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공공역사 연구의 가능성과 지향 = The Possibilities and Visions of Public History Studies in Korea
저자
이하나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8-198(31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한국에서 공공역사가 역사학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기 위해 어떤 조건과 노력이 필요할지를 제시함으로써 공공역사 연구가 나아가야 할 하나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試論이다. 공공역사(public history)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공공역사와 공공역사에 대한 연구 및 서술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 글에서는 학계 밖에서 일어나는 역사 활용을 의미할 때는 ‘공공역사’를, 역사학의 영역으로서의 공공역사를 논할 때는 ‘공공역사 연구’라는 용어를 쓴다. 한국에서 공공역사가 역사학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역사학자를 가장 곤혹스럽게 만드는 것은 공공영역, 대중영역에서 일어나는 모든 역사 형식 가운데에는 학계의 연구 성과와 무관하거나 상반되는 내용, 심지어 역사왜곡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들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공공역사는 공공성을 이미 획득한 역사라는 뜻이 아니며, 여러 상반된 주장과 담론이 경합을 벌이는 과정 자체가 공공역사의 현상이며 존재 형태이다. 공공역사를 생산자의 성격에 주목하는 관점에서 분류해 보면 1) 대중을 향한 역사(history to the public)와 2) 대중 안의 역사(history in the public)로 나눌 수 있다. 제작의 주체가 뚜렷이 드러나는 전자의 범주에서 대중을 향해 만들어지는 역사 재현물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역사(문화)콘텐츠’라고 부르는 영역으로 한국의 공공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000년대 초반 한국산 개념으로 탄생한 문화콘텐츠 연구는 많은 학회와 저널을 탄생시키며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정체성을 쌓아나가고 있지만, 역사문화콘텐츠 분야는 문화콘텐츠의 하위 분야이기 보다는 역사학의 하위 분야로서 공공역사의 사각에서 다시 사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공공역사는 동시대 사회문화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그간 한국사학계에서 취약한 분야였던 문화사적 시각과 부문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기반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역사 연구는 현재사로서 이론적 논의에서 실천의 기술까지 아우르면서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역사학계에 비평적 글쓰기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plore one possible vision for public history research in Korea by suggesting what conditions and efforts would be required to establish public history as a field of history. The term public history implies the study and description of public history as it exists in reality. In this article, I use the term ‘public history’ to refer to the use of history outside of academia and ‘public history research’ to discuss public history as a field of history. There are many hurdles to overcome for public history to become a part of the discipline of history in Korea. What troubles historians the most is that among all the forms of history that take place in the public sphere, there are some that are irrelevant or contradictory to academic research, and some that even distort history. However, public history does not mean history that has already acquired publicness, and the process of competing claims and discourses is itself a phenomenon and form of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can be categorized into 1) history to the public and 2) history in the 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e producer. In the former category, where the subject of production is clearly visible, historical reproductions made for the public exist in various forms in both offline and online spaces. This is what we call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s public history. Although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was born as a Korean concept in the early 2000s, has been building its own identity as a discipline by giving birth to many conferences and journals, the field of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are not a subfield of cultural contents but a subfield of history, which raises the need to rethink public history from a perspective of public history. In addition, public history can be said to be a contemporary socio-cultural history, which means that it needs to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research of cultural history perspectives and sectors, which has been a weak field in Korean history. The study of public history, as a current history, needs to be conducted in a way that encompasses theoretical discussions as well as practical techniques, and will trigger critical review in the field of histor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