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한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입자에 의한 대식세포 재분극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Macrophage Repolarization by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Glioblastoma Therapy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소재공학과 신소재공학전공 , 2024. 2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ⅵ, 58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노현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740419
소장기관
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한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입자에 의한 대식세포 재분극화에 관한 연구 강혜림 신소재공학과 신소재공학전공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대한민국 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악성 뇌종양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양으 로,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과 같은 다양한 치료 방법에도 평균 생존율이 낮은 질병이다. 교모세포종은 주위 뇌 조직으로 매우 침습적인 성장을 하는 경향이 있어 종양의 경계가 불분명해 외과적 수술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방사선 요법으로도 완치가 힘들며, 혈액-뇌 장벽 때문에 항암제의 뇌 침투도 어려운 상황이다. 입양 세 포 요법(Adoptive Cell Therapy) 중 하나인 CAR-T세포 치료는 암 환자에게서 T 세포를 직접 채집한 후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원 수용체를 달고 다시 환 자에게 재주입하여 정상 세포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사멸시키 는 면역 치료제이다. 하지만 종양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항원과 암세포를 죽이도록 지시하는 유전자 편집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대식세포는 환경 자극에 반응하여 지속적으로 기능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 소성이 높은 면역세포이다. 종양 미세환경 내에서 종양 세포와 다른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신호가 대식세포를 자극하면, 종양 촉진(M2) 혹은 항종양 반응 (M1)으로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R-T세포 치료의 한 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식세포를 M1으로 분극 시킬 수 있는 미세환경에 집중하 였다. 산화철 나노입자는 뛰어난 생체 적합성으로 인체의 철 대사 경로에 통합될 수 있 는 물질이다. 본 연구는 대식세포에 산화철 나노입자를 처리하여 전염증성 사이토 카인(cytokine)을 분비할 수 있는 M1 유형으로의 분극화를 유도한다. 대식세포의 재분극화(repolarization)와 식세포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염색을 진행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의 M1 유사 표현형, M2 유사 표현형과 교 모세포종 세포의 페롭토시스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으로 단백질 발현 수치 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산화철 나노입자가 잠재적인 항종양 면역요법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Glioblastoma i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malignant brain tumor in
adults and has a low average survival rate despite various treatment
methods such as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t tends to
grow very invasively into surrounding brain tissue, making surgical
operations difficult as the boundaries of the tumor are unclea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cure the disease even with radiation
therapy, and it is difficult for anticancer drugs to penetrate the brain due
to the blood-brain barrier. CAR-T cell therapy, one of the adoptive cell
therapies, collects T cells directly from cancer patients, attaches an
antigen receptor that specifically recognizes cancer cells, and reinjects
them into the patient while minimizing damage to normal cells. It is an
immunotherapy treatment that effectively kills cancer cells. However,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requires antigens that can specifically recognize
tumors and gene editing technology that instructs cancer cells to be
killed.
Macrophages are immune cells with high plasticity that can
continuously change their functional state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timuli. When signals resulting from interactions between tumor cells and
other cells with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stimulate macrophages,
they exhibit an activation state toward tumor promotion (M2) or
antitumor response (M1).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macrophages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AR-T cell therapy by utilizing
activation patterns that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microenvironment.
Iron oxide nanoparticles are materials that can be integrated into natural
metabolic pathways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In this study,
macrophages are treated with iron oxide nanoparticles to induce
polarization into the M1 type, which can secrete pro-inflammatory
cytokines. Prussian blue staining was performed to confirm repolarization
and phagocytosis of macrophages. In addition, protein expression levels
were confirmed through western blot to confirm the M1-like and M2-like
phenotypes of macrophage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iron oxide
nanoparticles can be applied to potential antitumor immunotherap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