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IMF체제하의 수출정책방향 = EXPORT POLICY DIRECTIONS FOR POST-FINANCIAL CRISIS ERA
저자
박태호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349.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2(22쪽)
제공처
소장기관
수출증대는 현재 한국이 겪고 있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수단의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1998년 우리의 수출실적은 아시아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수요의 하락으로 저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의 수출감소 원인을 객관적으로 분석해 보면 우리 경제의 구조적 불안정과 한계를 여러모로 살펴 볼 수 있다. 한국은 1960년대 초반부처 정부 주도의 수출신장정착을 추진하였다. 즉 정부는 강력한 정책지원으로 수출성장을 유도하였고 기업은 정부의 보호아래 풀질경쟁력 향상을 외면한 채 양적인 팽창에 더 주력해 왔다. 그 결과 우리의 수출상품은 질적인 측면에서는 선진국에 뒤지고 가격경쟁력 측면에서는 후발개도국들에 뒤떨어지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제 우리 경제가 IMF체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부정책은 물론 기업활동 등 경제 전반에 근본적인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혁의 핵심은 정부주도형 경제발전전략을 시장경제에 바탕을 둔 민간주도형 발전전략으로 전환하는 데 있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앞으로의 수출지원정책은 과거의 형태로 추진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는 무엇보다도 우리 상품이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외국시장으로 원활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국제무역규범을 준수하고 무역관련 정책과 제도를 이에 부합하도록 개선해 나가야 한다. 기업은 세계경제환경의 변화를 직시하고 정부의 새로운 수출여건 조성을 바탕으로 국제경쟁력과 수출역량을 키워 나가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Since November 1997 when the financial crisis erupted in Korea, the government has recognized and emphasizrd the importance of export enhancement as one of the most basic solution to the current economic turmoil. However, in 1998 exports recorded a 2.2% decline due mainly to the decreased world demand caused by the economic turmoil in Asia. The analysis of this disappointing export performance reveals various limitations of Korea's export structure especially in terms of its concentrated product mix and overall low competitiveness.
The export-led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adopted by Korea since the 1960s wa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close government-business relationship. Powerful and interventionist government led the economy to grow at accelerated pace through various industrial policy measures. Businesses, in turn, failed to acquire the needed competitiveness. As a result, despite the remarkable growth of Korean export over the years, it has also become un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
In formulating trade policy, the government must break away from the past practices and adopt a drastically different position. Beginning with the elimination all regulatory barriers that are preventing Korea's competitive products to be exported abroad, the policy should be given to create an environment under which domestic industries can develop into world-class manufacturers. The businesses, on the other hand, must make an effort to identify changing world market environment and work to enhance their genuine competitivenes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