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과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정책비교 및 전문가인식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Korean and Chines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ies and the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systems and analyze experts' perception of the industries. For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the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method were used. And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tried to penetrate Adorno's culture industry and Benjamin's art theory and popular view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and Chines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ies and the policies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systems and suggest directions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future based awareness about the industry draw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For this, th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y policy was compared focusing on three scales of its development period, support system, and legal system and the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system was done focusing on three scales of the keynote of workforce training policies, training institutes, and problems of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institutes. And experts' perception was analyzed focusing on positive views, negative views, and directions of next industrial development.
    First,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y policies has found that Korea is ahead by 10 years in comparison with China i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promotion policies of th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y due to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about governmental roles in cultural industries of the both countries and their market-opening periods. In the aspect of support systems, the Korean and Chinese departments that supervise their comics and animation industry policies are respective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Culture of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financial support and investment incentives. In Korea,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found to distribute budget in a lump. China has found to cooperate with the relevant departments including the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State Administration of Taxation, and the Ministry of Finan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aspect of legal systems, the both countries are protecting the industries by 「the Copyright Law」, 「the Trademarks Law」,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However, they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promotion act and the control act. There is already 「the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that promotes th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y in Korea and it can fulfil the purposes of promoting the industry through 「the Comics Industry Promotion Act」, 「the Publishing Industry Promotion Act」, 「the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ct」, and 「the Print Culture Industry Promotion Act」. The Chinese 「Culture Industry Promotion Act」 which corresponds to 「the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has found to be now enacted.
    In addition, there is no any specific laws in the regulation level in China. China is basically promoting or controling the industry through 「the rules」, 「documents」, 「decisions」, and 「notice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Next, the comparison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systems of th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ies has found that the both countries'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is promoted in the form of presenting road maps and plans in the industrial development plans.
    And the both countries showed the trend to adjust directions of professional workforce training policies according to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have found to focus on qualitative growth recently. Differences are shown in workforce training in training institutes. Korea induces departments of comics and animation of regular educational institutes to participate in governmental projects focusing on them and temporary educational institutes tried to train human resources focusing on mentoring education. China tried to train professionals through comics and animation companies approved by the state as well as departments of comics and animation of regular educational institutes train professionals.
    Finally, in the analysis of experts' perception, experts of the both countries recognize that technical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ies. And the experts of both countries recognize the comics and animation industries as negative in the aspect of fetishism and commercialism. For industrial development's next directions, Korean experts recognize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continue to keep the industrial policies consistently. Chinese experts recognized that cultural talent of policy makers in governmental agencies needs to be improved and the legislations need to be strengthened at the industrial promotion level.
    The most important thing which can be check through this study is to recognize comics and animation as a kind of culture and art. more future-oriented policies can be enacted not to make industrial development a one time event when this perception is reinforced. And the cultural functions and dynamics of comics and animation can be better displayed based on it.

    더보기

    본 연구는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과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정책을 비교하고, 산업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방법과 질적 심층인터뷰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으로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과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 예술론 및 대중관을 관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과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정책을 비교하는 한편,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산업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산업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화·애니메이션산업정책은 정책의 전개시기, 지원체계, 법제도 세 개의 척도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전문인력 양성체계는 인력양성 정책기조, 양성기관,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문제점 세 개의 척도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인식은 긍정적 인식, 부정적 인식, 향후 산업발전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정책의 비교에서, 양국의 문화산업에 있어서의 정부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문화산업에서의 시장 개방시기의 차이로 인해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정책을 집행함에 있어 한국이 중국에 비해 10년 정도 앞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원체계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의 만화·애니메이션산업정책을 주관하는 부처는 각각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부이다. 그러나 재정 및 금융 지원과 투자유인 측면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는데, 한국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일괄적으로 예산을 분배하며 중국은 상무부, 국가세무총국, 재정부 등 경제 관련 부처와 협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법제도 측면에서, 양국 모두 「저작권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을 통해 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진흥법과 규제법 측면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는데, 한국은 이미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을 촉진하는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 「출판문화산업진흥법」, 「콘텐츠산업진흥법」, 「인쇄문화산업진흥법」을 통해 산업의 진흥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한국의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상응하는 중국의 「문화산업촉진법」은 현재 제정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중국에는 규제 차원에서의 명확한 법률이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 기본적으로 정부에서 발표하는 「규정」, 「문건」, 「결정」, 「통지」 등을 통해 산업의 진흥을 촉진하거나 산업을 규제하고 있다.
    다음으로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비교에서, 양국의 전문인력 양성은 모두 산업발전계획에서 로드맵 및 방안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추진되었다. 또한 양국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문인력 양성정책의 방향을 조절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최근에는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점은 양성기관에서의 인력양성에서 나타났는데, 한국은 정규교육기관의 만화·애니메이션학과를 중심으로 정부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비정규교육기관은 멘토링 교육을 중심으로 인력을 양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중국은 정규교육기관의 만화·애니메이션학과에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 외에, 국가에서 승인한 만화·애니메이션기업을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인식 분석에서, 양국 전문가들은 모두 기술의 발달이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양국 전문가들은 물신주의와 상업주의의 측면에서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산업발전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한국 전문가들은 가장 중요한 것은 산업정책을 일관성 있게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중국 전문가들은 정부기관 정책입안자들의 문화적 소질을 제고하고 산업진흥 차원에서의 법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문화, 예술의 일종으로서 만화, 애니메이션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강화되어야 산업발전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더욱 미래지향적인 정책을 제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화·애니메이션의 문화적 기능과 역동성을 더욱 잘 발휘할 수 있다.

    더보기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14
    • 제3절 논문의 구성 18
    • 제2장 문화산업과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 19
    • 제1절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20
    • 1. 문화산업: 대중기만으로서의 계몽 20
    • 2. 아도르노의 테크닉 개념 38
    • 제2절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 예술론과 대중관 42
    • 1. 아우라의 붕괴 42
    • 2. 기술복제시대 대중의 예술수용 그리고 문화산업 47
    • 제3절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문화산업적 특성 54
    • 1.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정의 및 분류 54
    • 2.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특징 60
    • 3.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대한 선행연구 흐름 69
    • 제3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73
    • 제1절 연구문제 73
    •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참여자 선정 76
    • 제3절 연구의 신뢰성 검증 절차 80
    • 제4장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정책비교 83
    • 제1절 한중 문화콘텐츠산업정책의 사례와 특징 83
    • 1.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정책 83
    • 2. 중국 문화콘텐츠산업정책 87
    • 제2절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정책의 현황과 특징 96
    • 1. 한국 만화애니메이션산업정책 96
    • 2. 중국 만화애니메이션산업정책 115
    • 제3절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정책비교 및 시사점 126
    • 제5장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비교 141
    • 제1절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정책 기조 141
    • 1. 한국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체계 141
    • 2. 중국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체계 145
    • 제2절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사례와 특징 148
    • 1. 한국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148
    • 2. 중국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154
    • 제3절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비교 및 시사점 161
    • 제6장 한중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167
    • 제1절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167
    • 제2절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179
    • 제3절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인식 191
    • 제7장 결론 및 제언 204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의의 204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214
    • 참고문헌 217
    • 국문초록 228
    • ABSTRACT 230
    더보기
    • 1 김종옥, "2010년 한국만화동향",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1권, 86-92, 2010
    • 2 한창완, "<한국만화산업연구>", 글논그림밭, 서울: 글숲그림나무, 1995
    • 3 남기범, "「현대정책학 개론」", 조명문화사, 서울: 조명문화사, 2009
    • 4 임청산, "한국만화의 발전과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 료집>, 139-144, 1995
    • 5 강만길, "<고쳐 쓴 한국 현대사>",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5
    • 6 김병수, 윤기헌, 김일태, "<만화애니메이션 사전>", 경기도: 부천만화정 보센터, 2008
    • 7 정철현, "<문화연구와 문화정책>", 서울경제경영, 서울: 서울경제경영, 2005
    • 8 김평수, "『문화콘텐츠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9 장진영, "만화교육의 대안과 전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 회자료집>, 38-47, 2008
    • 10 최샛별, 최흡, "<만화! 문화사회학적 읽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 11 이용배, "<애니메이션의 장르와 역사>", 서울: 살림, 2014
    • 12 경태원, "만화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13권 2호, 20-23, 2015
    • 13 정석현,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의 의미",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70권, 423-450, 2012
    • 14 이진희, "한국 만화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8-25, 2008
    • 15 김일태, 정규하, 윤기헌, "<세계 만화애니메이션 역사사전1>", 경기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5
    • 16 김일태, 탕뢰, "중국 애니메이션산업과 정책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15호, 139-150, 2009
    • 17 김경모, 최원재, "App와 만화애니메이션산업의 연계성", <한국만화애니 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료집>, 52-65, 2011
    • 18 손상익, "새 술을 담는 ‘헌 부대’가 문제다", <계간리뷰>, 5권 3호, 303-309, 1998
    • 19 윤기헌, "<동아시아 근대만화의 특성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20 한창완, "<만화의 문화정치와 산업: 웹툰과 탭툰>",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2013
    • 21 방우송, "만화산업의 현황분석 및 발전방향 모색",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지>, 9권 3호, 18-22, 2011
    • 22 강태호, "예술의 변증법: 아도르노의 부정의 미학", <현상과인식>, 30 권 4호, 89-104, 2006
    • 23 김재필, 홍원균, 성승창,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 웹툰의 미래>", 서울: KT경제경영연구소, 2013
    • 24 김상욱,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의 발전과 전망”",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중국과 중국학>, 16권, 125-156, 2012
    • 25 김민규, 박태순, "<검열과 등급분류 사이: 세계심의제도 현황>", 한국게임산업개발원,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3
    • 26 이영규, "만화애니메이션의 한국적 수용에 관한 연구", <대덕대학 논 문집>, 18권, 535-548, 2000
    • 27 남중섭, "벤야민의 매체이론: 아우라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 구 37>, 81-93, 2011
    • 28 Adorno, T. W., "Asthetische Theorie . 홍승용 (역) (1997). <미 학이론>", 서울: 문학과지성사, 1970
    • 29 김재호, "한국 애니메이션산업 정책현황과 미래 방향점",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 학회지>, 6권 1호, 23-25, 2008
    • 30 송위, "중국 애니메이션 교육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31 신혜경, "<벤야민 & 아도르노: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 서울: 김영사, 2009
    • 32 김혜성, "<국내 4년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 교과과정 연구>", 홍익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33 박인하, "“한국 디지털만화의 역사와 발전 방향성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 연구>, 7권 2호, 64-82, 2011
    • 34 최종욱, "동일성의 해체주의자, 아도르노. <진보평론, 이론>", 통권 15 권, 237-268, 1996
    • 35 박경철, "만화애니메이션 저작권교육을 위한 대학교육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13호, 1-12, 2008
    • 36 김영재, "방송영상 콘텐츠로서의 애니메이션 지원제도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 니메이션연구>, 39권, 27-58, 2015
    • 37 김세훈, "콘텐츠의 핵심 스토리로서 만화 원작의 확장 가능성",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 메이션연구>, 8권 4호, 7-23, 2012
    • 38 김준영,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의 중국 진출 유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39 Adorno, T. W., Horkheimer, M., "Dialektik der Aufkl rung. 김유동 (역) (2001). <계몽의 변증법>", 서울: 문학과지성사, 1947
    • 40 장진영, "만화교육에서 만화읽기와 토론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 화애니메이션연구>, 15-35, 2008
    • 41 오혜정, "중국 애니메이션산업 발전의 특징과 경제적 파급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 북아문화연구>, 37권, 33-47, 2013
    • 42 이수운, "12, 5). 정부, 애니 육성 계획 이행 ‘미비’. <전자신문>", UR L: http://www.etnews.com/200712040163, 2007
    • 43 김진영, "「한-중 애니메이션산업 교류를 위한 지원정책 비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33호, 203-221, 2013
    • 44 이승진, "만화 OSMU 진화확장모델 연구: 윤태호 <미생>을 중심으 로", <애니메이션연구>, 11권 2호, 70-84, 2015
    • 45 김병수, 이원석, "3차 만화산업 중장기발전계획 수립과 전문인력양성 정책",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2권, 189-220, 2013
    • 46 방우송, "만화산업의 현황분석 및 발전 방향모색: 웹툰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12권 2호, 101-122, 2016
    • 47 전범수, 최믿음, "웹툰 이용동기 및 구성 요소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방송문화연구>, 26권 2호, 93-120, 2014
    • 48 류재용, "5, 19). 구글코리아 주최 유튜브 10주년 기자간담회. <아크 로팬>", URL: https://www.acrofan.com/ko-kr/detail_legacy.php?p aram1=ko-kr¶m2=live¶m3=content¶m4=20150519& param5=0003030301, 2015
    • 49 조영관, "<문화콘텐츠산업정책이 애니메이션 산업발전에 미치는 영 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50 한창완, "만화산업 현황과 과제/기획은 미국, 자본은 일본, 그림만 한국", <신문과방송>, 1996
    • 51 강진숙, "질적 연구방법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 위", 지금, 서울: 지금, 2016
    • 52 김상욱,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특징 분석을 통한 지원정책 방안 연구",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1권 1호, 23-42, 2011
    • 53 이상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애니메이션산업 고부가 성장 활성화 방안",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11권 1호, 159-186, 2015
    • 54 하종원, "한국 신문시사만화의 지형과 전망: 정치성과 풍자성을 중심 으로",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9권 3호, 609-643, 2009
    • 55 강수경, 김태영, 최세정, "웹툰 이용동기가 웹툰 이용과 PPL 인식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5-106, 2015
    • 56 강현주, 김진영, "문화예술교육에서 만화 애니메이션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개선방안",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6-187, 2013
    • 57 손상익, "<한국 신문시사만화사 연구: 풍자성과 사회비판적 역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58 오혜정, "개혁개방이후 중국문화산업의 정책적 발전과 주요 특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 13권, 53-84, 2012
    • 59 이상원, 최령령, "한중 애니메이션산업 비교를 통한 중국 애니메이션 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4권 2호, 225-242, 2008
    • 60 윤상호, "1, 24).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7 지원사업 설명회 성황리 개최. <저널25>", URL: http://www.journal25.com/news/articleVie w.html?idxno=501, 2017
    • 61 김성호, "6, 9). 물먹은 ‘애니메이션육성법’, 20대 국회서 부활할까. <머니투데이>", URL: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 &no=2016060908282566310&outlink=1, 2016
    • 62 Adorno, T. W., "Minima Moralia: Reflections from Damaged Life . 김유동 (역) (2005). <미니마 모랄리아>", 서울: 길, 1951
    • 63 유기환, "미메시스에 대한 네 가지 시각.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벤야민, 리쾨르", 세계문학비교학회, <세계문학비교연구>, 33권, 375-406, 2010
    • 64 여건종, "문화는 대중과 어떻게 만나는가 벤야민, 뉴레프트, 그리고 서사의 대중성", <새한영어영문학>, 55권 1호, 47-66, 2013
    • 65 정민경, "12, 1). 성인용이면 유해매체? “웹툰 등급기준 세분화해야”. <미디어오늘>", URL: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 =articleView&idxno=133638, 2016
    • 66 장진영, "<한국 만화문화의 생성과 수용과정 연구: 만화의 사회적 가 치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67 김영재,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 방안 연구: 공적기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8권, 17-35, 2010
    • 68 Adorno, T. W., "Prismen: Kulturkritik und Gesellschaft . 홍승 용 (역) (2004). <프리즘, 문화비평과 사회>", 서울: 문학동네, 1970
    • 69 김영재,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정책 비교 : 애니메이션 산업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3권, 45-65, 2008
    • 70 한상정, "만화산업에서 만화문화로, 대표적인 만화축제의 지향성 및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30권, 231-255, 2006
    • 71 김희경, "12, 7). 만화는 어린이책 인식 탈피 당당한 ‘문화산업 매체’ 로 인정을. <동아일보>", URL: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 /index.nhn?articleId=1998120700209136003&edtNo=45&printCount =1&publishDate=1998-12-07&officeId=00020&pageNo=36&printNo= 24059&publishType=00010, 1998
    • 72 김유경, 이창현, 손산산, "국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한류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6권, 2호, 2008
    • 73 김락희, 이보양, 박종훈, 박성종, "한국 만화산업의 글로벌화 전략에 관 한 연구: 웹툰의 발전과 글로벌화를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 술대회지>, 69-70, 2015
    • 74 김형수,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정책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과 애니 메이션산업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75 이상원, "<위기의 한국 애니메이션, 기회는 아직 있다: 애니메이션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제10회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12
    • 76 권재웅, 박승현, "만화산업의 발전과 진흥 사례연구: 한국만화영상진흥 원의 리메이크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9권, 199-224, 2010
    • 77 Adorno, T. W., Horkheimer, M., "Dialektik der Aufklaerung : Philosophische Fragmente . 김유동 (역) (2001).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서울: 문학과지성사, 1969
    • 78 이영주, 한창완, 채정화, "웹툰 서비스의 사용편리성과 상호작용적 행위 가 서비스 만족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8 권, 259-286, 2015
    • 79 최믿음, "<웹툰 이용자의 이종미디어 콘텐츠 연계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Flow-DTPB 융합 모델의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80 박유신,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사차원 교육과정 개발과정 연구: 만 화애니메이션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3권, 387-433, 2016
    • 81 한창완, "만화애니메이션전공 대학교육에 대한 분석 및 대안연구: 1996년-2006년 동안의 취업현황을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연구>, 4권 1 호, 153-168, 2008
    • 82 임학순,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만화산업정책 방향설정에 관한 시 론적 연구: 문화권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0권, 91-106, 2006
    • 83 김창수, "<문화공공성 개념에 입각한 각 정권별 문화산업정책 비교연구: 영화와 문화콘텐츠 정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84 오동일,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의 활성화 방안: 산업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가난한 애니메이션’에 대한 접근", <애니메이션연구>, 11권 4호, 81-95, 2015
    • 85 여로, "<중국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애니메이션 교육모델 연구: 한국 대학 애니메이션 교육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86 김종두, 사술복, "중국 만화애니메이션 창작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국가광전총국 지원정책에 따른 제작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 이션연구>, 35권, 209-226, 2014
    • 87 강진숙, 김지연, "SNS 독서 커뮤니티의 집단지성과 미메시스 실천에 관한 연구: 벤야민의 미메시스와 레비의 집단지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 송학보>, 29권 4호, 225-259, 2015
    • 88 김세훈, "문화콘텐츠 수용 환경이 콘텐츠 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애니메 이션 효과에 대한 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정책논 총>, 27권 1호, 199-221, 2013
    • 89 진현진, "5, 9). 창작자 표현의 자유 보장하고...문제발생시 사회적 합 의 도출...‘웹툰자율규제위원회’ 내달 출범. <디지털타임스>", URL: http:/ /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50902101231043001, 2017
    • 90 강진숙, 정나리, "문래동 예술촌의 공공예술 실천에 대한 연구: 아도르 노의 미메시스(Mimesis)와 벤야민의 ‘적극적 동반자’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6호, 87-109, 2014
    • 91 여선하, 홍종필, "공공기관의 해외 문화예술사업 특성에 따른 국가 이 미지 제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독일 및 프랑스 사업 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6권 6호, 334-365, 2012
    • 92 이정기 ( Jeong Ki Lee ), 바냐콜레바 ( Koleva Vanya Slavche ), 구자영 ( Ja Young Koo ), 최선률 ( Sun Ryul Choi ), 김보미 ( Bo Mi Kim ), 김병규 ( Byung Gue Kim ), 이유진 ( You Jin Lee ), ""웹툰 이용동기와 계획행동이론 변인이 웹툰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관람, 유료 콘텐츠 전환시 이용, 캐릭터 상품 구매의도의 비교"",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커뮤니 케이션학연구>, 22권 2호, 89-121, 2014
    • 93 강진숙, "미디어 능력 제고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과제와 문제점 인 식 사례 연구: 심층인터뷰와 Eㅡmail 인터뷰를 이용한 미디어 교육 전 문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1호, 91-113,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