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畿湖學派의 心性論 = The Theory of Human Nature of the Kiho Schoo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76
작성언어
Korean
KDC
840.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7-104(18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Kiho School originated by Lee Yulkok,(李栗谷) whose theory is based on the Theory of Oneness of Li Qurriding Ch'i(氣發理一途說), thus oppoes to the Theory of Mutual Happening of Principle and Energy propounded by Lee Toegae(李退溪), Consequently,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Yulkok, based upon the principle that mind indicatis ch'i and human nature is li(心是氣性則理). classifies human nature into moral nature(本然之性) and disposition(氣質之性). However, by pursuing disposition enclosed in li inherent in ch'i, moral nature is absorbed in disposition. This is the theory nomed Disposition Enclosing Inherent Moral Nature(氣質之性包本然之性). Thus, in the matter of feeling as the beginning of temperament, Yolkok discriminates four beginning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In his case, therefore, four beginnings are absorbed in seven feelings. Thus, in his case again, feeling becomes seven feelings enclos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exist in both good and evil, and four beginnings in pure goodness; in consequence, the four beginnings point to goodness alone enclose in the seven feelings. On the other hand, Toegae maintains the theory of Multual Eruption of Li and Ch'i; consequently, reason originates i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n ch'i.
Thus his theory becomes four-Seven Li-Ch'i Multual Eruption(四七理氣互發說).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Yulkok, since ch'i erupts, with li overriding ch'i, ch'i is the only one originating in eruption, and li simply rides over ch'i as a principle inherent in ch'i origin.
Therefore, the conceptual differences concern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occur between Toegae and Yulkok. The former holds that four beginnings is pure goodness as the origin of li, and seven feelings points to existence of both and good and evil as the origin of ch'i whereas the latter holds that seven feelings are the sum total of feelings, and four beginnings only point to that part of goodness included in seven feelings. The idea of seven feelings embrasing four beginnings corresponds to his theory of disposition holding moral nature.
To put this in modern terms, Yulkok's seven feelings means the combination of reason and sensibility, but Toegae's four beginnings implies reason and his seven feelings implies sensitivity. And Yulkok's philosophical structure, standing on the fundamental stance of the theory that “li embraces and penetrates all but ch'i is limited”(理通氣局說) serves as the source of Ho-rak disputes among the later scholar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