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기형도 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1-110(30쪽)
제공처
소장기관
기형도의 시 세계에 대한 해석에 있어 사회학적 접근은 거의 되지 않은 편이다. 기형도 시 연구는 김현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의 자장 안에서 주로 개인적 화자가 느끼는 고뇌의 양상을 밝히는 데 주력해왔다. 하지만 그의 시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언급이 많이 드러나 있다. 그의 시에서 ‘나’를 제외한 대상은 단순히 특정 타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나 그 사회를 움직이는 구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기형도 시에서 나타난 비극적 세계인식도 바로 이러한 사회적 불합리성 및 폐쇄성에서 온 것이다.
또한 기형도의 작품 중에서, ‘불안’을 드러낸 시는 많은데 이는 시적화자로 대변되는 개인 차원에서의 불안이다. ‘삶이 곧 고통’이라는 그의 인식은 운명적으로 주어진 부정적 세계관이 아니라, 사회의 구조상 개인의 운명이 비극이 되었다는 데서 기인한다. 이러한 절망감은 단순히 현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에 걸쳐 있다. 따라서 불안은 연속적이고, 절망이 되어, 종내에는 고착된다. 이는 지그문트 바우만이 지적한 ‘유동하는 근대’의 특성이며, 이것이 개인의 불안을 가속시키는 원리이다.
막스 베버의 관점에서 기형도의 작품을 보면, 사회 속의 개인은 사회경제적 지위로 인해 결정되는 계급과, 정치적 억압에 따라 자유를 구속당한 계층을 벗어나기 힘들다는 이야기로 읽을 수 있다. 『전문가』, 『안개』가 벗어날 수 없는 사회 구조 속의 ‘붙잡힌 개인’을 그려냈다면, 『진눈깨비』 와 『오래된 서적』은 그런 현실 속에서 ‘공고화된 비극적 세계인식’의 실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 속의 검은 잎』과 같은 작품에서, 기형도는 이러한 사회에 대해 저항할 것을 천명한다.
본고는 사회학적 관점의 접근을 통해 기형도의 시 세계를 해석한다. 이에 따라 그가 ‘개인적 내부 세계’만을 그린 것이 아니라 ‘사회 속의 개인’에 대해 양상을 살피고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기형도 시 연구의 초점이 되었던 시적 화자 및 개인의 차원에서 벗어나,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기형도의 시 세계를 조망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Translations of the world of Hyeong-do Ki’s poetry, at least in a Sociological context haven’t been made often. The study of Hyeong-do Ki’s poetry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revealing individual feelings of the anguish of “grotesque reality”. However in his poetry, he mentions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society. In his works, objects beside “I” are not simply indicating someone else. They refer to society or the fabric which moves society. The tragic world recognition that appeared in his works came from these social irrationalities and from closure.
Also, among his works, there are many that show signs of “anxiety”, that is individual anxiety speaking for the poetry speaker. The concept that ‘life is pain’ is not a negative view of the world formed by destiny, but rather it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destiny of a person can become a tragedy. This despair is not just limited to the present, but to the past and future. So anxiety continues to become despair, becoming permanent. This is the characteristic(feature) of ‘Liquid Modernity’ that Zygmunt Bauman pointed and the principle to accelerate each individual’s anxious.
In the view of Marx Beber, Hyeong-do Ki’s works can be read as stories where individuals in society can’t escape their social status which is dependant on their socio-economic standing. Professional and Fog describe those nervous individuals, while Sleet and The Old Book represent the truth of ‘consolidated tragic world recognition’ in that reality. Nevertheless, Hyeong-do Ki makes clear that we need to protest a society that works like the one in Black Leaf in the Mouth.
This thesis interprets the world of his poems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With this, I am trying to prove that he doesn"t only describe the ‘individual inner world’, but that he investigates the aspect of the ‘individual in society’ and shows the way we, as society, should go.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tries to escape the main theme of the poem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poetic speaker and individuals, and makes us see his world with a wider viewpoi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