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증언, 잊힌 기억의 서사 Ⅰ— 산청·함양 민간인 학살 사건의 전개 = Testimony, Forgotten Memory Story Ⅰ: The Massacre of Civilians in Sancheong and Hamya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7-258(42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는 1951년 음력 설날 다음날인 2월 7일, 산청군과 함양군에서 있었던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의 전모를 최초로 추적했다. 당시의 사건과 관련하여 문서와 사진조차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필자는 동일 작전명령과 군부대에 의한 거창 사건의 군사재판 기록과 선행 연구, 저서와 언론 등에서 띄엄띄엄 언급되는, 본 사건 관련 내용들을 수집 및 분석했다. 아울러 당시의 사건을 기억하는 생존자와 유가족들의 증언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논지를 전개했다.
2장에서 산청군과 함양군의 민간인들이 왜 국군의 공비토벌 작전 과정에서 희생되어야 했는지를 당시의 정치적·사회적 상황, 지리산 빨치산의 형성 과정,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군부대의 창설 목적과 군사 활동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 청년들의 항일 유격대로 시작한 지리산 빨치산은 3번의 변모 과정을 거치며 좌익화 되어갔다. 해방 정국에서 친탁과 친미를 지지하는 이승만 정부가 탄생하면서 반미와 반탁을 지지하며 좌익화된 지리산 빨치산은 반드시 척결해야 하는 악의 상징이 되었다. 또 지리산에서 빨치산의 습격으로 미 군사 고문관이 사망하고, 거창군 신원면이 2개월 동안 빨치산 해방구가 되는 등의 정치·사회적 요인이 발생하면서 지리산 빨치산 토벌을 목표로 육군 11사단이 창설되었다.
3장에서 산청군과 함양군에서 있었던 민간인 학살 명령서의 조작 가능성, 학살의 과정과 정도를 살펴보았다. 산청과 함양의 민간인 학살은 육군 제11사단 제9연대의 지리산 공비토벌 4기 작전 중에 있었다. 민간인을 학살한 결정적인 계기는 당시 작전명령 부록 1항이었으나 현재 확인되는 작전명령서와 부록은 조작된 것이라는 진술이 있다. 그리고 학살 당시 지휘관들은 북한군과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자대에서 낙오되어 빨치산에 대한 적개심이 불타고 있었으며, 군인들이 술에 취해 있었다는 증언을 찾았다. 무리한 작전명령에 만취한 3대대 부대원들의 일탈 행동이 더해져 참혹한 학살이 자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또 지금까지 ‘堅壁淸野’로 학계에서 알고 있는 작전명이 ‘建壁淸野’였음을 밝힌다.
This research traces for the first time details of the massacre of civilians by the military in Sancheong-gun and Hamyang-gun on February 7, the day after Lunar New Year’s Day in 1951. In the absence of documents and photographs related to the incident at the time, the author collected and analyzed military court records, prior research, and scattered information about the incident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books, and the media. The study develops an argument based on the testimony of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who remembered the incident.
Chapter 2 examines the civilian casualties in Sancheong-gun and Hamyang-gun during the military’s pacification operation in ligh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the formation process of Partisan, and the purpose of the military unit that carried out the civilian massacre. Partisan, which began as a Korean youth anti-Japanese guerrilla base, underwent three transformations. Under the pro-American and pro-Japanese Syngman Rhee it became a symbol of evil to be eradicated in the post-liberation era.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such as the death of a US military advisor due to a guerrilla attack in Partisan and the political uproar caused by the transformation of Shinwon-myeon, Geochang-gun into a Partisan liberation zone for two months, led to a new division of the army (the 11th Infantry Division) being established specifically to suppress Partisan.
In Chapter 3 the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forgery of the orders for the civilian massacre in Sancheong-gun and Hamyang-gun and the process and extent of the massacre. The civilian massacre in Sancheong and Hamyang occurred during the Partisan Pacification Operation 4th phase of the 9th Division of the 11th Infantry Division. The decisive factor for the civilian massacre was appendix 1 of the operation order at the time. However, there are testimonies that the operation order that has come down to us is a forgery. It was found that the commanders were nursing grudges against Partisan due to being abandoned by their units and injuries sustained during combat with the North Korean army. There are also testimonies about soldiers being intoxicated. It is presumed that the brutal massacre was carried out due to the deviant actions of intoxicated 3rd Battalion members working under unreasonable operation orders. The paper also reveals that the operation’s name, known in the academic community as ‘Gyeonbyeok Cheongya’, was actually ‘Geonbyeok Cheongya’.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