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찔레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Anti-oxidant Efficacy and Effects on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in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of Rosa multiflora Root Extracts
Purpos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ctive ingredients extracted from Rosa multiflora root was evaluated and effects of cell proliferation and growth factor expression were confirmed. Method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s extracted from Rosa multiflora root was measured in various ways, as wer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Further, the cell proliferation effects for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HFDPC) were measured using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s were the effects of promoting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such as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subunit B (PDGFB),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insulin like growth factor 1 (IGF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by Western blot. Result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six kinds of Rosa multiflora root extracts was the highest in supercritical extracts (101.925 mg/g)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supercritical extracts (14.365 mg/g).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methanol-sonication extracts (98.24%)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supercritical extracts (55.86%). HFDPC was treated with 10, 100, and 500 μg/mL of Rosa multiflora root methanol-sonication extracts to determine cytotoxicity. The cell growth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The effects of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 protein were 135% greater in IGF1 and 126% greater in PDGFB. Conclusion: Rosa multiflora root extracts had no cytotoxicity but had excellent anti-oxidant ability. In addition, because the effects of promoting the expression of IGF1 and PDGFB were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Rosa multiflora root extracts could be used as an antioxidant,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and as a natural material for hair restorer and a hair-growth promotion agent.
더보기목적: 찔레나무(Rosa multiflora) 뿌리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 세포증식효과 및 성장인자 발현촉진효과를 확인하여 천연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및 육모제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방법: 찔레나무 뿌리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MTT assay로 인간모유두세포에 대하여 세포 독성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웨스턴블롯을 통해 모발성장인자인 PDGFB, KGF, IGF1, VEGF, HGF, EGF의 발현촉진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찔레뿌리 추출물 6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임계 추출물(101.925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초임계 추출물(14.365 mg/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소거능은 메탄올-초음파 추출물(98.24%)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초임계 추출물(55.86%)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간모유두세포에 찔레뿌리 메탄올-초음파 추출물을 10, 100, 500 μg/mL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처리농도 범위 내에서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생육도가 높았다. 웨스턴블롯을 통한 성장인자 단백질의 발현효과는 대조군 대비 IGF1은 135%, PDGFB은126%로 발현촉진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찔레뿌리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항산화능이 우수하였으며, IGF1과 PDGFB에 대한발현촉진효과가 높게 나타나 항산화제, 기능성화장품, 육모제 및 발모촉진제의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8-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 KCI등재 |
2016-04-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KCI등재 |
2016-02-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5 | 0.602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