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네트워크로서의 대학, 전시연합대학 = University as a Network, Wartime Union University
저자
윤해동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216(50쪽)
제공처
소장기관
전시연합대학은(이하 전시연대) 참담한 전쟁의 현실에 적응하기 위한 ‘고심의 산물’이었다. 전시연대는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아야 한다. 기왕에는 2단계의 전시연대만을 대상으로 전시연대를 분석하였다. 전시연대와 관련한 오류나 착오는 여기에서 기인하였다. ‘일그러진 전시연대’의 초상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3단계로 나누어 전시연대의 전모를 파악해야 한다.
1단계(1950. 11-12)의 전시연대는 서울 수복 직후 서울에서 설립되었다. 30여 개의 서울 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문교부는 의무 참여를 강제하였다. 2단계는(1951. 2-8) 부산을 비롯하여 대구와 광주, 전주에서 설립되었다. 전시 수도 부산의 전시연대가 참여대학이 가장 많고 규모가 컸다. 단독으로 개강하는 대학이 거의 없는 상황이었으므로, 2단계의 전시연대가 가장 중요하고 상징성이 컸다. 3단계(1951.9-1956?) 전시연대는 피난대학이 단독 개강을 하는 상황에서 만들어졌다. 부산, 대구, 광주, 전주를 비롯하여 대전, 수원, 서울, 청주, 제주 등지에서 만들어졌다. 한국전쟁 휴전 이후에는 국방부가 군인을 대상으로 전시군인연대(1954-1956)를 설립하였다.
전시연대는 연대형, 신설형, 군대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연대형은 기존 대학이 연합하여 설립한 것이고, 신설형은 기존 대학이 없는 상황에서 새로 전시연대를 설립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시연대는 연대형이었으나, 대전에서 만들어진 전시연대는 신설형이었다. 그리고 군대형은 군대 안의 장병을 위하여 새로 만든 연합대학이었다.
전시연대에는 전쟁 때문에 줄어든 학생을 증원하기 위한 정책이 도입되었다. 대학생들에게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대신 징집을 보류하였다. 또 학점 취득을 쉽게 하는 여러 조치가 취해졌다. 2단계에는 전체 학생 가운데 약 27% 정도, 3단계에는 약 34%의 학생이 전시연대에 등록하였다. 한 사례에 의하면, 다른 대학에서 수강하는 학생의 수가 40%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다.
전시연대는 전국의 모든 대학과 대학생, 심지어 월남한 대학생들에게도 개방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전시연대는 모든 대학과 대학생들에게 개방되어 있던 연합대학 시스템이었다. 또 모든 대학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이기도 했다. 전시연대는 개방된 시스템이자 개방된 네트워크였다. 그런 점에서 전시연대는 근대 대학의 이념을 대변하고 있는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대학의 미래 전망을 밝혀주는 대안적 모델로 삼아도 좋을 것이다.
The Wartime Union Univer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artime University) was a “product of painstaking deliberation” to adapt to the horrific realities of war. The chronology of the Wartime University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viously, only the second stage of Wartime University was analyzed.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regarding the Wartime University originated here.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ed portrait of the Wartim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whole picture of the Wartime University in three stages.
The first phase (1950.11-12) Wartime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Seoul immediately after the restoration of Seoul. For more than 30 universities in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made it compulsory to participate. The second phase (1951.2–1951.8) Wartime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Busan, Daegu, Gwangju, and Jeonju. The Wartime University in Busan, the wartime capital, had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ting universities. Since there were very few universities that opened on their own, the second phase of the Wartime University was the most important and symbolic. The third phase (1951.9-1956?) Wartime University was cre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evacuation university was opening its own classes. It was made in Busan, Daegu, Gwangju, and Jeonju, as well as Daejeon, Suwon, Seoul, Cheongju, and Jeju. After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stablished the Wartime Soldiers’ Union University (1954-1956) for military personnel.
The Wartime Univers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solidarity type, newly established type, and military type. The solidarity type is established by the union of existing universities, and the newly established type is the establishment of a new Wartime University in the absence of an existing university. Most of the Wartime University were of the solidarity type, but the Wartime University created in Daejeon was of the newly established type. And the military type was a newly established union college for soldiers in the army.
In the Wartime University, a policy was introduc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d been reduced by the war. Instead of providing military training to university students, conscription was withheld. In addition, a number of measures have been taken to make it easier to earn credits. In the second phase, about 27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Wartime University, and in the third stage, about 34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Wartime University. In one case of University in 1952, 40 percent of students of other universities enrolled in courses.
The Wartime University was open to all universities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untry, even to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the wartime university was a federated university system that was open to all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was also a network that connected all the universities into a single system. Wartime University was an open system and an open network. In this sense, the Wartime University can be said to be a typical example of the ideology of the modern university.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illuminate the future prospects of the univers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