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월트 휘트먼의 작품에 나타난 해양 풍경 = ‘포마녹’에 관련된 바다와 섬의 일체성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14(3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고향 롱 아일랜드(Long Island)의 풍요로운 해양 환경 속에서 성장했기에 월트 휘트먼(Walt Whitman)은 바다와 섬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많은 시를 창출해낼 수 있었다. 1855년에 출간된 첫 시집 『풀잎』(Leaves of Grass)에서부터 바다는 휘트먼의 중심 주제로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더욱이 풍성한 해양 풍경을 보여주는 『풀잎』의 많은 시들은 미국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롱 아일랜드의 원래 이름이자 동시에 일평생 휘트먼을 변함없이 매료시킨 ‘포마녹’(Paumanok)과 불가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휘트먼은 시와 산문을 통해 포마녹의 지리적 범위를 그가 가장 오랜 기간 거주했던 브루클린까지 아우르고 있다는 점은 중요하다. “나는 때때로 나 자신이 롱 아일랜드의 일부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나는 소년과 성인으로서 브루클린과 몬턱 포인트에 이르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살아오고 있다”는 그의 말은 이런 사실을 단적으로 입증해준다.
자신을 포마녹과 동일시하면서 휘트먼은 그 섬에서 어린 시절 그가 했던 일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풀잎』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풀잎』을 통해 「포마녹에서 출발하여」(“Starting from Paumanok”), 「새처럼 날아 포마녹에서 출발하여」(“From Paumanok Starting I Fly Like a Bird”), 「포마녹」(“Paumanok”) 등 포마녹을 시적 제재로 다룬 시를 찾기는 어렵지 않다. 더욱이 「바다의 표류」(“Sea-Drift”)라는 타이틀에 수록된 대부분의 시는 포마녹과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휘트먼은 바다라는 “유동적이고 신비한 주제”와 포마녹의 고유한 장소성을 결합시킴으로써 그의 상상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었다. 「바다의 표류」의 시들은 이제 막 여정에 오른 미숙한 시인이 더욱 성숙한 시인으로 변모하는 성장 과정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시인이 얻게 된 모든 것을 연결 짓는 “광대한 유사성”이라는 새로운 비전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진정한 상호 관계를 토대로 하고 있기에 생태학적 사유와 상통한다.
“광대한 유사성”을 발현시킴으로써 휘트먼은 포마녹이라는 지리적 경계를 초월하여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를 지속가능한 장소로 변형하길 염원했다. 이런 맥락에서 휘트먼이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질병, 생태계 파괴, 범죄 등 환경오염과 사회문제가 만연해 있는 뉴욕을 디스토피아적 공간을 상기시키는 “고모라”로 간주한 것은 그의 도시생태학적 상상력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풀잎』을 통해 휘트먼이 뉴욕이라는 단어를 지양하고 포마녹에서 연유한 “토착적인” 어떤 것을 담아내고 있다고 끊임없이 역설한 “나의 도시 매나하타”(Mannahatta my city)는 다름 아닌 탈경계적이고 생태학적 사유를 포괄하는 그의 “광대한 유사성”의 요체인 것이다. 이렇듯 해양 풍경과 불가분적 연관성을 지니며 시인에게 “광대한 유사성”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촉발시키는 포마녹은 휘트먼의 상상력의 정수가 되고 있다.
Since he grew up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his hometown Long Island, Walt Whitman could write many poems inspired by the sea and the island. From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Leaves of Grass published in 1855, the sea is remarkably used as Whitman"s primary subject matter. His numerous poems on maritime landscapes are inevitably related to the setting of Paumanok, the aboriginal name of Long Island, with which Whitman is invariably fascinated throughout his entire life. It is important that the poet in his works includes the geographical range of Paumanok up to Brooklyn in which he lived for the longest period by stating “I have lived in nearly all parts, from Brooklyn to Montauk Point.” Identifying himself with Paumanok, Whitman reveals that his doings in the island are woven all through Leaves of Grass. Consequently,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e poems on Paumanok such as “Starting from Paumanok,” “From Paumanok Starting I Fly Like a Bird, “Paumanok,” etc. Furthermore, most of his poems which the poet published under the name of “Sea-Drift”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Paumanok.
Whitman was able to expand his vision by incorporating the “fluid and mystic theme” of the sea with the indigenous placeness of Paumanok. The poems in “Sea-Drift” cluster explicitly show the poet"s growth process from an outsetting bard to a mature poet. His accomplished vision of “vast similitude” which interlocks all is parallel to the ecological thought as it is based on a tru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Whitman with a new vision of “vast similitude” desires to transform New York where he live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to a sustainable city, transcending the geographical limit of Paumanok. In Leaves of Grass, his invariable preference for calling “Mannahatta my city” over “Gomorrah” New York, which signifies a dystopian place, is believed to be the fruit of Whitman"s new vision. Indivisibly related to the maritime landscapes, Paumanok, which inspires Whitman to have the “vast similitude,” acts as the essence of the poet"s imagin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629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