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위장 서사로서의 남장여자 서사 구조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Cross-Dressing Female Stories as Disguise Narratives
저자
김여주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9-282(24쪽)
제공처
본 연구는 남장여자 서사의 위장(僞裝)에 주목하여 남장여자와 위장을 파악하는 주변 인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고전과 현대의 남장여자 서사 양상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군으로 확립되어 장르성을 띠는 여성영웅소설과 남장여자 드라마를 비교하였다.
남장여자의 정체성을 위장된 ‘남성’, 본래의 ‘여성’, 그리고 ‘남장여자’라는 세 층위로 구분하고, 주변 인물이 이를 인식하는 과정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무지’, ‘경이’(thaumazein), ‘난관’(aporia)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만, 여성영웅소설에서는 천자라는 초월적 존재가 ‘경이’를 통해 남장여자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반면, 현대 콘텐츠에서는 로맨스 상대인 평범한 개인이 지속적인 난관을 겪으며 남장여자를 이해해 나가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가치 판단의 중심이 절대적 권위에서 개인 간의 관계로 이동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남장여자 캐릭터가 비범한 능력을 지닌 영웅적 존재에서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인물로 변화한 점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sguise aspects of narratives featuring cross-dressing wome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ross-dressing women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who recognize their disguise, thereby deriving patterns of cross-dressing narratives in both classical and contemporary context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mpares novels featuring female heroes and dramas featuring cross-dressing women that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distinct genres.
The study categorizes the identity of cross-dressing women into three layers: the disguised ‘male’ persona, the original ‘female’ identity, and the composite identity of the ‘cross-dressing woman’ herself. The process by which surrounding characters recognize these identities is analyzed through Aristotle`s concepts of ‘ignorance’, ‘wonder’(thaumazein), and ‘aporia’. Throughout different eras, narratives featuring cross-dressing women have functioned through ‘disguise’ and the recognition thereof.
However, distinct patterns emerge between different periods. In novels featuring female heroes, a transcendent figure—the emperor—recognizes and accepts the cross-dressing woman through ‘wonder’, whereas in contemporary content, ordinary individuals who serve as romantic partners gradually understand the cross-dressing woman while experiencing continuous difficulties. This indicates a shift in the center of social value judgment from absolute authority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y also confirms that cross-dressing female characters have evolved from heroic figures with extraordinary abilities to everyday, realistic individual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