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야담 수재 어머니와 자식, 주체의 전환과 통증의 깊이 = Mother and Child in the Yadam, the Transition of Subjects and the Depth of Pai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7-131(3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is stronger than any other relationship. The phenomenon of accepting self-sacrificing motherhood as if it were one's destiny is certainly the result of the male-centered values formed in the transi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However, literature raises a certain question about the values that govern the medieval order over the contradictory situation of mothers and children faced in everyday life. Yadam is no differen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meaning of subject transformation in Yadam under a macroscopic question. He focused on the story of his father turning his main work into his mother. This is because the depth of pain conveyed by the story is expressed differently even when only the subject of the story is changed while the plot and composition are the same. I found that aspect in The Story of Yang SaEeon's Mother and A Bizarre Encounter. The two works are identical in that parents set out to solve problems for their children who were excluded from the social orde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former is self-determination, which is self-destruction, and the latter is solving problems through emotional solidarity with her daughter. The Story of Yang SaEon's Mother is evaluated as a work that contains the noble value of a mother's self-sacrifice, and the original story of this story is found in 'MusongSoseul(撫松小說)'. It depicts the situation in which he was forced to die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not by self-sacrifice. However, in Yadam, she solves everything herself. In doing so, a self-sacrificing and obedient 'good' mother was completed. It is understood that the ‘good’ mother required by the medieval order is a nature that women should have, and this is a generalization of preconceived notions about motherhood, nd perhaps an invisible violence that transfers responsibility for children to mothers. A Bizarre Encounter is a work that has been modified from ChaeSaengGiwoo(蔡生奇遇). In ChaeSaengGiwoo, the father is not free from the social gaze.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method of healing the daughter's pain is inevitably linked to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in A Bizarre Encounter, the mother is one with her daughter. Remove the covered silhouette completely and approach the prospective son-in-law directly. This is why in ChaeSaenggiwoo, the pixels of "being a family" from being recognized as a couple within the family were concentrated, while in A Bizarre Encounter, the "making a family" from becoming a couple who gained mutual trust. It was the result of a change of subject.
더보기어머니와 자식의 애착은 다른 어떤 관계보다 강하다. 자기희생적 모성을 마치 자기 운명이라고 믿으며 받아들이는 현상은 분명 고대에서 중세로 이행하는 도정에서 만들어진 힘의 논리, 즉 남성 중심의 가치관이 작동한 결과일 터다. 그렇게 정착된 가치관은 어머니와 자식 간에도 이상과 현실의 이율배반적인 애착 관계를 만들어냈다. 중세 질서를 지배하는 가치관에 문학이 일정한 물음을 제기하는 것도 당연한 흐름이었다. 이 글은 야담에서 주체 전환이 어떤 의미를 담아내는가에 주목하였다. 아버지가 주체인 작품을 어머니로 바꾼 야담에서 그 의미를 읽은 것이다. 줄거리와 구성이 동일한데, 단지 이야기 주체가 바뀐 것만으로도 이야기에 담은 통증의 깊이가 다르게 표출되기 때문이다. 그 양상을 <양사언 모친 이야기>와 <기이한 만남>에서 확인하였다. 두 작품은 중세 질서에서 배제된 자식을 위해 부모가 문제 해결에 나선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전자는 자결이라는 자기 소멸을 통해, 후자는 딸과의 정서적 연대를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선다는 차이를 보인다. <양사언 모친 이야기>는 어머니의 자기희생이라는 숭고한 가치를 담은 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이 이야기의 원형은 무송소설에 있는데, 여기에는 자기희생이 아닌 주변 환경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죽음으로 내몰렸다. 하지만 야담에서는 결혼에서부터 죽음까지 모두 스스로가 선택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기희생적이며 순종적인 ‘좋은’ 어머니가 완성된다. 중세 질서에서 요구하는 ‘좋은’ 어머니를 여성이 갖추어야 할 본성으로 만든 것이다. 그것은 자식에 대한 책임도 어머니에게 전가시키는 비가시적 폭력이며, 모성에 대한 선입견을 일반화시킨 사례라 할 만하다. <기이한 만남>은 기리총화 수재 <채생기우>를 변개한 작품이다. <채생기우>에서 아버지는 과부가 된 딸의 아픔을 실루엣으로만 볼 뿐, 직접 다가가지 못한다. 사회적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한 까닭이다. 딸의 아픔을 치유하는 방법도 사회적 관계와 연동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반면 <기이한 만남>에서 어머니는 딸과 완전한 동체로 활동한다. 가려진 실루엣을 걷어내고, 직접 예비 사위에게 다가간다. <채생기우>는 가문 내에서 부부로 인정받기까지의 ‘가족 되기’ 화소가 중시된 반면, <기이한 만남>는 서로의 신뢰를 얻는 부부가 되기까지의 ‘가족 만들기’에 집중된 것도 이 때문이다. 그 모든 것이 주체가 바뀐 결과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2-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9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9 | 2.523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