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농어촌 지역주민의 예술지능지수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Artistic Quotient Development of Residents in Rural Area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은 더욱더 많은 잉여시간동안 놀이를 통한 창조적 행위에 몰두할 수 있게 된다. 전통적인 산업시스템에서 비경제적이라 치부되던 예술가들과 크리에이터들의 창조성이 지금 우리가 말하는 농수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될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이 4차 산업혁명에서 중요해지는 것은 우리가 삶에서 행하는 놀이가 공적 영역으로 올라오고 있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예술활동에 대한 농어촌 지역주민에 대한 예술지능지수 향상 교육이다. 이미 인간의 놀이행위에 기반한 농어촌 문화관광콘텐츠산업은 상상할 수도 없는 고부가가치를 낳으며 글로벌 경제경쟁의 시대로 뛰어든 지 오래다. 인더스트리 4.0의 작동기제인 놀이와 체험, 즉 예술 활동이 핵심(Core)이 되어 방사형으로 서로가 연결되면서 하나의 유기적인 생명체처럼 움직이고 있다. 그 곳에서 우리는 놀이와 체험, 즉 예술활동으로 창의적 영감을 나누고 아이디어 하나로 농어촌 체험 관광상품과 해양관광콘텐츠가 생산되며, 새롭게 도래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문화를 향유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것과 같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농어촌 지역 창의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주민교육과 예술지능지수 개발의 관계연구의 기본적인 방향은 미학의 측면(아름다움/끌림/매력), 초월의 측면(영성/몸부림/미침), 몰입의 측면(몰입/어울림/조화), 소통의 측면(소통/울림/공감), 유희의 측면(즐거움/떨림/설렘과 긴장)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계연구를 통하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농수산업계를 선도해 나갈 농어촌 지역 창의융합인재의 관심과 지원을 다할 때이다. AI(Avian Influenza)하면 조류 독감을 떠올렸던 우리들이 이제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하면 인공지능을 떠올린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생각해보면, 미래학자 다니엘핑크는 “다가올 미래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예술적, 감성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능력과 상대방의 공감을 이끌어 가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선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를 갖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능력이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는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융합능력이 필요하다. 현 시대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능력은 분석이 아니라 통합으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고 새로운 것을 구성하고 결합할 수 있는 능력치다. 셋째는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입장을 바꿔 생각해 볼 수 있는 공감능력이다. 경쟁자를 제치고 나 혼자 살아남기 위한 전투적인 사람이 아닌 서로가 공존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삶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생의 목적을 갖고 자신이 가야 할 일, 좋아하는 일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예술지능지수를 갖춘 주민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 제4차 산업혁명은 누군가에게 위기일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그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은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즉 예술지능지수를 교육 받은 농어촌 지역의 창의융합인재들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가 만들어 놓은 기계에 지배당하지 않기 위해서 미래에 다가올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자세와 태도가 다시 한 번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더보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s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and the development of theartistic quoti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industry is to foster the talent of convergence to live in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cultivate the convergence of such talent, we examined what to do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Not merely tinkering towards an idealistic utopian fantasy but to formulate the future education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to be made compatible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is e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quotient development and education available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for such creative talent.
    As a result, the basic direction of research on education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and the development of the artistic quotient for the fostering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as follows: the side of the aesthetics(beauty / attractiveness / charm), transcendental aspects(spirituality / struggle / immersion), aspects of immersion(immersion / harmony / harmony), aspects of communication(communication / resonance / empathy), and stress(trembling / irritability and tens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research, it is time to give support to the convergent talent who will lead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더보기
    • 1 다카하라 게이치로, "현장이 답이다" 서돌 1-213, 2007
    • 2 박남식, "행동 지향적 예술로서의 인공생명 아트 연구" 한국HCI학회 1081-1086, 2009
    • 3 신용석, "한식세계화를 위한 음식관광 추진전략"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16, 2009
    • 4 김문겸,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 : 93-116, 2010
    • 5 박성정, "평생교육 관점에서 본 인적자원개발체제" 한국평생교육학회 7 (7): 159-175, 2001
    • 6 안은호, "통섭형 예술교육의 발전방향 연구 : 2015년 충청북도청명학생교육원 〈키노 애니 드라마〉 프로그램 사례와 결과 분석"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 7 심원섭, "최근 관광트렌드 변화와 향후 관광정책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258, 2010
    • 8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1-1210, 2009
    • 9 필리브 브르노, "천재와 광기-미술과 음악, 그리고 문학에서" 동문선 1-330, 1998
    • 10 박은실, "창의적 공동체의 특성에서 살펴 본 아마추어 문화예술동호회 활성화 방안" 인천문화재단 2009
    • 11 이일하, "창의성 함양을 위한 대학 융합교양교과목 <대학 창의성> 개발" 한국교양기초연구원 1-272, 2012
    • 12 류장수, "지역차원의 인적자원개발체제 구축 방안" 한국지역사회학회 10 (10): 1-20, 2002
    • 13 권대봉, "지역인적자원개발의 실천 동향: 2006년-2016년 4대 중앙 일간지 게재기사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2 (22): 157-189, 2016
    • 14 이안 클라크, "지구화와 파편화-20세기 국제관계사" 일신사 1-362, 2001
    • 15 백평구,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267-299, 2016
    • 16 이웅규,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관광산업의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6 (16): 53-76, 2017
    • 17 김선우,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개발 사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19): 20-28, 2016
    • 18 정세일, "제4차 산업혁명과 인더스트리 4.0" 15 (15): 100-103, 2016
    • 19 문제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 20 송봉호,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종교와 관광의 시사점" 종교와문화연구소 (28) : 25-48, 2017
    • 21 한상복, "재미" 위즈덤하우스 1-277, 2009
    • 22 최욱, "인적자원개발의 주요 현안과 실행 전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4 (34): 269-294, 2014
    • 23 김정원, "인적자원개발의 재조명 : 개념적 접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3 (13): 45-56, 2006
    • 24 이용순,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미래 성장 동력의 확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19): 2-5, 2016
    • 25 나준호, "인공지능의 발전과 고용의 미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8 (28): 14-17, 2016
    • 26 류청산, "인공지능의 리더로 키우기"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6
    • 27 강혜진, "인공지능과의 협업, 인재상 재정의와 조직문화 변화" 한국인사관리협회 321 : 52-53, 2016
    • 28 원동규,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대한산업공학회 23 (23): 13-22, 2016
    • 29 이민화, "인공지능과 일자리의 미래" 한국노동연구원 14 (14): 11-24, 2016
    • 30 김미교, "인공지능과 인간답게 생각하기 그리고 예술" 미술세계 377 : 56-57, 2016
    • 31 김대식, "인공지능과 예술" 아트인포스트 84-85, 2016
    • 32 김주성, "인공지능과 미래교육" 교육타임스 44 : 20-24, 2016
    • 33 이민화,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그리고 인공지능 혁명의 본질" 한국뇌과학연구원 57 : 14-16, 2016
    • 34 최락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평생교육 e-learning의 학습효과 제고 방안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0 (10): 135-141, 2012
    • 35 김중일, "인공지능 시대의 창작의 고통과 범위에 대한 개인적 상념" 문화예술소통연구소 16 (16): 52-57, 2016
    • 36 정재승, "인공지능 시대에 가장 취약한 어른 길러내는 대한민국"
    • 37 김혜진, "이탈리아 우피치 미술관의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 : 205-215, 2015
    • 38 한국기원, "이세돌, 인간 vs 인공지능 첫 대결 주인공 돼 영광이다"
    • 39 양소영, "음악미술 개념사전: 음악 미술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아울북 1-287, 2010
    • 40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교육 및 향유 기반 조성 연구" 인천문화재단 1-373, 2011
    • 41 김희자, "융합문화시대의 기독교 인공지능 시스템교육"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0) : 1-37, 2014
    • 42 박동, "유망서비스산업의 핵심 인력 양성 방안"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32 : 29-52, 2016
    • 43 전인평, "우리음악" 현암사 1-89, 2007
    • 44 송은주, "우리는 잘하고 있는 것일까: 지구촌 부모들의 미래 교육 트렌드" 행성B 1-296, 2017
    • 45 임종문, "우리나라 企業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1993
    • 46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의 힘 - 새로운 한국의 예술정책"
    • 47 이정묘, "예술교육을 통한 정서지능 향상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5 : 171-190, 2016
    • 48 고봉인, "예술과 과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된다 : 챌리스트 & 생명과학자 고봉인,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과학 <인터뷰>" 객석컴퍼니 388 : 120-, 2016
    • 49 김정희, "예술 교과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실천 방안 - 미술교과 수업 사례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5 (35): 245-266, 2013
    • 50 체피 보르사치니, "엘 시스테마, 꿈을 연주하다(빈민가 아이들에게 미래를 약속한 베네수엘라 음악 혁명)" 푸른숲 1-275, 2010
    • 51 신동일, "알파고와 ‘1% 인재’" 머니앤밸류 429 : 82-, 2016
    • 52 이웅규, "알파고 시대의 관광산업 분야의 인적자원 개발방안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5 (15): 321-337, 2016
    • 53 노지원,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덴마크 ‘애프터 스쿨’…"
    • 54 최경자, "아름다움이 힘이다"
    • 55 정철영,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직업교육의 방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0 (20): 93-115, 2001
    • 56 Carmine, Gallo, "스티브 잡스 프레젠테이션의 비밀" 랜덤하우스코리아 1-304, 2010
    • 57 현은령,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예술 및 과학기술 융복합 창의교육의 효과 - 여고생대상의 실행적용 및 학습 성과 인식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4) : 357-365, 2015
    • 58 김성표, "세종시 산업관광 활성화 방안" 대전세종연구원 1-87, 2017
    • 59 김연희, "새로운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싱가폴 예술학교(SOTA)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60 다니엘 핑크, "새로운 미래가 온다-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한국경제신문사 1-280, 2012
    • 61 전국지리교사연합회, "살아있는 지리 교과서" 휴머니스트 23-56, 2011
    • 62 이준식, "사회에 필요한 능력 키우는 것이 미래 교육"
    • 63 정성훈, "사람을 움직이는 100가지 심리법칙" 케이엔제이 7-78, 2011
    • 64 문현실, "비즈" 김영사 1-152, 2006
    • 65 김현수, "미술 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45-173, 2012
    • 66 장희원, "미술 그 자체가 완벽한 창의적이면서 논리적 활동"
    • 67 박영숙, "미래보고서 2050 - 미래사회,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한다" 교보문고 1-344, 2016
    • 68 임동욱, "미디어 모니터링" 커뮤니케이션북스 1-120, 2015
    • 69 홍애령,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무용역사기록학회 32 : 257-274, 2014
    • 70 임학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의 교육콘텐츠 창작소재 활성화를 위한 정책모델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6 : 181-200, 2005
    • 71 조덕원, "문화예술기반경영의 프로그램 성과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2015
    • 72 용호성, "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 효과적인 거버넌스(Governance) 모형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 7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07〜’11)"
    • 74 심보선, "문화사회학적 견지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경영의 시론적 고찰 - 시민성, 지역성, 예술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8 (8): 39-82, 2010
    • 7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한울림 1-544, 2004
    • 76 조관일, "멀티어십(Multiership)-21세기 통섭형 인재의 뉴 패러다임" 21세기북스 1-248, 2013
    • 77 김현지, "대한민국의 미래 ‘협업'에 달렸다 : 제4의 물결, 협업" 한국HRD협회 304 : 38-39, 2015
    • 78 조영조, "다중지능로봇 융합클러스터’ 심포지엄 성료"
    • 79 황용석, "다가온 미래 스마트 라이프" 삼인 1-197, 2012
    • 80 정지훈, "내 아이가 만날 미래(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코리아닷컴 1-256, 2013
    • 81 장우현, "꿈을 키우는 방과후 학교 운영으로 블루오션 인재육성" 30 : 138-140, 2006
    • 82 김진모,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0 (20): 109-128, 2002
    • 83 박평종, "기계의 예술, 인간의 예술" 새얼문화재단 88 : 281-287, 2015
    • 84 권석만,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12-56, 2008
    • 85 송영수, "국내 대기업의 인적자원개발(HRD) 동향: 대기업 HRD 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139-160, 2007
    • 86 김창범, "관광분야와 연계된 문화·공연·예술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구축: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36-246, 2016
    • 87 이웅규,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창의융합인재의 알파고 리더십 개발방안"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6 (16): 63-86, 2017
    • 88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1-162, 2003
    • 89 서철현, "경북 농촌관광 마케팅 활성화 방안" 경상북도 1-131, 2012
    • 90 파커 파머,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IVP 1-264, 2014
    • 91 성제환, "‘문화․예술 특화 인적자본’이 문화․예술상품 수요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657-677, 2012
    • 92 김병일, "‘4차 산업혁명’, 융합과 연결의 과제"
    • 93 전은애, "[특별기획] 인공지능의 시대 ‘자연지능’을 가진 인간이 준비해야할 것은?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프롤로그"
    • 94 현광일, "[장르비평] 예술적 실천으로서 초월성의 정치"
    • 95 정용주, "[세상 읽기] 알파고 시대와 미래교육"
    • 96 유영민, "[기고] 한국 사회의 변곡점 4차 산업혁명"
    • 97 유희숙, "[경제와 미래]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안녕한가"
    • 98 한국대학신문, "[UCN PS 2017] “4차 산업혁명시대, 학과·전공간 벽 허물고 융복합 교육 고민해야"
    • 99 오미경, "[5편] 인공지능 시대, 직업이 아니라 정체성부터 찾아야! [특별기획]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 100 강나리, "[4편] 현재를 사는 미래세대, 우리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하나? [특별기획: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교육"
    • 101 전은애, "[3편]인공지능의 시대 문제를 찾는 건 결국 인간의 역할, [특별기획]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 102 정지훈, "[3편] 인공지능의 시대 문제를 찾는 건 결국 인간의 역할 [특별기획]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 103 강만금, "[2편] ‘알파고 아버지’ 하사비스를 ‘PC방 죽돌이’로 만드는 교육 [특별기획]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 104 전은애, "[1편]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기고 간 고민들 [특별기획] 인공지능 VS 자연지능"
    • 105 Burkhardt, M. A., "Spirituality: Living our Connectedness" Cengage Learning xiii-, 2002
    • 106 Waaijman, K., "Spirituality: Forms, Foundations, Methods" Peeters Publishers 1-5, 2002
    • 107 Cousins, E., "Preface to Antoine Faivre and Jacob Needleman, Modern Esoteric Spirituality" Crossroad Publishing 1-45, 1992
    • 108 England, Arts Council, "Our Creative Talent: the Voluntary and Amateur Arts in Engl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1-92, 2008
    • 109 Brown, A., "Music Policy in Sheffield, Manchester and Liverpool,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and Institute of Popular Music" University of Liverpool 1998
    • 110 Henley, D., "Music Education in England: a Review by Darren Henley for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1-46, 2011
    • 111 Eisenberg, N.,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2, 1987
    • 112 구인환,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34-78, 2006
    • 113 Carnie, F., "Alternative Approaches to Education: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Psychology Press 1-87, 2003
    • 114 Simon, Herbert A., "Administrative Behavior" Free Press 1-361, 1997
    • 115 윤영달, "AQ 예술지능-미래기업의 성공 키워드" 이아소 1-252, 2014
    • 116 Sheldrake, P., "A Brief History of Spirituality" John Wiley & Sons 1-2, 2009
    • 117 홍보영, "4차 산업혁명의 급물살, 디지털화로 무장하라!" SMART FACTORY 25 (25): 10-12, 2016
    • 118 장윤종, "4차 산업혁명과 한국산업의 과제. "KIET산업경제"" 213 : 7-20, 2016
    • 119 이용범, "4차 산업혁명과 한국 농업의 혁신"
    • 120 박성현, "4차 산업혁명 위한 인재를 양성하라"
    • 121 박가열, "2030 미래 직업세계 연구(Ⅱ)" 한국고용정보원 1-214, 2016
    • 122 서울특별시 문화정책과, "2011 문화예술지원 가이드북"
    • 123 김승, "10대가 맞이할 세상, 새로운 미래직업(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미디어숲 12-9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