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力評價에서의 成功經驗과 失敗經驗이 學習動機에 미치는 影響 = The Effect of Success and Failure in Testing on Learning Motiv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74
작성언어
Korean
KDC
377.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8(32쪽)
제공처
本 硏究의 目的은 敎師가 學生에게 미칠수 있는 相互活動의 樣式中 評價的相互活動에서 學生들이 成功感과 失敗感을 가질 때 學習動機가 어떻게 變化하는 가를 밝히는데 있다.
本 硏究의 假說은 學力平價結果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을 하면 學習動機는 높아지고, 失敗經驗을 繼續하면 學習動機가 낮아진다는 基本前提로부터 誘導되었으며,
이 硏究가 糾明하려는 具體的인 問題는 다음과 같이 規定되었다.
첫째 : 學力平價 結果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을 한 集團이나 失敗經驗을 한 集團은 實驗前後의 學習動機變化에 差가 있을 것인가?
둘째 : 學習平價 結果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을 한 集團이나 失敗經驗을 한 集團은 統制集團보다 學習動機의 變化에 差가 있을것인가?
세째 : 學力平價 結果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이나 失敗經驗을 하면 學業成績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의 變化에 差가 있을것인가?
이와 같은 問題를 밝히기 爲하여 釜山市內에 있는 D 工業高等學校 1學年中, 學習動機, 學業成績, 知能 等에서 差에 意義가 없는 同質的인 集團 3個班에서 150名(各班 50名)을 標集하여, A班은 成功經驗集團, B班은 失敗經驗集團, C班은 統制集團으로 構成하였으며, 成功經驗集團과 失敗經驗集團을 學業成績 및 學習動機 點數에 따라 上.中.下位 集團으로 各各 分類하였다.
이 硏究에서 使用된 道具는 學習動機檢査(金基錫製作 學習習慣檢査中 動機要因 26問項)와 硏究者 自作의 學力檢査였다.
그리고 硏究者로부터 調練을 받은 一般社會 擔當敎師 1名과 硏究者가 위의 道具로서 實驗에 臨하였다.
본 硏究의 假說과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假說Ⅰ : 學力平價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을 한 集團이나 失敗經驗을 한 集團은 實驗前後의 學習動機 變化에 意義있는 差가 있을 것이다.
成功經驗集團이나 失敗經驗集團의 實驗前後 學習動機 變化의 差를 CR檢證 및 二分變量分析한 結果 有意水準 .1%dp에서 肯定되었다.
假說Ⅱ : 學力平價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을 한 集團이나 失敗經功을 한 集團은 統制集團보다 實驗前後의 學習動機 變化에 意義있는 差가 있을 것이다.
成功經驗集團과 統制集團, 失敗經驗集團과 統制集團의 實驗前後 學習動機 差의 變化差를 CR檢證 및 共變量分析한 結果 .1%의 有意水準에서 肯定되었다.
假說Ⅲ 學力平價에서 成功經驗을 繼續한 集團은 學業成績 上.中.下位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가 높아질 것이다.
成功經驗을 한 集團에서 學業成績 上.中.下位集團의 實驗前後 學習動機 變化의 差를 t檢證한 結果, 上中集團은 有意水準 5%에서 下集團은 1%의 有意水準에서 肯定되었다.
假說Ⅳ 學力平價에서 失敗經驗을 繼續한 集團은 學業成績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가 낮아질 것이다.
失敗經驗을 繼續한 集團에서 學業成績 上.中.下位 集團은 5%의 有意水準에서 下集團은 1%의 有意水準에서 肯定되었다.
假說Ⅴ 學力平價에서 成功經驗을 繼續하면 學習動機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는 높아질 것이다.
成驗經驗을 한 集團에서 學習動機 上.中.下位 集團의 實驗前後 學習動機變化의 差를 t檢證한 結果, 上集團은 5%의 有意水準에서 中下位集團은 .1%의 높은 有意水準에서 肯定되었다.
假說Ⅵ 學力平價에서 失敗經驗을 繼續하면 學習動機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는 낮아질 것이다.
失敗經驗을 한 集團에서 學習動機 上.中.下位 集團의 實驗前後 學習動機 變化의 差를 t檢證한 結果, 上集團은 1%의 有意水準에서 中下位集團은 .1%의 높은 有意水準에서 肯定되었다.
이 硏究를 通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이 導出되었다.
첫째 : 成績經驗을 繼續하면 學習動機가 높아지고 失敗經驗을 繼續하면 學習動機가 낮아진다.
둘째 : 成功經驗集團은 統制集團보다 學習動機가 높아지고 失敗經驗集團은 統制集團보다 學習動機가 낮아진다.
셋째 : 學力平價에서 成功經驗을 繼續하면 學業成績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는 높아지고, 失敗經驗을 繼續하면 學業成績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는, 낮아진다.
넷째 : 學力平價에서 成功經驗을 繼續하면 學習動機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는 높아지고, 失敗經驗을 繼續하면 學業動機 上.中.下位 集團에 關係없이 學習動機는 낮아진다.
以上과 같은 結論으로 本 硏究가 試圖했듯 學力平價에서 繼續的인 成功經驗이나 失敗經驗이 學習動機에 미치는 影響이 밝혀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示唆을 준다.
1. 敎師一學生 相互作用中 評價的 相互活動이 學習者에게 成功感을 주어 學習動機가 誘發될 수 있도록 多樣하게 試圖되어야 하겠다.
2. 學業成績이나 學習動機가 낮은 集團일수록 成功感을 줄수있도록 學力平價에 있어서의 意圖的인 接近이 試圖되어야 하겠다.
3. 敎師一學生 相互作用中 評價的 相互活動이 學習動機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보다 洗練되고 多樣한 硏究들이 이루어 져야 하겠다.
Problem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 how the learning motive would change when students feel either success or failure in school achievement.
The major questions guided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the continual success and that of the continual failure in the learning motive pre and post the experiment?
(2)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continual success, failure and controlled group in learning motive?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arning motive at the high, middle and low groups of academic achievement, if the success or the failure in school achievemnt is going on?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arning motive at the high, middle and low groups of learning motive is going on?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50 boys of 1st grade in a technical high school of Pusan City. They were formed into the group A which was the success, group B, the failure and which was the controlled group.
Data of learning motive were obtained from the learning motive test made by Kee-Seuk, Kim Scores of academic achievenent test made by the investigator himself.
Result :
The following hypothesis were tes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ypothesis Ⅰ: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learning motive in the group of the success as well as that of the failure pre and post experiment.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on .1%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in the group of success as well as that of the failure, there are the difference of learning motive pre and post experiment.
Hypotesis Ⅱ : There would b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of learning motive in the group of the success as well as that of the failure than the controlled one.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on .1%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are more difference of learning motive in the group of success as well as failure than the controlled one.
Hypotesis Ⅲ : The group of the continual success would become higher in its learning motive disregarding the groups of high. middle and low in the school achievement.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on 5% level of significance in high, middle groups, and in low group, 1% level of significance.
Hypothesis Ⅳ : The group of the failure would become lower in lts learning motive disregarding the groups of high, middle and low in the school achievement.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on 5% level of signifcance in high, middle groups, and in low group, on 1% level of significance.
hypothesis Ⅴ : With the continual succss, the learning motive would ascend disregrading the groups of high, middle and low in learning motive.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on 5% level of significane in high group and in middle group, in low group, on l% level of sigificance.
hypothesis Ⅵ : With the continual failure, the learning motive would descend disregarding the groups of high, middle and low in the learning motive.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on 1% level of significance in high group and in middle, low groups, on 1% level of significance.
Conclusions :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made.
(1) In the result of the testing, in the coutinual success being done, the learning motive becomes higher, While if the continual failure, it becomes lower.
(2) In the result of the testing in the group of the success, the tearing motive becomes higher more than i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group of the failure it is lower than the controlled group,
(3) With the continual success, the learning motive becomes higher disregarding the groups whose school achievement are middle and low, but with the continual failure, it is lowered.
(4) with the continual success, the learning motive becomes higher disregarding the groups of high, middle and low in their learning motive, and with the continual failure, it becomes low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