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족과 동료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Suicide Attempts by Family Members and Peers and Their Impact on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저자
송인한(In Han Song) ; 권세원(Se Won Kwon) ; 김지은(Ji Eun Kim)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KDC
33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47(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mpact of suicide attempts by family members or peers negatively affects suicidal ideation among survivors. In South Korea, where its suicide rate i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exposure to suicide attempts in relationships may be a serious factor associated with suicid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uicide attempts by family members and peers on survivors’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attempts by family members and peer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Data were analyzed which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a total of 549 students from five middle schools that agreed to participated out of six schools randomly selected from 6 school districts of the Seoul and Inchon Metropolitan area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Z mediation test analy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xposure to suicide attempts by family members and pe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p=.001), and that there fou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was observed, that is, there is the direct impact of exposure to suicide attempts on suicidal ideation without being mediated by depressive moo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adolescents who were exposed to significant other’s suicidal attempts regardless of having depressive mood.
더보기가족과 동료의 자살시도는 자살생존자의 자살생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OECD 국가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는 한국에서, 사회적 관계 내의 자살시도에 노출되는 것은 자살과 관련된 심각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과 동료가 시도하는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가족과 동료의 자살시도와 청소년 자살생존자의 자살생각 사이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의 6개 학군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6개 중학교 중 참여에 동의한 5개 학교의 54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중다 회귀분석과 Z 매개효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과 동료의 자살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으며 (p=.001), 우울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즉, 자살시도에 대한 노출이 우울감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부분적으로 존재 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청소년에게 중요한 타자의 자살시도에 노출되었을 때 우울감을 느끼는 여부와 관계 없이 청소년 자살생존자의 자살생각에 대해 특별한 관심과 개입이 주어져야 함을 함의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