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경계를 넘어서는 욕망과 고통에 대한 소고 - 한강, 김윤영, 오수연 소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re and the Pain of the Boundary - Focusing on the Novels of Han Kong, Kim Yun-young, Oh Soo-y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1.105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8-142(2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에서는 한강의 『채식주의자』, 김윤영의 『타잔』 중 「그가 사랑한 나이아가라」와 「얼굴 없는 사나이」, 오수연의 『부엌』을 대상으로 각 사회 구성체에서 소위공적 담론 영역에 들어오지 못하는 자들, 스스로 자신의 목소리를 발화하지 못하는 자들이 다양한 사회관계망 속에서 침묵으로 살아야만 하는 이유를 고찰한다. 그리고 침묵하는 자들이 침묵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자기 목소리를 내려고 하면서 드러내는 병리적 방식에 주목한다.
삶의 문제가 추상적 관념이나 철학의 문제가 아니라 일상을 살아내는 것이며 또 일상을 살아내는 것은 가장 근본적으로 먹고 자는 문제임을 생각한다면 다음 소설들은 중요하다. 한강, 김윤영, 오수연은 먹는다는 것의 의미를 삶의 구체성에서 포착해내고 소통 억압, 경쟁과 계급 등으로 나타나는 인간의 폭력성을 음식문화에서 찾아내고 있다. 『채식주의자』에서 채식은 별스러운 것, 흔하지 않은 것, 기존의 관습이나 질서와의 단절 또는 반항적 일탈의 의미를 가진다. 「그가 사랑한 나이아가라」와 「얼굴 없는 사나이」에서 채식은 먹이사슬의 가장 하층에 속하는 초식동물의 것으로 상징되는데 「그가 사랑한 나이아가라」의 경우는 권력의 상징인 육식주의자조차도 자기동일화가 불가능한 현실에서 이상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부엌』의 채식은 오히려 부와 사회적 친분을 의미해서 『부엌』에서는 육식이 도리어 천시 받고 부정한 식습관으로 차별화된다. 이처럼 `무엇을 먹느냐`는 단순히 취향이나 기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거나, 배타적 억압의 빌미가 되거나, 삶에 대한 태도를 결정짓거나, 삶의 방식에 구체적 형태를 만들어주는 등 사회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채식을 포함하여 요리, 폭식 등 먹는 것과 관련된 행위의 사적, 공적 의미를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삶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양태들의 의의를 규명했다.
문학은 개인의 내밀한 영역을 공론장으로 이끌어내는데 기여한다. 소외되고 배제된 자들의 말을 공론화하는 세 작가의 작품은 사회의 주변부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자신의 주장을 표현할 만한 자존감마저 잃은 자들을 기록하고 인간의 폭력성을 까발리며 그들의 중층적 내면을 담론화한다.
In this article, with Han, Gang`s 『Vegetarian』, and 『niagara that he loved』 and 『faceless man』 in Kim, Yoon Young`s 『Tajan』 collection, and Oh Soo Yeon`s 『kitchen』 as subject, we examine the reason why people who cannot participate in so-called public discussion area, and people who cannot get their own voice heard should live in silence in various social networks. In addition, we focus on a pathological way exposed when attempting to make their own voice heard, despite the silence of the voiceless.
When considering that life is not a matter of abstract notion or philosophy but to manage everyday life, and that basically, living such a life is a matter of eating and sleeping, the following novels are of great importance. Han Gang, Kim, Yoon Young and Oh, Soo Young capture the meaning of eating in the concreteness of life, and discover the human violence revealed by the oppression in communication, competition and hierarchy, and others in food culture.
Vegetarian diet in 『Vegetarian』 refers to faddy or rare phenomenon, disconnection from existing custom or order, or a defiant deviation. Vegetarian diet in 「Niagara that he loved」 and 「Faceless man」 are symbolized as herbivorous animals`, the lowest layer in the food chain. For 「Niagara that he loved」, even meatatarian, the symbol of power shows abnormality in the reality that self identification is impossible.
As Vegetarian diet in the 『Kitchen』 refers to a wealth and social acquaintance, the meat diet in 『Kitchen』 is disregarded, and differentiated as an unjust eating habit. "What to eat" is not just a matter of preference or taste, but has a social, cultur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such as representing social status or social position, becoming excuse for exclusive oppression, determining the attitude towards life, or forming specific shapes into the way of life.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trace the private and public meaning of behaviors related to cooking, binge, and others, and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specific and various aspects of life revealed in the process.
Literature contributes in drawing innermost part of individual into public sphere. The literary works of the three writers making public the opinions of isolated and excluded people, make double layered innermost feelings into a discussion topic by recording people who revealed oneself and lost even one`s self esteem for expressing their own assertion in social periphery and exposing human violenc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 | 0.71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