 = 293
    • 13. 연령별 전통 예절문화 인지도에 관한 연구 / 김근종 = 313
    • 14. 청소년의 예절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한정란 = 333
    • 15. 『太上感應篇』의 孝思想 硏究 / 李恭述 = 351
    • [Volume. 426]----------
    • 목차
    • 1. 儀禮와 敎育 / 송재용 = 1
    • 2. 冠禮의 절차에 내재된 의미 / 이윤정 = 39
    • 3. 韓國 傳統冠禮의 硏究 / 金相譜 = 87
    • 4. 宮中用語 및 風俗 採集報告書 / 金用淑 = 171
    • 5. 儀禮飮食의 禮法과 宮中飮食의 床차림 / 黃慧性 = 183
    • 6. 高麗時代 籍田儀禮의 도입과 운영 / 韓政洙 = 199
    • 7. 조선 왕실의 藏胎 儀式과 관련 儀軌 / 김호 = 235
    • 8. 조선조 왕세자 양육에 대한 일고찰 / 石殷朝 = 271
    • 9. 群樂과 民俗樂舞 / 尹榮玉 = 291
    • 10. [海行摠載]소재 使行錄에 반영된 일본의 通過儀禮와 사행원의 인식 / 한태문 = 301
    • 11. 巨濟島地域의 通過儀禮 / 李憲洪 = 327
    • 12. 南朝의 喪禮 硏究 / 張寅成 = 391
    • 13. 新羅法會儀式의 思想的 性格 / 鄭柄朝 = 403
    • 14. 중국의 전통적 혼인과 현대사회 결혼의 의미 / 오재환 = 417
    • [Volume. 427]----------
    • 목차
    • 1. 韓國 宗敎의 喪·葬禮에 關한 考察 / 李德辰 = 1
    • 2. 現代 殮襲師 및 葬儀(禮)社 = 141
    • 3. 葬擇紙에 나타난 朝鮮後期 葬禮風俗 / 정승모 = 167
    • 4. 韓國의 理葬文化와 火葬文化 / 김기덕 = 189
    • 5. 영광의 전경환 장례 = 217
    • 6. 진도 다시래기 = 229
    • 7. 유월장 = 235
    • 8. 전통상례복 구성에 관한 연구한 / 백영자 = 241
    • 9. 16세기 중엽 여성 殮襲衣의 일례 / 이은주 = 267
    • 10. 朱子家禮 定着化에 따른 喪服變化 硏究 / 권이순 = 285
    • 11. 朝鮮時代 江陵地方 墓地 小考 / 姜大德 = 333
    • 12. 沙溪 金長生의 喪禮에 관한 硏究 / 李昌珍 = 357
    • [Volume. 428]----------
    • 목차
    • 1. 祭禮文化에 관한 考察 / 李興燮 = 1
    • 2. 제례를 통해 본 종교적 관념의 변화 / 석대권 = 25
    • 3. 우리 전통 祭禮에 있어서의 여성의 역할 / 徐奉植 = 47
    • 4. 朝鮮前期 儒敎的 祖上祭祀 觀念과 親族關係의 展開 / 權奇奭 = 63
    • 5. 충청도 사혼제 속의 연행 인형 연구 / 허용호 = 67
    • 6. 대한제국기 환구제(환丘祭)에 관한 연구 / 이욱 = 207
    • 7. 高句麗의 國歌祭祀 / 徐永大 = 241
    • 8. 世宗時 山川壇廟의 分布와 祭儀의 變化 / 許興植 = 273
    • 9. 顯忠日의 創出過程 / 지영임 = 301
    • 10. 마을祭에 나타난 한국인의 思惟 / 任東權 = 321
    • 11. 晋州 義巖別祭의 再現行事 參觀記 / 권태욱 = 333
    • 12. 영암 군서 중앙 당산제 / 임형 = 349
    • 13. 전남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 별신제(別神祭) 조사 연구 / 나경수 = 359
    • 14. 수룡동 당제(堂祭) 조사 연구 / 이관호 = 387
    • 15. 도시와 민속의 현장 / 박환영 = 415
    • [Volume. 429]----------
    • 목차
    • 1. 朝鮮王朝後期의 宮中宴會飮食의 分析的 考察 / 尹瑞石 = 1
    • 2. 조선왕조 궁중음식 / 韓福麗 = 23
    • 3. 한국 전통민속음식의 조사발굴 연구 / 李建順 = 43
    • 4. 한국 전통 폐백음식의 이용실태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Ⅰ) / 이연정 = 49
    • 5. 전통사찰음식 / 적문스님 = 59
    • 6. 한국 전통 사찰음식의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 趙敏吾 = 67
    • 7. 충북의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 최미숙 = 189
    • 8. 충북의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기호도 조사 / 한경희 = 203
    • 9. 우리고장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소고 / 손일락 = 229
    • 10. 콩을 이용한 음식에 대한 연구 / 尹德仁 = 241
    • 11. 두부순물 첨가 동치미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 김미리 = 265
    • 12. 全州콩나물비빔밥에 關한 調査 / 張在哲 = 273
    • 13. 김천지역 향토음식에 관한 조사 연구 / 윤옥현 = 281
    • 14. 일부 지역 대중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한국 음식의 전통 조리 recipe 연구 / 허경남 = 301
    • 15. 한국 전통음식 둔화의 전승 방안 / 조후종 = 315
    • 16. 한국전통음식의 새로운 인식과 상품화에 관한 연구 / 원융희 = 327
    • 17. 한·중·일 문화비교 고찰 : 세 나라의 음식문화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何淸 = 343
    • 18. 불교의 음식문화 / 서혜경 = 397
    • [Volume. 430]----------
    • 목차
    • 1. 行茶禮度 / 魯錫經 = 1
    • 2. 한국 음다 풍속사 연구 / 이경희 = 17
    • 3. 寒齊 李穆의 「茶賦」 硏究 / 崔英成 = 89
    • 4. 朝鮮時代 女性 茶文化 / 김경자 = 117
    • 5. 韓國 飮茶空間의 歷史的 考察 / 陸仙子 = 203
    • 6. 韓國 傳統茶會의 分類 / 유순주 = 285
    • 7. 唐代 茶具에 관한 硏究 / 서미숙 = 341
    • [Volume. 431]----------
    • 목차
    • 1. 한국무용의 춤사위와 장구 반주장단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정혜란 = 1
    • 2. 八關會에서 演行된 춤 硏究 / 김효분 = 19
    • 3. 歌舞遊戱謠의 構造와 意味 / 李昌植 = 31
    • 4. 창세 무가와 생태주의 / 김욱동 = 63
    • 5. 韓國 祭儀式에 나타난 歌舞的 要素 / 김효분 = 83
    • 6. 兜率歌와 會蘇曲의 舞踊史的 意味 / 김효분 = 113
    • 7. 心韶 金千興의 춤 硏究 / 朴俊圭 = 131
    • 8. 黃眞伊 춤의 哲學的 淵源 / 金英淑 = 153
    • 9. 三國時代의 歌舞 / 徐正子 = 183
    • 10. 필사본 『화랑세기』 樂歌舞 관련 기사 / 김성혜 = 267
    • 11. 강원도 민속춤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金明奎 = 279
    • 12. 조선민족춤동작의 제 요소들과 그 특징 / 한룡길 = 365
    • 13. 우리춤과 소리를 직접 몸으로 실천하며, 세기를 완벽하게 살고 있는 산증인-심소 김천흥선생 / 이애주 = 377
    • 14. 民俗舞踊이 兒童成長發達에 있어서 情緖敎育에 미치는 影響 / 이해준 = 285
    • 15. 무용학과 전통무용의 연구과제 / 임학선 = 415
    • 16. 珍島 同族마을의 立地條件과 經濟基盤 / 李炳熙 = 311
    • 17. 濟州 城邑民俗마을의 立地와 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 羅美英 = 363
    • [Volume. 432]----------
    • 목차
    • 1. 강강술래와 일본의 전통 가무와의 비교고찰 / 곤노 게이꼬 = 1
    • 2. 서울지역의 고사염불 : 살풀이·달풀이·성주풀이 / 양종승 = 25
    • 3. 한국춤을 활용한 누리춤 개발 / 박성호 = 41
    • 4. 승전무(북춤)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분석 / 공민선 = 83
    • 5. 獅子춤에 나타난 象徵性 / 元鍾世 = 135
    • 6. 살풀이춤을 이용한 무용창작 연구 / 이미영 = 151
    • 7. 승무 춤사위에 관한 분석연구 / 정용진 = 169
    • 8. 승무의 춤사상에 관한 연구 / 백현순 = 229
    • 9. 여원무의 현장론적 연구 / 배종만 = 257
    • 10. 한국전통무용의 맥락(21) / 성경린 = 271
    • 11. 학춤에 관한 연구 / 한윤창 = 289
    • 12. 궁중학무와 동래학춤 비교 연구 / 朴辰敏 = 353
    • [Volume. 433]----------
    • 목차
    • 1. 三國時代의 裝身具에 관한 硏究 / 金賢 = 1
    • 2. 三國時代의 裝身具에 關한 硏究 / 殷英子 = 23
    • 3. 시대에 따른 장신구의 고찰 / 이영숙 = 83
    • 4. 三國時代 裝身具 디자인에 관한 硏究 / 金泰楨 = 107
    • 5. 三國時代 打出技法 硏究 / 周炅美 = 131
    • 6. 大伽倻國 裝身具의 編年과 分布 / 李漢祥 = 173
    • 7. 高句麗 時代 裝身具에 대한 硏究 / 金文子 = 203
    • 8. 百濟 裝身具에 관한 硏究 / 金賢 = 221
    • 9. 百濟金銅菩薩像의 造形性 硏究 / 趙源昌 = 239
    • 10. 高麗時代의 裝身具에 關한 硏究 / 李相禧 = 269
    • 11. 朝鮮後期 男子 裝身具에 關한 硏究 / 허정아 = 311
    • 12. 朝鮮時代 노리개 硏究 / 임시용 = 331
    • 13. 傳統 紋樣의 現代的 解釋을 통한 漆藝 作品 硏究 / 홍은옥 = 343
    • 14. 민속공예의 진수 - 종이제품 / 김삼대자 = 351
    • 15. 大明成化年鑄銘 鐵製容器 / 沈奉謹 = 357
    • 16. 韓國 篆刻 發展을 爲한 小考 / 黃昌培 = 375
    • 17. 금속 손잡이를 이용한 옥 찻잔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강선경 = 395
    • 18. 韓國傳統造形의 繼承·發展을 위한 디자인 實技 敎育方法 硏究 / 宋明燮 = 409
    • [Volume. 434]----------
    • 목차
    • 1. 기와 만들기 (Ⅰ) : 한와(漢瓦)를 중심으로 / 송재선 = 1
    • 2. 기와 만들기 (Ⅱ) : 한와(漢瓦)를 중심으로 / 송재선 = 15
    • 3. 광주 뚝뫼유적 질그릇의 재료와 구운 온도 연구 / 문희수 = 27
    • 4. 경기지역 출토 고려시대 저장·운반용 질그릇 연구 / 한혜선 = 47
    • 5. 民間信仰을 主題로 한 環境陶磁造形 硏究 / 李敬姬 = 87
    • 6. 甕器 항아리 製作에 관한 硏究 / 韓政憲 = 131
    • 7. 전통 도자기용 진사유 제조 기술에 관한 연구(Ⅰ) / 오유근 = 197
    • 8. 전통 도자기용 진사유 제조 기술에 관한 연구(Ⅱ) / 오유근 = 207
    • 9. 傳統甕器를 應用한 陶磁制 直火 調理用器 開發에 關한 硏究 / 강성곤 = 219
    • 10. 도·토기의 과학적 분석 / 姜大一 = 233
    • 11. 濟州道 新石器時代 土器의 形式과 時調區分 / 吳蓮淑 = 269
    • 12. 百濟時代 中國陶磁의 輪入과 倣製 / 김영원 = 307
    • 13. 6~7세기 신라토기 相對編年 試論 / 尹相悳 = 335
    • 14. 조선전기 도자기 수공업의 편제와 운영 / 이병희 = 375
    • 15. 한국도자기 발달사 / 尹龍二 = 413
    • [Volume. 435]----------
    • 목차
    • 1. 청차·분청사기·백사 / 강경숙 = 1
    • 2. 靑瓷의 燒成過程과 美的 鑑賞 / 鄭용豪 = 19
    • 3. 고려 청자 유약 발색에 미량 성분이 미치는 영향 / 최의석 = 27
    • 4. 고려시대 건물지 출토 청자의 산지 연구 / 강형태 = 45
    • 5. 청자(靑瓷), 고려를 보는 눈 / 장남원 = 57
    • 6. 도자기, 토기로부터 청자, 백자로 발달 / 임응극 = 67
    • 7. 高麗靑瓷의 發生에 關한 硏究 / 吉岡完祐 = 75
    • 8. 高麗時代 靑磁象嵌대접의 編年硏究 / 具一會 = 117
    • 9. 조선 전기의 백자 / 金英媛 = 159
    • 10. 朝鮮白磁 陰陽刻辰砂靑華錢小考 / 金錫基 = 175
    • 11. 朝鮮 後期 白磁의 製作技法 硏究 / 方炳善 = 183
    • 12. 雲龍文 분석을 통해서 본 조선 후기 백자의 편년 체제 / 方炳善 = 221
    • 13. 15세기 경기도 광주 백자의 성립과 발전 / 姜敬淑 = 255
    • 14. 광주 충효동 분청과 백자의 과학기술적 연구 (Ⅰ) / 李英恩 = 281
    • 15. 백자 각형 기(器) 제작에 관한 연구 / 이기선 = 297
    • 16. 朝鮮後期의 白磁 文房具 / 尹龍二 = 333
    • 17.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조선시대 청·백자 분류연구 / 姜炳台 = 341
    • 18. 조선시대 청화백자에 대한 연구 / 정은지 = 349
    • 19. 서울市 九老洞 出土 靑華白磁朴慶後父子墓地 / 金得豊 = 411
    • [Volume. 436]----------
    • 목차
    • 1. 한국 전통문양의 전통미와 현대미 / 이종훈 = 1
    • 2. 丹靑塗彩의 色彩硏究 / 李鎬成 = 9
    • 3. 丹靑 保存에 관한 연구 / 李承娟 = 33
    • 4. 전통문양을 이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이상봉 = 57
    • 5. 韓國 傳統 漆工藝의 螺鈿技法에 관한 硏究 / 이수영 = 79
    • 6.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 연구 / 성미정 = 131
    • 7. 한국 전통문양의 디자인에 의한 문화 상품 개발 / 문희숙 = 155
    • 8. 高句麗 瓦當紋樣의 樣式的 考察 / 柳在雨 = 179
    • 9. 高句麗의 鳥類紋樣에 관한 硏究 / 卞珍義 = 215
    • 10. 陶磁轉寫用 野生花紋樣 開發에 關한 硏究 / 서경석 = 229
    • 11. 高句麗古墳壁畵의 裝飾紋樣圖에 대한 考察 / 鄭炳模 = 245
    • 12. 韓國傳統紋樣의 種類, 表現類型, 構成形式 및 適用對象에 따른 感性 이미지 / 장수경 = 297
    • 13. 建築物의 窓·戶 特性에 관한 調査 硏究 (Ⅰ) / 이청웅 = 309
    • 14. 景福宮·昌德宮 點景物 紋樣에 관한 硏究 / 최준형 = 327
    • 15. 전통 창살문양의 고찰과 실내디자인에의 적용방법에관한 연구 / 조현호 = 337
    • 16. 江戶時代 小袖에 나타난 紋樣 考察法 / 朴玉連 = 357
    • 17. 경주지역 목공예 관광민예품의 전통문양에 관한 연구 / 심외보 = 377
    • [Volume. 437]----------
    • 목차
    • 1. 한국민화의 조형원리 찾기 / 하수경 = 1
    • 2. 수목(樹木)의 표현방법 / 한진만 = 29
    • 3. 〈五馬圖〉를 중심으로 한 白描의 硏究 / 장준석 = 53
    • 4. 華嚴時의 佛敎繪畵 / 황호균 = 75
    • 5. 生命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繪畵硏究 / 최영종 = 97
    • 6. 민화의 이해·표현·감상 지도에 관한 연구 / 고숙자 = 107
    • 7. 한국민화의 윤리 문자도의 상징과 표현 읽기 / 하수경 = 133
    • 8. 年代 불확실한 高麗寫經의 表紙畵에 관한 연구(Ⅰ) / 권희경 = 163
    • 9. 朝鮮初期 사대부의 이중적 자연관과 '와유'적 산수화의 변화 / 조송식 = 219
    • 10. 朝鮮朝 民衆藝術의 커뮤니케이션 思想 試論 / 李相禧 = 269
    • 11. 조선시대 眞幻論의 전개 / 高蓮姬 = 291
    • 12. 峀雲 柳德章(1675-1756)의 墨竹畵 硏究 / 탁현규 = 321
    • 13. 吳之湖의 繪畵藝術과 思想的 歷程 / 李泰浩 = 355
    • 14. 朝鮮時代 三神佛會圖에 관한 硏究 / 황규성 = 367
    • 15. 書畵, 篆刻의 合一 / 李周玹 = 397
    • [Volume. 438]----------
    • 목차
    • 1. 篆書의 豫辨方式과 規律에 대한 考察 / 李相機 = 1
    • 2. '문자향' '서권기', 그 함의와 형상화 문제 / 고연희 = 61
    • 3. 조희룡(趙熙龍)의 시서화론 : '자연'의 재해석을 통한 시서화의 자율성 확대에 대해 / 정혜린 = 97
    • 4. 『소치실록(小癡實錄)』의 구성과 내용 / 김상엽 = 147
    • 5. 圓嶠의 書藝美學思想 / 宋河璟 = 175
    • 6. 朝鮮時代 草書觀과 그 樣相 / 심영환 = 211
    • 7. 秋史體 硏究 / 趙守鎬 = 239
    • 8. 秋史 金正喜의 漢文書翰考 / 梁淳珌 = 259
    • 9. 秋史書藝의 轉變에 대한 중국 시·서론의 영향 연구 / 金炳基 = 283
    • 10. 19세기에 꽃 핀 花卉의 詩·畵 / 고연희 = 311
    • 11. 추사 언간글씨의 서체미 분석과 작품화 응용방안 / 박병천 = 337
    • 12. 배窩 金相숙 硏究 / 崔慶春 = 385
    • [Volume. 439]----------
    • 목차
    • 1. 韓國服飾 디자인의 陰陽的인 解釋에 關한 硏究 / 柳恩熙 = 1
    • 2. 전통 색동복식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 홍명화 = 29
    • 3. 민화(民畵)와 풍속도(風俗圖)에 나타난 옷 / 윤열수 = 49
    • 4. 韓國 女性服 變遷에 관한 硏究 / 兪水敬 = 65
    • 5. 한국 兵士의 전투용 유니폼 변천에 관한 연구 / 김정자 = 87
    • 6. 개화기 복식의 변천 / 朴聖實 = 95
    • 7. 한국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 강정현 = 111
    • 8. 한국 무속복식의 역할에 관한 논의 / 소황옥 = 127
    • 9. 전통설화에 나타나는 복식의 경제수준 상징에 관한 연구 / 김애련 = 167
    • 10. 복식의 심미성 상징에 관한 연구 / 김애련 = 189
    • 11. 한국복식 문화의 회고와 전망 / 김미자 = 205
    • 12. 古新羅期 土偶에 나타난 복식 연구 / 권준희 = 235
    • 13. 삼국시대 머리 장신구에 대한 연구 / 김문자 = 249
    • 14. 日本 古墳時代(450-650)服飾과 百濟服飾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임명미 = 261
    • 15. 渤海 服飾에 대한 硏究 / 金文子 = 279
    • 16. 의복명칭의 분화를 통해 본 조선시대 복식문화 고찰 / 김은정 = 289
    • 17. 朝鮮時代 女性首飾 裝身具디자인에 관한 硏究 / 金泰楨 = 303
    • 18. 조선복식에 표현된 선(線)의 미(美)에 대한고찰 / 都周衍 = 321
    • 19. 조선시대 직령의 유형과 특성 / 이주영 = 341
    • 20. 朝鮮時代 前期의 布帛尺에 관한 硏究(上) / 이은경 = 361
    • 21. 『度支準折』에 기록된 조선 말기 平絹織物에 관한 硏究 / 조효숙 = 375
    • 22.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袍類)에 사용된 직물유형 연구 / 조효숙 = 391
    • 23. 「기영회도(耆英會圖)」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에 관한 연구 / 최지희 = 409
    • [Volume. 440]----------
    • 목차
    • 1. 韓國傳統服飾의 特徵硏究 / 朴京子 = 1
    • 2. 韓國 傳統服色에 대한 考察 / 李順子 = 41
    • 3. 20세기 초와 20세기 말의 전통한복 착용 비교 / 김찬주 = 59
    • 4. 전통 활옷 구성법에 관한 연구 / 백영자 = 77
    • 5. 胸背에 關한 硏究 / 全貞姬 = 93
    • 6. 생활한복의 깃 디자인 기원에 관한 연구 / 권진 = 137
    • 7. 한복 깃 제도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 박정애 = 145
    • 8. 두루마기에 관한 硏究 / 李海英 = 153
    • 9. 두루마기의 起源과 變遷에 관한 考察 / 權洙愛 = 163
    • 10. 두루마기의 變遷에 關한 硏究 / 金美子 = 193
    • 11. 생활한복 모형개발 연구(Ⅰ) / 채금석 = 213
    • 12. 생활한복 제품에 대한 비교 연구 / 심화진 = 237
    • 13. 생활 한복의 치수규격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남윤자 = 261
    • 14. 생활한복 남성복 디자인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최은주 = 269
    • 15. 20대 남자 한복 기성복화를 위한 바지·저고리 패턴개발 / 강순제 = 289
    • 16. 朝鮮前期 女性 바지에 關한 硏究 / 이순자 = 301
    • 17. 여성 한복의 형태 및 장식의 변화 분석 / 김재숙 = 317
    • 18. 중년 여성을 위한 한복 저고리의 체형별 원형 연구 / 진현선 = 327
    • 19. 女性 生活韓服을 위한 디자인 開發 / 조오순 = 339
    • 20. 90년대 후반 생활한복의 혁신특성과 채택에 관한 연구 / 최은영 = 347
    • 21. 한복 착용에 따른 피부온의 변화 / 송명견 = 359
    • 22. 생활한복의 착용 상황에 따른 이미지와 구매의도 / 심준영 = 367
    • 23. 韓服의 着用實態 / 高福男 = 377
    • 24.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미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제2보) / 강경자 = 393
    • 25. 無風安靜時의 婦人用韓服의 保溫力에 관한 硏究 / 崔正和 = 405
    • 26. 출토 저고리의 무(당)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조효순 = 413
    • [Volume. 441]----------
    • 목차
    • 1. 巫(샤마니즘)연구에 대하여 / 趙興胤 = 1
    • 2. 한국 무속신앙과 간호이론 / 이미현 = 35
    • 3. 재일한국인의 무속신앙 / 허점숙 = 49
    • 4. 新羅人의 信仰과 宗敎 / 李基東 = 69
    • 5. 조선의 관습과 신앙 / 로랭 크레마지 = 91
    • 6. 東亞細亞에 있어서 샤머니즘의 比較 / 崔吉城 = 107
    • 7. 舍利信仰에 관한 硏究 / 金載喆 = 129
    • 8. 한국 무(巫) 언어의 어휘적 특성과 언어계층적 해석 / 朴忠燕 = 177
    • 9. 민속신앙과 교육 / 장정룡 = 209
    • 10. 隊神考 / 최희수 = 223
    • 11. 海岸地方 도깨비 信仰의 傳承樣相에 대한 考察 / 金宗大 = 237
    • 12. 서울지역 한 집성촌 마을신앙의 전승양상과 지속성 확보 / 박선애 = 265
    • 13. 무신도 '성수'의 신적 정체성과 의미분석 / 이세나 = 379
    • 14. 民俗信仰에 대한 地理的 硏究 / 張文赫 = 401
    • 15. 濟州道加派島의 民間信仰 / 崔吉城 = 419
    • [Volume. 442]----------
    • 목차
    • 1. 장승 說話 硏究 / 丁錫奉 = 1
    • 2. 韓國장승에 나타난 民間信仰과 造形性에 대한 고찰 / 盧明東 = 49
    • 3. 장승 연구의 회고와 전망 / 강성복 = 99
    • 4. 한국의 샤머니즘에 관한 조형 연구 / 羅允涉 = 189
    • 5. 長생의 造形藝術的 價値性에 對한 再照明 / 朴陽善 = 231
    • 6. 장승 民俗의 文學的 形象化(Ⅱ) / 徐鍾文 = 249
    • 7. 韓國寺刹長丞의 硏究 / 김성철 = 269
    • 8. 基督敎 立場에서 본 장승에 關한 硏究 / 金顯雄 = 351
    • 9. 충남 부여지역의 장승문화 연구 / 허기강 = 375
    • 10. 光州圈의 장승 遺蹟 / 姜炫求 = 421
    • [Volume. 443]----------
    • 목차
    • 1. 巫服長衫의 考察 / 김은정 = 1
    • 2. 巫에서 본 인간과 세계 / 金鍾宜 = 21
    • 3. 韓國 傳統文化로서의 巫俗信仰과 佛敎의 習合 / 박미영 = 65
    • 4. 무속신화의 서사모형재론 / 김영일 = 115
    • 5. 王과 巫의 기우의례 / 최종성 = 129
    • 6. 儒·巫, 공존과 분리 / 박경하 = 155
    • 7. 우리 文化藝術 뿌리속의 巫俗考 / 張相燮 = 163
    • 8. 근현대 한국무속의 역사적 변화 / 이용범 = 175
    • 9. 과학문화와 한국의 무속사상 / 정병훈 = 229
    • 10. 민속(무속)과 교육 / 김인회 = 243
    • 11. 무속교육을 통한 기층 문화의 이해 / 황루시 = 269
    • 12. 慶北 東海岸地域의 巫俗硏究 / 徐大錫 = 293
    • 13. 巨濟島 說話에 나타난 巫俗性 硏究 / 辛承益 = 341
    • 14. 제주 무속연구의 현재와 미래 / 문무병 = 415
    • [Volume. 444]----------
    • 목차
    • 1. 뜰집 민가의 유형과 구조 / 박태화 = 1
    • 2. 通過儀禮를 통해 본 傳統住居의 空間的 意味 / 李英鎬 = 17
    • 3. 傳統家屋의 保存 / 申榮勳 = 27
    • 4. 한옥 내부공간에서의 조망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이재헌 = 45
    • 5. 전통한옥 실내공간의 바닥재 고찰과 오늘의 주거공간 바닥재 변화에 관한 연구 / 민찬홍 = 53
    • 6. 傳統韓屋과 現代住宅에 있어서 室內造景의 比較硏究 / 閔美惠 = 79
    • 7. 한국 전통 고가옥의 보존 가치와 현황 분석 및 문화관광 차원의 활용방안 / 신윤숙 = 95
    • 8. 文化財指定 傳統家屋의 住居空間 利用實態 및 變容實態 調査硏究 / 卓秀星 = 123
    • 9. 문화재지정 한옥의 생활공간 변용 / 李柱玉 = 135
    • 10. 仁川地域 傳統住居의 空間構造에 관한 調査·硏究 / 洪世均 = 211
    • 11. 江原道 傳統民家 및 聚落構造에 관한 硏究 / 박경호 = 219
    • 12. 경주 영주시 무섬마을 전통주택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신치후 = 229
    • 13. 嶺南地方 樓마루 空間의 特性에 關한 硏究 / 司空永보 = 309
    • 14. 居住性 향상을 통한 文化財指定 傳統家屋의 保全方向 / 高聖龍 = 325
    • 15. 전통주택의 다락에 관한 연구 / 최인호 = 341
    • 16. 호남지방 전통주택에서의 규모와 평면형식 / 金聖雨 = 357
    • 17. 제주도 전통 와가(瓦家)와 초가(草家)의 가사노동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 이정림 = 367
    • 18. 通過儀禮로 본 濟州道傳統住居空間의 境界 및 意味에 관한 硏究 / 鄭英喆 = 381
    • [Volume. 445]----------
    • 목차
    • 1. 한국 전통마을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 李奎成 = 1
    • 2. 마을의 配置 및 民家 構成 事例 / 李明德 = 17
    • 3. 風水理論과 傳統마을 配置技法에 관한 建築學的 考察 / 이한종 = 27
    • 4. 신라말 九山禪門 사찰의 입지 연구 / 조성호 = 37
    • 5. 李朝時代의 里門 / 玄昌浩 = 65
    • 6. 물(水)의 풍수론적 시각에서 본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구성의 해석에 관한 연구 / 이응희 = 81
    • 7. 우리나라 주요 전통마을의 길과 공동마당의 물리적 특성 / 朴鍾德 = 91
    • 8. 한국 농촌 가족의 변화 / 임돈희 = 191
    • 9. 南漢江 流域 民俗文化의 正體性과 展望 / 李昌植 = 209
    • 10. 민속마을 보존계획 고찰 / 이왕기 = 231
    • 11. 대전의 전통마을 / 이해준 = 243
    • 12. 韓國 傳統마을의 空間構成과 民家庭園樣相 / 尹英浩 = 255
    • 13.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 韓弼元 = 271
    • 14. 대청호반의 전통마을, 섬정동 / 이해준 = 285
    • 15. 傳統마을 空間의 動線構造 分析 / 金龍洙 = 301
    • 16. 珍島 同族마을의 立地條件과 經濟基盤 / 李炳熙 = 311
    • 17. 濟州 城邑民俗마을의 立地와 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 羅美英 = 363
    • [Volume. 446]----------
    • 목차
    • 1. 韓國의 歷史와 風水地理 / 劉永奉 = 1
    • 2. 한국의 전통적 자연과 인간관 / 崔昌祚 = 33
    • 3. 退溪先生 胎生風水 硏究 / 김기선 = 49
    • 4. 星湖 李翼의 科學情神 / 金弘炅 = 89
    • 5. 한국 풍수지리설과 불교신앙과의 관계 / 윤홍기 = 107
    • 6. 高麗初期 政治와 風水地理 / 洪承基 = 141
    • 7. 四神砂의 象徵性에 關한 연구 / 金賢南 = 167
    • 8. 하이데거의 實存空間과 風水의 局面이 갖는 空間的 相關性에 關한 硏究 / 金忠楨 = 201
    • 9. 생태적 적지분석론과 전통적 풍수지리론 / 이명우 = 219
    • 10. 遷都論에 관한 硏究 / 金英厦 = 227
    • 11. 제주도 풍수의 중요성 / 데이빗 네메스 = 241
    • 12. 양택론의 현대적 해석에 관한 연구 / 홍종숙 = 247
    • 13. 풍수지리를 통해서 본 마을의 공간개념 / 이영진 = 329
    • 14. 朝鮮時代 傳統마을 風水의 視覺構造에 관한 計劃的 分析 / 玄重英 = 337
    • 15. 傳統建築思想의 內的解釋에 관한 小考 / 서동식 = 347
    • 16. 풍수지리사상과 생태도시이론의 비교 / 玄永助 = 357
    • [Volume. 447]----------
    • 목차
    • 1. 韓醫學 基礎 考論 / 金在德 = 1
    • 2. 韓國의 神秘한 醫術 / 李昌煥 = 9
    • 3. 金元四大家의 醫易理論에 관한 연구 / 洪元植 = 15
    • 4. 한의학에서 본 天과 人間의 관계 / 金重漢 = 49
    • 5. 韓方健康檢診 結果에 따른 生活行動 變化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나남식 = 69
    • 6. 재생철학에 의한 영양요법 / 채규남 = 81
    • 7. 한약재 품질관리실태에 대한 한방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도 / 김광수 = 89
    • 8. 漢城府創設期에 設置된 醫療制度와 그 任務 / 金斗鍾 = 105
    • 9. 近世 朝鮮의 醫療 制度의 變革과 醫療 保護事業의 追憶 / 金斗鍾 = 117
    • 10. 『鄕藥集成方』편찬의 政治思想的 배경과 의의 / 李泰鎭 = 155
    • 11. 醫林撮要의 歷代醫學姓氏에 대하여 / 金洪均 = 175
    • 12. 醫窓考論合編 / 李麟星 = 189
    • 13. 痰飮·氣, 二題 / 李得耆 = 255
    • 14. 韓方과 消火器 疾患 / 金基寅 = 273
    • 15. 黃宰內經에 나타난 痛症에 關한 文獻的 考察 / 鄭原在 = 289
    • 16. 膝關節 評價法에 관한 考察 / 신승우 = 313
    • 17. 腰痛과 脊椎의 疾患 / 李錫熙 = 327
    • 18. 便秘와 胃·大小腸 / 鄭燦玉 = 345
    • 19. 개인의 피부병에 대한 마을공동체의 치병 의례 / 李弼泳 = 353
    • 20. 惡性腫瘍 治療에 應用되는 藥物에 對한 文獻的 考察 / 朴영俊 = 379
    • 21. 骨盤炎 치료를 위해 사용된 保留灌腸療法에 關한 文獻的 考察(중국잡지를 중심으로) / 조성희 = 395
    • 22. 經行嘔吐 患者 治驗 1例에 對한 臨床的 考察 / 박창건 = 411
    • 23. 姙娠惡阻 환자 8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양승정 = 419
    • [Volume. 448]----------
    • 목차
    • 1. 五行鍼의 要穴解說 / 趙吉平 = 1
    • 2. 難經75難을 利用한 五行鍼에 關한 硏究 / 이종무 = 13
    • 3. 五行鍼을 응용한 六氣鍼에 관한 연구 / 김재홍 = 27
    • 4. 《鍼方六集》중 〈旁通集〉에 관한 연구 (Ⅰ) / 李俊範 = 41
    • 5. 침구 임상 연구 방법 지침 / 김갑성 = 81
    • 6. 玉龍賦에 關한 文獻的 考察 / 金甲成 = 109
    • 7. 頭痛部位와 原因에 따른 鍼灸處方에 관한 文獻考察 / 정대규 = 145
    • 8. 동측 및 대측 전침자극 전후의 뇌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 우영민 = 159
    • 9. 女性의 小腹痛에 董氏鍼法을 이용한 證例硏究 / 朴敬姬 = 173
    • 10. 藥鍼이 閉經期 以後 尿失禁 患者에 미치는 影響에 對한 硏究 / 정은아 = 183
    • 11. 臨床的으로 診斷된 結節紅斑의 實驗的 針治療例 / 조성호 = 193
    • 12. 洞刺鍼과 風池穴 刺絡의 血壓降下 效果 / 박인범 = 201
    • 13. 腰椎間板 脫出症에 대한 蜂毒藥針療法의 效果 / 정원석 = 211
    • 14. 뜸 치료를 통한 關節炎과 多發性 神經炎에 관한 人體免疫學的 硏究 / 安昌範 = 227
    • 15. 電鍼, 附缸, 韓方體操, 漢藥을 利用한 韓方肥滿治療法의 臨床硏究 / 김석 = 237
    • 16. 針을 倂用한 低周波療法의 臨床的 硏究 / 林準圭 = 253
    • 17. 痴태治療의 最近 硏究動向에 關한 考察 / 金利和 = 265
    • 18. 뇌경색 환자의 뇌혈류에 대하여 건측 및 환측 침치료과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 문상관 = 277
    • 19. 침 자극이 정상 성인의 전류감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 김상진 = 285
    • 20. 三陰交·子宮穴 전침 자극이 백서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 권세라 = 295
    • 21. 蜂毒藥鍼이 白鼠 腿動脈의 血管연縮에 미치는 影響 / 김재수 = 307
    • 22. 이침 요법이 맥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준혁 = 323
    • 23. 鍼, 灸 및 Laser 光線鍼刺戟이 白鼠의 鎭痛에 미치는 影響 / 金敬東 = 331
    • 24. 鍼, 灸 및 Laser 光線鍼刺戟이 白鼠의 細尿管障害에 미치는 影響 / 崔容泰 = 341
    • 25. 鍼, 灸 및 Laser 光線鍼刺戟이 Endotoxin에 依한 血栓症에 미치는 影響 / 安秉哲 = 359
    • 26. 三足里 木香藥鍼이 抗癌 및 免疫機能에 미치는 影響 / 安秉秀 = 375
    • [Volume. 449]----------
    • 목차
    • 1. 東醫寶鑑에 收錄된 本初의 分類 / 서강태 = 1
    • 2. 方藥合編에 收錄된 本草의 分類 / 박순경 = 19
    • 3. 本草綱目의 本草異名에 對한 硏究 / 이준무 = 39
    • 4. 本草綱目에 收錄된 植物의 分類學的 考察 / 성정숙 = 77
    • 5. 本草問答 / 裵馨道 = 99
    • 6. 枳구子 및 關聯 韓藥材에 關한 考察 / 徐富一 = 113
    • 7. 한국에서 채집된 동충하초의 분포와 분류 / 성재모 = 125
    • 8. 本草綱目에 나타난 '土部'의 活用方法에 關한 考察 / 李哲浣 = 201
    • 9. 本草綱目 수재藥材의 식물분류학적 고찰 / 성정숙 = 155
    • 10. 四象醫學에서 활용되는 四象人藥物과 證治醫學的 本草 藥味와의 相關性에 關한 硏究 / 徐富一 = 167
    • 11. 磨姑의 本草學的 意義와 아가리쿠스버섯과의 代用可能性 / 徐富一 = 175
    • 12. 香氣療法에 사용되는 精油의 本草學的 接近 / 박지현 = 187
    • 13. 本草綱目 人蔘條 懸吐 飜譯 / 尹暢烈 = 203
    • 14. 人蔘의 配合에 따른 抗酸化作用에 關한 硏究 / 朴時興 = 221
    • 15. 人蔘의 配合에 따른 數種 韓藥材의 抗酸化作用에 關한 硏究 / 朴時興 = 231
    • 16. 韓國産 柳葉菜(바늘꽃)科 植物에 關한 本草學的 硏究 / 鄭宗佶 = 241
    • 17. 韓國産 寥(여뀌)科 植物에 관한 本草學的 硏究 / 柳泓善 = 263
    • 18. 韓國産 石竹(패랭이꽃)科 植物에 關한 本草學的 硏究 / 姜熙相 = 285
    • 19. 韓國産 毛간科植物에 關한 本草學的 考察 / 孫仁慶 = 307
    • 20. 韓國産 天南星科 植物에 關한 本草學的 硏究 / 황상욱 = 347
    • 21. 韓國産 脣形(꿀풀)科 植物에 關한 本草學的 硏究 / 盧炳圭 = 369
    • 22. 韓國産 十字花科 植物에 關한 本草學的 硏究 / 趙南俊 = 405
    • [Volume. 450]----------
    • 목차
    • 1. 傳統 武藝에 關한 小考 / 배기열 = 1
    • 2. 무도이론의 기초개념으로서의 강유론 / 박순진 = 13
    • 3. 현대 무도(武道)의 지향과제에 대한 논의 / 박순진 = 27
    • 4. 무술, 무예, 무도의 용어정립을 위한 과제 / 김창룡 = 37
    • 5. 무술, 무예, 무도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틀 / 양진방 = 51
    • 6. 三國時代의 體育에 關한 考察 / 姜秉吉 = 63
    • 7. 三國 및 統一新羅 時代의 體育 / 李行遠 = 87
    • 8. 高麗時代 軍事武藝인 手搏에 관한 硏究 / 南悳現 = 115
    • 9. 朝鮮朝 武士들의 활쏘기와 基地 體育的인 活動에 關한 硏究 / 羅英一 = 167
    • 10. 韓國 弓道의 歷史的 考察 / 柳竝夏 = 179
    • 11. 兩顯令競義婚孤女와 蹴鞠戱 / 申東一 = 189
    • 12. 동양무예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임일혁 = 205
    • 13. 東洋 武藝에 關한 小考 / 釋覺眞 = 223
    • 14. 동양무술의 이미지 / 김경석 = 245
    • 15. 〈단학선원〉용어에 대하여 (Ⅰ) / 박현정 = 259
    • 16. 단군 신화의 회귀와 '단학선원' / 김무경 = 267
    • 16. 기(단학) 수련이 산업현장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 / 조성철 = 325
    • 17. 단학선원의 치유의례 / 박상언 = 335
    • 18. 활과 태극 / 장창민 = 361
    • 19. 太極拳의 動作에 關한 硏究 / 鄭敏燮 = 379
    • 20. 태극권의 원리와 기본 동작에 관한 연구 / 이명찬 = 389
    • 21. 우슈에 관한 연구 / 허일웅 = 403
    • 22. 우슈 장권 종목 중 등공비각 동작의 운동학적 및 운동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배경희 = 4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