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국제적 무력충돌 시 국제인도법의 적용 =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to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8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4(26쪽)
제공처
소장기관
국제법의 한 분야인‘국제인도법’은 국제적 무력충돌에 적용되는 국제인도법과 비국제적 무력충돌에 적용되는 국제인도법이라는 이원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이들의 구별이 감소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국제적 무력충돌에서는 용어의 정의나 적용범위가 명확한 반면, 비국제적 무력충돌에서는 예를 들어 적대행위와 관련하여 무장한 적대집단이 군대의 구성원으로 간주되는지 혹은 민간인으로 간주되는지에 대해 분명하지 않은 것처럼 그 정의나 적용범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국제인도법의 보호는 종래 국제적 무력충돌 시에만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비국제적 무력충돌에서도 국제인도법적 보호가 요구되는 관행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관행은 비국제적 무력충돌에 적용될 관습법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제네바 4개협약의 공통3조를 포함한 대부분의 제네바제협약 규정들은 국제관습법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제1추가의정서나 제2추가의정서도 이러한 관행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비국제적 무력충돌에 있어서도 전쟁범죄의 개념이 인정되고 실제로 전쟁 범죄자들을 처벌하는 제도가 성립되고 있다는 것은 국제인도법 분야가 매우 많은 발전을 하였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ICTY나 ICTR의 판결에서 개인의 형사책임에 대해 다루고, 특히 ICTR에서 개인의 형사책임에 대해 유죄판결이 내려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현재 시점에서는 비국제적 무력충돌에서 전쟁범죄자 즉 개인에 대해 처벌하는 등의 제도가 관습법으로 확립되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앞으로 관습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공통3조와 제2추가의정서에서는 적용분쟁의 성질과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요건과 절차가 부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법규정의 불명확성은 이들 법규들의 적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국제적 무력충돌의 당사자들은 법규들의 적용에 있어 흠결이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비국제적 무력충돌 및 국내적 소요나 긴장상태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공통3조나 제2추가의정서상의 무력충돌이 아닌 단순한 국내폭력사태가 발생했을 뿐이라고 주장하며 법규정의 적용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이러한 분쟁당사국들의 태도는 특히 중대한 위반행위에 대한 제도에 대해서 현시점에서는 비국제적 무력충돌에서는 인정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제적 무력충돌과 비국제적 무력충돌과의 구별 및 비국제적 무력충돌과 무력충돌에 이르지 못하는 폭동 등과 같은 사태와의 구별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적용법규는 무력충돌의 성질에 의해 구별되는데, 폭동 등과 같은 사태는 국제인도법의 적용으로부터 배제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은 실제로 법을 적용할 때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s a branch of public international law may be classified into humanitarian norms to be applied into“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nd“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Nevertheless, the terminologies in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in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re comparably obscure while those in 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re well defined. For instance, whether a member of an armed group in hostility in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may be regarded as a member of armed force or a civilian personal is controversial.
Protection by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as been common in tradition but recent practices show the need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protection even in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situation. And these practices influenced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norm for a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situation. A number of provisions in four Geneva Conventions 1949 including common Article 3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Additional Protocols influenced emerging such practices.
Today it shows the recent development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to punish war criminals who commit war crimes dur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nd to establish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 and tribunals to punish them.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the ICTY and the ICTR deal with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and the ICTR convicted the accused for war crimes committed dur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While punishing a person for war crimes committed dur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is not yet settled as international custom, the precedents of the ICTR show a possibility, which punishing a person in charge of war crimes committed dur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may become international custom in a near future.
Common Article 3 of 1949 Geneva Conventions and the Second Additional Protocol merely referred principles which should be preserved dur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nd do not contain predictably precise terms and the relevant proceedings to settle such obscure terms and terminologies. And such features in Common Article 3 and the Second Additional Protocol eventually make difficult to apply the norms to protect humanitarian values in a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situation. Therefore, the defenses or counter-arguments based upon such ambiguiti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humanitarian norms have commonly done by a party of an armed conflict. For instance, the current armed conflict is not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but is mere internal disturbance.
Therefore, we should think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international and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nd“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nd mere internal disturbance” because the current international norm for humanitarian protection may be difficult to be applied in internal disturbance situ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