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어에 투영된 사회적 의미 분석- 세계관의 반영 및 정체성의 표현 - = A Study on the Social Meaning of Neologisms- reflection of world view and expression of identity -
저자
남경완 (국립창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62(36쪽)
제공처
이 논문의 목적은 신어에 담겨 있는 새로운 의미들이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신어의 사회적 의미가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사회적 담론 형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우선, 어떤 특정한 부류의 집단을 하나의 범주로 묶어 지칭하는 신어의 경우에는 비하와 혐오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사례가 많은데, 최근의 신어들에서는 나이, 성별, 지역, 계층 등에 따른 편견과 비하의 범위가 좀 더 확대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비하 표현은 그 대상이 행하는 특징적인 행위에 대해서까지 확장되며, 이 경우 주로 현대 사회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행위 규범에 대한 반발과 비판적 인식이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신어에는 공동체 속에서 자신과 타자에 대한 관점이 투영되기도 하는데, 현대 사회에서의 힘겨운 삶을 비판적이고 자조적으로 표현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타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소통의 부재와 단절을 드러내는 매우 극단적이고 부정적인 신어들은 현대 사회에서 파편화되어 가는 인간관계의 모습이 그대로 투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어의 사회적 의미가 곧 화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연결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며, 특정한 세계관을 반영한 신어들은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자신과 공동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new meanings contained in neologisms can be analyzed from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to consider how the social meanings of these neologisms ar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social discourse in modern society. First of all, neologisms that refer to a specific group of people as a single category often contain connotations of contempt and disgust, but in recent neologisms, the scope of prejudice and contempt based on age, gender, region, and class has expanded. These derogatory expressions extend to the characteristic behavior of the target, and in this case, it mainly includes opposition and critical perception of behavior norms that are important in modern society. Also, neologisms sometimes project a perspective on oneself and others, and in this case, they contain the meaning of critically and self-mockingly expressing the difficult life in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situation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extreme and negative neologisms that reveal the absen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disconnection can be said to be a direct reflection of the fragmented human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It is a natural result that the social meaning of these neologisms is linked to the speaker's perspective on the world, and neologisms reflecting a specific world view can also be a means of revealing the identity of one's community on a more active level.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