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태극품새의 내재적 의미 고찰을 위한 구성동작 탐색 Ⅱ - 태극5장 ~ 태극8장을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8(1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태극품새의 사상적 배경인 자연물의 상징적 이미지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학문적 개념으로 제시할 수 있는지 탐색하여 품새 수련가치의 내면화 과정을 규명하는데 필요성과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태극5장은 손(巽)으로 바람을 상징하며 ‘동작의 기세’와 ‘관절의 기능’이 특징이며, 태극6장은 감(坎)으로 물을 상징하며 ‘유연한 흐름’과 ‘중심이동’의 특징이다. 태극7장은 간(艮)으로 산을 상징하며 ‘산의 기세 및 극기’와 ‘움직임의 원리 및 조화’가 특징이며, 태극8장은 곤(坤)의 땅을 상징하고 ‘마지막 품새’, ‘땅을 지지하는 다양한 움직임’, ‘다양한 기법’을 나타낸다.
품새의 반복 수련을 통해서 강해짐을 느끼고, 거기에 따른 힘과 기술의 제어와 감정 조절을 터득하고 깨달아가는 심신일체를 이루는 것이다. 이렇게 태권도의 수련을 통해서 목표에 집중하고, 에너지를 발출하며, 자신감을 갖는 모든 표현들이 태권도의 기세이고 기운이다. 여기에 강해지기 위한 노력과 집중, 감정을 절제할 줄 아는 제어능력 등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에너지를 통해 내재적 의도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values of poomsae training are internalized by establishing academic concepts from the underlying significance in the symbolic imagery of natural objects that form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taegeuk poomsa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aegeuk 5jang(son) symbolizes the wind and can be characterized by the "force of movement" and "function of joints," while taegeuk 6jang(gam) symbolizes the water and showcases the idea of "flexible flow" and "central movement." Taegeuk 7jang(gan) then embodies the mountain and features the "force of mountain and self-control" and the "principles and harmony of movement." Last but not least, taegeuk 8jang(gon) completes the poomsae by representing the earth and demonstrating the "various movements that support the earth" and "various techniques." The repeated training of the poomsae instills a sense of strength in oneself and further facilitates unity between the mind and the body through the control of one’s strength, technique, and emotions. The goal-focusing mindset, the release of energy, and the expressions of confidence exhibited in taekwondo training thus constitute the spirit of taekwondo. It is further advised to concentrate on the more intangible aspects of the training, such as focusing on growing stronger and learning to control emotions, in order to fully grasp the true underlying purpose of taekwondo train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