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동문학 장과 책 읽는 여성들 - 1990년대 출판시장·국가정책·독서운동을 바탕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아동청소년문학연구(The Korea Association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lult)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25-455(3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문학사를 다시 쓰는 최근의 여러 시도들은 아동문학사 안에서도 다양한 시기와 주체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고 있다. 이 글은 1990년대 아동문학 출판 및 독서 문화를 조망하는 가운데 집단적 정체성으로서 여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한다. 1990년대는 소비자-시민문화의 확장이나 독서교육 시장의 부상과 관련해 아동청소년문학이 질적·양적으로 급등했던 시기이다. 이와 함께 대거 나타난 여성 아동문학 작가들에 대한 주목은 당대에도 있었지만, 여성 출판인이나 학부모 여성의 등장은 문학계 내에서 큰 관심을 받지 않았다. 이들은 대체로 성장기인 6~70년대에 여성잡지나 외국문학을 읽고 80년대에 대학을 다니는 등 고등교육을 받은 세대로, 앞 세대 여성들이 그 독서량에 한계가 있고 자녀를 위한 아동문학 독서에서 주로 출판사나 학교 교사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적극적으로 아동문학의 독자가 된다.
그중 일부는 아동도서 출판계에 종사하는 여성들로 여성편집인클럽 등을 주재하면서 자신들의 전문적인 안목을 형성한다. 80년대 말부터 빠르게 성장한 아동도서 출판시장은 전집 위주에서 단행본 위주로 바뀌며 작품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일러스트레이션 등 관련 분야 역시 체계화된다. 여성들이 아동문학 편집·일러스트레이션·번역에 진입한 데에는 시공간에 크게 얽매이지 않아 가사노동과 병행이 가능했다는 점도 고려되는데, 대개는 영세한 사업장에 종사하거나 프리랜서 노동이 많아 경제 위기의 타격을 쉽게 받았다. 또 이들 ‘커리어 우먼’의 역할은 아동문학 자체나 문화 산업의 발전보다는 엘리트 여성의 개인적인 성공담으로만 말해지기 쉬웠다.
그리하여 가정으로 귀환한 여성들은 아동문학 독서를 비롯한 자녀 교육을 통해 자기 가치를 재증명한다. 제도적으로도 독서 강좌나 이동도서관 등 주부의 독서 환경이 마련되고, 입시에서 논술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책 읽는 엄마’의 역할이 강조된다. 엄마들은 독서 교육을 혼자만의 일, 즉 개별 가정의 사적 영역에 머물지 않고 주부의 정치성을 획득하는 기로로 삼기도 한다. 여성운동의 한 갈래로서 80년대 말 나타난 주부 운동에는 그림책 모임의 사례가 언급된다. 대표적으로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지역 조직 동화읽는어른 모임은 어도연이 교사 중심에서 학부모 중심으로 이동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으며, 회보 『동화읽는어른』을 통해 남성 아동문학가 중심의 아동문학 비평의 장에 여성 학부모로서의 경험과 그에 동반되는 여성주의적 관점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들의 아동문학 읽기는 학부모를 아동문학의 이차 독자로서 한정하지 않고 그들만의 경험과 환경 속에서 얻는 감동과 심미적 쾌락을 새롭게 분석할 여지를 남긴다.
Several recent attempts to rewrite the history of literature have required to observe various periods and subjects with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article looks through the publishing and reading culture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90s and analyzes how women’s identification was formed and deployed there. With expansion of the category of consumer-citizen, children and youth literature showe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he 1990s, also in the relation of the rise of the reading education market. However, compared to the attention to the growth of female writers, the appearance of female publishers and mothers as a major reader of children’s literatur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within the literary world. While women of previous generations had limitations in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only to rely on publishers or school teachers, these new group of women is the generation who read women’s magazines or foreign literature in the 1960~70s and received higher education in universities of the 1980s.
Women in the publishing industry of children’s books formed their professional perspective participating in collective activities such as the meeting of Korean Women Edutior Club. The publishing market, which has grown rapidly since the late 1980s, has changed their central form from a collection to a single children’s book, increasing its attention to the quality of work and systemizing related fields such as illustration. Young women entered easily into the spheres of editing, illustration, and translation which were less bound by time and space, making it possible to run parallel with household labor. They worked frequently in a small business or freelance work, which made them vulnerable to the economic crisis. In addition, the role of these ‘career women’ was rather represented as the personal success stories of elite women not with the discourse of the gener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Thus, women who returned to their homes had to re-prove their value through children’s education, including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emergence of reading education of students, the role of ‘reading mothers’ was emphasized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housewife readers such as mobile libraries and reading educator courses was established. Simultaneously, mothers also used the act of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as a way to acquire the political power of housewives rather than the private realm of individual families, even as a branch of the women’s movement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s local group, Adults Reading Children’s Book led the change of central subject in civic reading organization from school teachers to women parents, and through the journal Adults Reading Children’s Book, they inscribe women’s experience and feminist perspectives in the male-critic centered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Their work does not limit parents to secondary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but leaves room for a new analysis of the emotions and aesthetic pleasures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as an adul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7 | 1.00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