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I 시대 이론언어학 살아남기 = Surviving Theoretical Linguistics in the Age of AI
저자
박종후 (동지사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69-283(15쪽)
제공처
이 글은 2023년 일본의 언어학자인 마치다 아키라(町田章)가 쓴 『AI時代に言語学の存在意味はあるのか?-認知文法の思考法(AI 시대에 언어학의 존재 의미는 있는가?-인지문법의 사고법)』을 대상으로 그 내용을 소개하는 서평이다. 앞으로 본격적으로 도래할 AI 시대에 앞서 이론언어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그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책에서 는 앞으로의 AI 시대에 이론언어학의 생존 조건으로서 AI 연구의 성과와 모순되지 않는 언어관을 가져야 하고, 아울러 여전히 다양한 과제가 남아 있는 AI 연구에 이론언어학이 적극적으로 제언해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생득적 보편문법을 주장하는 생성문법보다는 용법기반모델을 토대로 하는 인지언어학, 특히 인지문법이 지금 이 시대에 더 맞는 이론적 기반이 되리라 주장한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AI연구와의 정합성 또는 친밀성을 토대로 한 저자의 주장일 뿐 이것이 인간 언어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한 절대선의 연구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향후 AI 연구가 더욱 더 발전해 간다면 인지언어학의 영향력 또한 더 커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편, 외국어교육 분야에서도 AI의 영향은 매우 큰데, 저자는 언어를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보는 오늘날 외국어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깊은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교양 교육의 일환으로 회귀할 것을 제시한다.
더보기This article is an introduction and book review of “Is Linguistics Necessary in the Age of AI?: From a Cognitive Gramma Point of View” by Akira Machida, a Japanese linguist, written in 2023. It aims to reaffirm the value of theoretical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efore the AI era that will come in earnest in the future, and to explore its direction. This book argues that as a survival condition for theoretical linguistics in the future AI era, it should have a language view that does not contradict the achievements of AI research and that theoretical linguistics should actively suggest AI research, which still has various tasks. To do this, it is argued that cognitive linguistics, especially cognitive grammar based on usage-based models, will be a more suitable theoretical basis for this era than generative grammar that claims innate universal grammar. Of course, this is only the author's argument based on consistency or intimacy with AI research, not that this is an absolute study to reveal the essence of human language. However, if AI research develops further in the future, I think the influence of cognitive linguistics will also increase. On the other hand, AI’s impact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also significant, and the author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day, which sees language as a simple means of communication, and suggests returning to liberal arts education for deepe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