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1948년 유엔 소총회의 남한 총선거 결의와 그 의의 = The Resolution of the UN Interim Committee for the General Election of South Korea in 1948 and Its Significa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Journal of Korean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49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1(4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1948년 2월 남한의 총선거실시를 통한 중앙정부 수립에 관한 유엔의 소총회의 결의과정을 국내정치적인 측면, 국제정치적인 측면, 그리고 남북관계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유엔 소총회에 대한 기존 연구는 이승만, 김구, 김규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논문은 이들과 함께 다양한 정치세력과 일반대중들의 의사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당시 남한의 대다수는 남한만이라도 총선거를 실시하여 독립 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본다. 따라서 김구, 김규식이 총선거를 반대하고 남북협상을 주장하자 과거 이들을 지지했던 세력들이 이승만을 지지하게 되었다. 메논은 유엔 총회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남한 만이라도 독립된 정부를 갖기를 원한다고 말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에서 유엔임시위원단의 반미 진영의 입장이 강조되어 왔지만 본 논문은 이들과 함께 여기에 대한 미국과 친미국가들의 입장을 다루었으며, 특별히 유엔 소총회에서 대다수의 국가들이 미국의 입장을 따라 남한의 총선거 실시를 찬성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아울러서 남한의 총선거 실시는 분단의 고착화라고 생각했지만 미국정부와 이승만은 남한의 정부수립은 한반도 전체를 민주적인 통일국가를 만드는 첫 단계라고 이해했다는 점을 밝혔다. 미국은 과거 미소공위의 경험을 통하여 소련과 타협을 통한 민주국가 건립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고, 따라서 먼저 남한에 민주국가를 세우고 이것을 통하여 북한도 민주통일국가로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논문은 유엔 소총회의 논의 당시 소련과 북한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남한의 총선거 실시를 대비하여 소련은 먼저 북한에 단독정부를 세우기 위해 헌법을 준비하고, 인민군을 창설하였다. 그리고 남한에 단독정부가 세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남로당을 통하여 대대적인 폭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남한사회에서 경찰력의 강화와 유엔에서 남한에 단독정부를 세워야 한다는 당 위성을 지니도록 만들었다.
더보기This paper examines the resolution of the UN Interim Committe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national government through the general election of South Korea in February 1948 in terms of domestic politics, international diplomacy, and relations with North Korea. Until now, researches on this issue had been conducted mainly concentrating on Rhee Syngman, Kim Gu, and Kim Gyusik, but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intentions of various political forces and the general public during the period. As a result, the majority of Koreans living in the south thought that South Korea alone should hold a general election to establish an independent government. Therefore, when Kim Gu and Kim Gyusik opposed the general election and insisted on furthering inter-Korean negotiations, their former supporters switched their position and sided with Rhee Syngman. Menon informed the UN General Assembly that the majority of Koreans are wishing South Korea to have an independent government. Researches have also considered the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as an incident that led to the solidification of the north-south division in Korea. However, this paper reveals that the U.S. government and Rhee Syngman thought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the first step toward a democratic unified nation. The U.S. government,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 believed that it was impossible to establish a democratic state through compromising with the Soviet Union. First establishing a democratic state in South Korea and then extending this to North Korea making a democratic unification state was considered a valid strategy. This paper also explored the positions of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during the discussion of the U.N. Interim Committee. Before South Korea’s general elections, the Soviet Union already prepared a constitution to establish a single government in North Korea and established the People’s Army. Also, in order to prevent a single government from being established in South Korea, they orchestrated a major riot with the mobilization of the Namro(South Labor) Party. However, these actions were accepted as giving South Korean government the grounds to strengthen their police power and the persuasive power for establishing a single government within the United Nation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1 | 1.924 | 0.3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