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총법사의 『성실론』 주석서에 대한 문헌적 고찰 = Textual Critique of the Commentary on the Chengshilun by Master Co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88(2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성실론』은 5세기 초 역경이후 남북조 시기 동안 줄곧 중국 불교학자들에게 대승논서로 널리 유행한 중요한 연구 텍스트였다. 6세기말에 이르러 천태지의(天台智 , 538-597)와 길장(吉藏, 549-623)에의해서 비판된 후에야 소승논서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때까지의 성실론사들은 『성실론』이 대승논서라는 이해를 가지고 대승에 부합하는 주석을 하였다고 하지만, 주석서가 거의 일실되어 전거가 제한되어 있었다. 『성실론』에 대한 주석서는 근래 돈황사본에서 약간의 편단이 발견되는 것을 제외하고 현전하는 문헌이 거의 없다. 따라서 성실론사의 주장을 직접 알 수 있는 자료적 한계성을 갖고 있었다. 안징(安澄, 763-812)의 『중론소기(中論疏記)』 는 오늘날 전하지 않는 성실론사들의 일문(逸文)을 많이 보존하고 있는 문헌이다. 비록 일본의 문헌이외에는 이들 기록이 남겨져 있지 않다는 점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지만, 성실론사의 직접적인 주석을 접할 수 있는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본 논문은 이 가운데 총법사의 『성실론장』이라고 인용된 일문자료의 사상을 분석하기 이전에 문헌적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총법사는 현존하는 자료들을 통해서는 정확한 생몰시기와 저술, 사상적 특징을 확인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론소기』에 남겨진 동일인의 일문으로 추정되는 문장의 범주를 제시하고 분석하여 38-42회의 인용문을 추출할 수 있음을 밝혔다. 총법사의 일문을 통해서 성실론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성실론』을 대승적으로 해석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방법을 통해서 향후 삼론학과 성실학 관련 연구문헌의 범주를 확장하고, 중국 남북조시기 성실학자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총법사와 같은 성실론사 발굴의 연구영역이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Since its Chinese translation by Kum raj va, until its appraisal as s Hinayana text by Tiantai (天台) and Jizang(吉藏) in the late 6th century, the Satyasiddhi- stra had been circulated widely among Chinese Buddhist scholars as an important Mahayana treatise to be studied seriously. The Satyasiddhi- stra Masters (成實論師) are said, having studied this text intensively, to have composed Mahayanist commentaries according to their understanding it as a treatise belonging to Mahayana Buddhism, although there are few extant works except recent findings of several fragments in the Dunhwang manuscripts. In such a context, the Zhonglunshuji(中論疏記) by Ancheng(安澄) is important as a work including many writings by the Satyasiddhi- stra Masters, most writings not transmitted otherwise today. Except Japanese texts, there are no extant recordings about them, which requires our discernment, while it is still an important source in which commentaries by the Satyasiddhi- stra Masters are accessible directly. This article is a textual critique in order to analyze the ideas of the Satyasiddhi- stra Masters appearing in the Commentary on the Chengshilun (成實論章) by Master Cong(聰法師), as cited in the Zhonglunshuji (中論疏記). Master Cong is a figure whose exact date of birth and death are even unascertainable, besides his writings’ concrete details and typical ideas unknown.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in the Zhonglunshuji (中論疏記), some passages could be suggested, according to a certain category, to have been composed by the same figure, of which this analysis clarified the possibility that about 38 or 42 citations might be verified to be his. Through this research, there were some fruitful outcomes. The categories of research documents on Sanlun studies and Chengshi studies were expanded. New directions toward Satyasiddhi- stra through the researches on Chengshi scholars’ perspectives were proposed. In future, in the areas of research such as Master Cong and Other Satyasiddhi- stra Masters, extensive studies are anticipated to take plac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5-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5 | 1.569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