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 Mother Reflected on Chinese Prose -Focusing on Discussion about Eight Types of Mother's Funeral Garments and Writings on Mother in the 18th Centu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3-151(39쪽)
제공처
The goal of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age of mother projected on the contemporary norm of 'decorum' via the discussion about the traditional system of mother's mourning attire which became vivacious in gear with the establishment of clan constitution and base expansion of the family formalities,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confucianist order was shaken and the logic of Sung Confucianism was at risk after the disturbances of two wars,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Ching's Invasion in 1636.
The reference of mourning dress code includes 'loyalty' and 'obligation' which define consanguinity and justifica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other's mourning garments, unlike those for father which were observed with the utmost devotion regardless of differentiated relations, there were varied ranks depending on the distinct relations of bearing, breeding, and loyalty.
First, Sayngmo (birth mother), when she sent her son to another family as heir, was applied a demoted clothing or no funeral clothing. There were disputes about locating the grounds for the proper mourning clothes in consideration of her obligation, but they came to a conclusion that she should be excluded due to the precedence of 'loyalty' over obligation which is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clan constitution that there can be no two pedigrees allowed. The funeral garments for Chwulmo (divorced mother) and Kamo (remarried mother), among other birth bothers, are given a more rigorous yardstick of loyalty. Kamo, in particular, was defined to have abandoned the loyalty to husband and children on account of the ideology about virtuous women, which provided a logical basis for no mourning clothes for her.
As for Semo (father's concubine), differentiated types of mourning garments we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obligation and loyalty.' This weight was judged completely by the patriarchal logic, and only the cases which were allowed breeding relationship by father's order could be applied to the mourning system, comparable to blood mother. On the other hand, Semo who did not have children was not allowed any mourning clothes, not obtaining the status of mother.
Yangmo (foster mother), who adopted and brought up a child, and Yumo (nurse), who nursed a child who could not be fed, were requited mainly for their 'obligation,' irrespective of the blood ties or lineage. However, the customs of the age would not allow them that benefit for the reason of their mean social positions. Meanwhile, some sensible scholars led discussion that they must be rewarded based on the obligation.
The discussion about mother's mourning garments was the process of tuning cause and humanity in the complex network of family relations derived from adoption of another family's son as heir and concubinage. It went in the direction of embracing the humanity (obligation) with the cause (loyalty) in the center, and this move has to do with a train of conservative propensities such as reinforcement of clan rules, diffusion of the ideology of virtuous women, and basal expansion of the family formalities.
Outside the public opinion was the fact that the gentry themselves were the sons with their own birth mothers or were brought up by Semo or Yumo after their own mothers' deaths. The epitaphs, histories of the deceased, and funeral orations, which they left for Sayngmo, Semo, or Yumo, abound in vivid expressions of sorrow and remorse for the mothers who were not treated with official respect through the mourner's garb. The uncompromising tones based on principles that can be noticed in their discussion and the sons' sincere tears manifested in the media of personal expressions can be viewed as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son who had to live under the clan constitution, while maintaining it.
본 연구는 임병양란 이후 유교적 질서가 흔들리고 성리학적 논리가 위기에 봉착하게 되는 18세기, 宗法제도의 정착 및 家禮의 저변 확대와 맞물려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어머니 服制담론을 통해 당시 '禮'라고 하는 규범 속에 투영된 어머니 상을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服制의 기준이 되는 것은 혈연관계와 명분관계를 규정하는 '의리'와 '은혜' 개념이다. 그러나 소생관계와 양육관계 의리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어머니 복제의 경우, 어떠한 경우를 막론하고 가장 극진한 형태로 지켜졌던 아버지 복제와 달리 변수에 따라 다양한 층차가 만들어졌다.
우선 生母라 하더라도 남의 後嗣로 아들을 내보낸 경우에는 降服, 또는 無服의 규정이 적용되었다. 그 은혜를 고려하여 伸服의 근거를 찾는 논의들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두 개의 계통을 둘 수 없다는 종법의 원칙은 '은혜'보다 '의리'를 앞세워 생모를 배제하는 쪽으로 논의를 이끌었다. 생모 가운데 黜母와 嫁母의 복제는 의리의 잣대가 더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특히 가모는 열녀 이데올로기와 맞물려 남편과 자식에 대한 의리를 저버린 것으로 규정되었으며 무복 규정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논리적 근거가 되었다. 庶母들에 대해서는 '은혜와 의리의 경중'에 따라 차별화된 복제가 적용되었다. 다만, 경중은 철저히 가부장적 논리에 의해 재단되어, 아버지의 명에 의해 양육 관계가 맺어진 경우에만 친모에 상응하는 복제가 허용되었고 자식을 두지 못한 서모는 어머니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고 무복이 적용되었다. 남의 아이를 입양하여 키운 養母와 수유를 받을 수 없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키워준 乳母는 혈연이나 종통에 관계없이 '은혜'만으로 복을 입었다. 그러나 당시 時俗은 신분의 비천함을 들어 복을 입지 않으려하였고 의식 있는 선비들은 은혜의 중요성을 들어 복을 입어야 한다는 담론을 이끌었다.
어머니 복제 담론은 立後와 蓄妾등으로 파생되는 복잡한 가족 관계망 속에서 명분과 인정을 조율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논의는 명분(의리)을 중심을 인정(은혜)을 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흐름은 종법제의 강화, 열녀 이데올로기의 확산, 가례의 저변 확대로 이어지는 일련의 보수적 움직임과 관련을 갖는다.
그러나 公論의 장에서 한 발 벗어났을 때 사대부들은 그들 스스로가 생모를 따로 둔 자식이기도 하였고 어머니를 여의고 서모나 유모에게 양육된 사람이기도 하였다. 이들이 생모 또는 서모, 유모를 대상으로 하여 남긴 墓誌銘, 行狀, 祭文등에는 喪服이라는 제도를 통해 공식적으로 예우되지 못한 어머니에 대한 슬픔과 회한이 여실히 무르녹아 있다. 담론에서 간취할 수 있는 원론 중심의 강경한 어조, 그리고 사적인 표현 매체 나타나는 자식의 진솔한 눈물은 종법 제도를 지탱하며 살아야 했던 당시 母子관계의 표면과 이면이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