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호남우도농악 오채질굿의 전승 주체와 양식적 특징 -고창, 영광, 부안, 정읍 농악을 예증삼아- = A Study on Ochaejilgut of Honam Udo Nongak Pangut -Gochang, Yeonggwang, Buan, and Jeongeup Nongak are examp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62(4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호남우도농악 오채질굿 거리는 호남우도농악의 백미다. 본고에서는 오채질굿을 만든 이들 곧 전승 주체, 향유 주체를 추적해 보았고, 오채질굿 거리의 양식적 특징과 예술성을 살펴보았다. 오채질굿을 창조하고 전승해 온 주체들은 호남우도 지역의 재인, 단골들로 이를직업으로 삼는 세습무계 집단이다. 그리고 이들은 전국적인 관 조직인 신청(재인청)을 통해농악, 오채질굿을 발전시켜왔다. 한편 일제강점기 보천교는 정읍의 농악을 종교음악으로활용하고 크게 장려하여, 호남우도농악 판굿이 정립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호남우도 지역의 농악 전문인들은 이런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서로 교류하며 오채질굿을 창조, 전승하였고 해방 이후 전문 연예(포장걸립)농악과 여성농악단으로 이어진다.
호남우도농악의 오채질굿 거리의 양식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하나, 느린 음악에서 빠른 음악으로 전개된다.
둘, 오채질굿 본장단은 전국 질굿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2+3, 3+2 혼소박을 재료로 삼아 5행 장단의 집을 지었다는 보편성과 지역, 마을마다 리듬구조와 절차의 차이를 보이는고유성이 공존한다.
셋, 오채질굿 장단과 가락의 운용에서 층위구조를 엿볼 수 있다.
넷, 오채질굿 거리의 종지는 매도지 가락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호남우도농악에서 창출한 가락이다.
다섯, 오채질굿 장단 해석과 연주에서 유동성이 있고 각 치배마다 변화무쌍한 즉흥연주가 가능하다.
Honam Udo Nongak Ochaejilgut is the highlight of Honam Udo Nongak.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creators of Ochaejilgut and the subjects of enjoyment. And I looked at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artistry of Ochaejilgut.
The people who have created and developed Ochaejilgut are hereditary Shaman groups in the Honam Udo region.
They have developed Nongak and Ochaejilgut through Sincheong(Jaeincheong), a nationwide government organization. In addition, Bocheongyo in Japanese colonial era used Nongak as religious music and greatly encouraged Nongak.
Thi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establishment of Honam Udo Nongak Pangut. And after liberation, it leads to professional entertainment nongak and women’s nongak.
The artistic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onam Udo Nongak Ochaejilgut are as follows.
1. Honam Udo Nongak Ochaejilgut is performed in about three stages from slow music to fast music Become.
2. Ochaejilgut rhythm uses 2+3 and 3+2 mixed beats that are common in Jilgut nationwide. The common point of building a five-line using 23+ 32mixed small beats as ingredients, and the rhythm structure is different for each village.
3. Ochaejilgut shows various hierarchical structures as a whole.
4. The end of Ochaejilgut is made up of the Madangji, which is a rhythm created by Honam Udo Nongak.
5. Ochaejilgut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in the field with ever-changing improvisation for each performe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