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613・614년 高句麗-隋 전쟁에 보이는 遼西 상황과 隋軍의 전략 = The Situation of Liao Xi Region and the Strategies of the Imperial Force of Sui in the Third and Fourth Goguryeo-Sui Wa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114(3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paper, it was tried to review the formation of the armies of Sui(隋) during the war between Goguryeo(高句麗) and Sui in 613 and 614, and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e strategy of Sui the war between 613 and 614 by comparing the strategy of the Sui identified in the review and the military strategy of Sui in the war with Goguryeo in 612. In addition, it was tried to examine the situation of Liao Xi(遼西) and the movement of the Sui army in the contact zones with Goguryeo seen in the war in 613.
Looking at the strategy that Emperor Yangje(隋 煬帝) of Sui devised in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ui in 613 and 614, it is found that he supplied the final military supplies to the corps before they entered the area of rivers of Goguryeo making the old castle of Goguryeo located in Liao Xi as the foremost logistics base after entering the lower part of Daereungha(大陵河) and east of Mt. Euimureyo(醫巫閭山) in 603 and 604 and establishing Liaodonggun(遼東郡) showing off its influence in all the area of Liao Xi which is the border between Goguryeo and Sui since the war in 612. As Sui had influence on the all areas of Liao Xi as such, Liao Xi lost the characteristic as a buffer between two countries as the contact zones.
Furthermore, he did not change much by appointing the personnel who participated in the war in 612 for the expedition, but he reduced conscripted soldiers and increased recruited soldiers in general force. He organized navy as two corps and limited their roles to the army supply, and gave 便宜從事權 to the commanders of the corps. In addition, he attached various castles of Goguryeo simultaneously while advancing to Goguryeo. He also formed a detached force to advance to Pyongyang Castle(平壤城) of Goguryeo bypassing the castles that his army could not defeat.
In the expedition in 613 and 614, Emperor Yangje adopted strategies that were attributed to other commanders or soldiers after revision and his own strategies without revis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ar in 612. It was because if he made a lot of changes in his strategies, it might be considered that he acknowledged the strategic error in the war in 612 and that he was the one to blam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strategy of the Sui in the wars in 613 and 614 shows his intention to prevent the weakening of the imperial power by avoiding the attribution of the defeat of the war to himself.
본고에서는 613・614년 高句麗-隋 전쟁 당시 隋軍의 군단 편성과 전쟁 수행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파악된 수군 전략과 612년 고구려-수 전쟁 당시 수군 전략을 비교함으로써 613・614년 전쟁에서의 수군 전략 속에 담겨진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전쟁 직전 고구려와 수의 접경공간인 遼西의 상황과 이에 따른 수군의 행보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隋 煬帝가 613・614년 전쟁에서 구사한 전략을 보면, 먼저 612년 전쟁 이후 요서 전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遼東郡을 설치한 상황 속에서 고구려 옛 성 武厲邏를 최전방 군수물자 보급기지로 삼았다. 이와 같이 수가 요서 전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郡을 설치하면서, 요서는 양국의 접경공간으로서 완충지대라는 성격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원정군 편성에 있어서는 募兵을 통해 선발한 驍果를 대거 참여시켰고, 水軍은 2개 군으로 편성하면서 전투 수행보다는 육군에게 군량미를 수송・보급하는 역할에 비중을 두었으며, 각 군 지휘관에게는 便宜從事權을 부여하였다. 또한 여러 루트를 통해 고구려로 진군하면서 동시다발적으로 고구려 성들을 공격하였고, 한편으로는 별동대를 편성해서 점령하지 못한 고구려 성을 우회하여 平壤城으로 진군하였다.
기본적으로 수 양제는 613・614년 고구려 원정에서 612년 전쟁 종결 후 장군이나 군사에게 패배 책임을 돌렸던 전략에 대해서는 수정하여 채택하였고, 본인이 주도한 전략은 그대로 채택하였다. 자신의 전략을 크게 수정하여 원정에 나선다면 612년 전쟁에서의 전략적 착오를 인정하고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에게 전가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즉, 613・614년 전쟁 당시 수군이 구사한 전략 이면에는 612년 전쟁 패배에 대한 책임을 회피함으로써 황제권의 약화를 막으려고 했던 수 양제의 의도가 담겨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9 | 1.814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