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운몽> 창작에 끼친 가족 관계의 영향과 수용 양상 =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Expression of Guunmong and Aspects of Reception of the Wor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3-106(4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김만중은 윤 부인을 위로하기 위해 <구운몽>을 지었다고 한다. 그런데 윤 부인은 김만중뿐 아니라 김만기의 어머니이고 김익겸의 아내이다. 그리하여 작품의 창작 동기에서 윤 부인과 함께 가족 관계까지 살펴보아야 그 위로의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작가의 전기적 사실이 <구운몽>에 투영된 양상을 살펴서 가족 관계와 등장인물 간의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는 중에 작가의 의도를 추정하고 일차 독자인 윤 부인과 가족 중심의 소설 수용, 나아가 대중적인 인기의 요인까지 살펴보았다.
김만중이 평생 아버지를 보지 못한 한을 품고 어머니에 대한 효도로 일관하였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부모에 대한 의식 외에도 형 김만기와의 친밀한 관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귀양살이 중에 형의 문집을 엮으면서 <기몽 병서>와 같은 글을 읽고 평소 형이 지녔던 속세 초탈의 뜻에 깊은 감회를 느꼈을 것이다. 가족 관계에 대한 이러한 정서와 의식이 <구운몽> 창작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인물 형상을 살펴보아도 가족 관계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 양소유의 탄생, 양 처사의 선거, 남전산 도인의 거문고와 퉁소 전수 등에서 작가의 아버지 김익겸에 대한 추모와 음우(陰佑)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유 부인의 홀로됨, 영달한 아들이 베푼 수연, 벌주 장면 등에서는 어머니 윤 부인에 대한 죄송함과 애절함, 감사의 마음이 실제와 유사하거나 상반되게 나타나 있다. 양소유와 월왕의 낙유원 대회는 작가가 고인이 된 형 김만기와 함께 추구했던 정치적 이상의 허구적 재현이라 할 만하다. 이와 같이 작가의 가족 관계와 <구운몽>의 인물 형상은 유사성과 상반성의 양면에서 관련된다.
이로써 어머니에 대한 위로라는 창작 동기는 어머니를 둘러싼 가족 관계를 포함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설의 일차 독자로서 윤 부인은 양소유의 애정 성취와 가문 구축, 인생 일장춘몽의 주제뿐 아니라 작품 곳곳에서 시사되는 가족 관계를 통해 작가 아들의 진심어린 위로를 수용했으리라 추정된다.
이러한 관점은 작품의 대중적 수용 양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어머니와 가족을 매개로 한 욕망이라는 점을 통해 애정 서사의 성격이 좀 더 온화하고 풍성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결연의 목적은 애정 추구를 넘어 가문 구축, 부귀영화의 구현이 되도록 한다. 유력 가문과의 결연을 통해 자기 가문을 이룩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는 모습은 당대인의 상상적 기대에 부응한 것이다. 일차 독서 이후 대중적인 인기를 끈 것은 당대인의 일반적인 가족 관계와 가문에 대한 의식에 바탕을 두었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이 본고는 전기적 자료를 좀 더 세밀히 검토하여 작가와 작품 간의 관련성을 찾아보고 일차 독자의 수용 양상과 대중적 인기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김만중의 <구운몽> 연구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를 바란 것이다.
Kim Man-Jung wrote Guunmong to comfort his mother Mrs. Yoon, but she is not only Kim Man-Jungs mother but also Kim Man-Gi's mother and Kim Ik-gyeom's w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mily relationships with Mrs. Yoon in the motivation of expression of the novel, so that the meaning of comfort can be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This study tr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s family and characters of the work b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biographical facts reflected on Guunmong.
There is a considerable correlation between the author's family and the contents of the novel. In the scenes of Yang So-Yu's birth, the Taoist death of his father, string and wind instruments of Taoist hermit in Mt. Namjeon etc., the memorial of the author's father Kim Ik-Gyeom and the consciousness of his aid from otherworld. In the scenes of Yang So-Yu's mother Mrs. Yu's becoming widow, the birthday feast for her set up by succeeded son, and the humorous punishment with liquors etc., the sorriness, sadness, and gratitude for author's mother Mrs. Yoon are put in with similar or contradictory to the reality. The preface of Gimong(poem of dream) written by Kim Man-Gi seems to influence the expression of the work because it has similar aspects such as the composition of the dream structure of Guunmong, the excursion into Mt. Jongnam of Yang So-Yu, and the enlightenment of a Buddhist monk. Yang So-Yu and Wolwang's feast on Nakyuwon is fictional embodiment of political ideal pursued by the author with his elder brother Kim Man-Gi.
As such, the relationship of author's family and characters of Guunmong is related with both sides of similarity and contradiction. The motivation of expression of the work, ‘consolation to mother’, is thought to include family relations surrounding author's mother. As the first reader of the novel, Mrs. Yoon is presumed to have accepted the son writer's sincere comfort through the family relationship suggest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k as well as the theme of the love story and the establishment of a family. After this first reading the popular reception of the work was more generalized among the public of the days with the consciousness of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prosperity.
Through this discussion, I hop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s biographical facts and Guunmong as fiction will be understood more specifical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