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오’계 어미 활용형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오ᄃᆡ}와 {-오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rphophonological Changes of the ‘O’-type Verb Endings: Focusing on {-오} and {-오려}
저자
윤예진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5-224(40쪽)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활용형의 변화와 관련하여 어미 역시 하나의 패러다임을 이루고 유추적 변화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오’계 어미 중 {-오}, {-오려}의 결합형의 변화를 살폈다. 이들은 모두 16세기 후반부터 각각 {-으되()}, {-으려}의 변이형을 가진다. 앞선 연구들에서는 ‘-오-’의 소멸과 관련하여 이들 어미의 ‘오’가 약화되거나 이화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16세기에 나타나는 초기 예들은 모두 약화될 만한 표면적 ‘오’가 부재하거나, 약화로 설명할 수 없는 어형을 보인다. 이는 이들의 분포가 (둘 모두로 해석될 수 있는 ‘아, 어, 오, 우’ 뒤를 제외하면) 모두 ‘/으’, ‘이’ 뒤에 결합한 예에 편중된다는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예의 편중성은 16세기 언간 자료인 ‘순천김씨묘출토간찰’과 17세기 간본 자료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서도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15세기, 16세기에 모음충돌 상황에서 어미 두음의 ‘오’가 탈락하거나 어간 말음과 합음된 예(‘일우오ᄃᆡ > 일우ᄃᆡ’)로부터 재분석을 통해 형성된 {-으X}형 변이형이 평준화를 통해 분포 영역이 확대된 것으로 보았다(‘아, 어, 오, 우’ 뒤 > 모든 모음 뒤 > 모음+반모음 j 뒤 > 모음+반모음+유음 뒤 > 모든 환경). 이는 곧 유추적 평준화로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이 자음어미가 아니라 ‘으’계 어미 변이형을 가지게 된 것에는 ‘ㅸ>w’의 변화를 통해 일어난 재분석과 더불어 관계절과 보문절에서의 {-오-} 개재형과 비개재형의 합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다. 후자는 패러다임 간 유추적 확장의 예로 볼 수 있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onjugated forms of ‘오’ verb endings, focusing on the {-오} and {-오려}, to confirm that verb endings also form a paradigm and may exhibit analogical changes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conjugated forms. Both of these endings have variants {-으되()} and {-으려} from the late 16th centur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오’ in these endings weakened or differentiated due to the disappearance of ‘-오-’. However, early examples from the 16th century do not exhibit a surface ‘오’ that would be subject to weakening, nor do they show forms that can be explained by such weaken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ir distribution is concentrated in examples combined with ‘/으’ and ‘이’ (except where they follow ‘아, 어, 오, 우’, which can be interpreted in either way). This distribution pattern is also observed in the 16th-century epistolary materials ‘순천김씨묘출토간찰’ and the 17th-century text 『동국신속삼강행실도』. This paper argues that the {-으X} variants, formed through reanalysis from examples where the initial ‘오’ of the ending was either deleted or fused with the final sound of the stem in hiatus context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일우오ᄃᆡ > 일우ᄃᆡ’), expanded their distribution through leveling (from following ‘아, 어, 오, 우’ > all vowels > vowel + semivowel j > vowel + semivowel + liquid > all environmen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alogical leveling.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se endings have ‘으’ variants rather than consonantal variants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reanalysis that occurred through the change from ‘ㅸ>w’, along with the merger of {-오-} mediating and non-mediating forms in relative and complement clauses. The latter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analogical extension across paradigm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