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과 지속가능소비 행동 : 자기 영향력에 대한 자신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117(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과 지속가능소비 행동 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자기 영향력에 대한 자신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속가능소비 행동은 세 가지 하위 차원인 삶의 질, 환경적 웰빙, 미래세대 고려로 구분되었으며, 소셜미디어의 적극적 참여(게시글 작성, 의견 공유)와 소극적 참여(콘텐츠 관찰, 좋아요 클릭)가 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MZ세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60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변량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 참여는 지속가능소비 행동의 모든 차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적극적 참여는 환경 적 웰빙과 미래세대를 고려한 소비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소비자가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고 다른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때 행동 변화가 강화됨을 보여준다. 소극적 참여는 콘텐츠 관찰이나 좋아요 클릭과 같은 단 순한 활동도 지속가능성 담론에 기여하며, 특히 미래세대 고려와 같은 행동 차원에서 두드러진 영향을 보이고 있 었다. 또한, 자기 영향력에 대한 자신감은 지속가능소비 행동의 모든 차원에서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소비자가 자신의 행동이 지속가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신념이 강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 소비 행동을 실천했다. 특히 자기 영향력에 대한 자신감과 소셜미디어 참여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지속가능소비 행동을 더욱 강화하였으며, 소비자 행동 변화의 큰 촉매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소비자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소비자의 참여와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는 캠페인 설계가 지속가능소비 촉진에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으며,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맞춤형 메시지와 성공 사례 공유, 사용자 참여형 캠페인 및 콘텐츠 제작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설문조사 기반의 주관적 데이터라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과 빈도를 포함한 구체적 사용 패턴과 실제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론적 확장이 필요 하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ltifaceted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idence in one's influence.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quality of life, environmental well-being, and consideration for future generations.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active participation (e.g., posting and sharing opinions) and passive participation (e.g., observing content and liking posts) on each dimen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MZ generation), and data from a total of 46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media particip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dimension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ctive participation had a strong impact on behaviors related to environmental well-being and consideration for future generations, demonstrating that behavior changes are amplified when consumers express their perspectives and interact with others. Passive participation, even through simple activities like observing content or liking posts, contributed to the sustainability discourse, with particularly notable effects on behaviors concerning future generations. Additionally, confidence in one’s influence emerged as a strong predictor across all dimension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Consumers with a stronger belief in their ability to positively impact sustainability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higher level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The interaction between confidence in one's influence and social media participation further amplifie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Notably, the combination of active participation and high confidence served as the most potent catalyst for driving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as a powerful platform for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It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campaigns designed to enhance active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in promoting sustainable consump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emphasizing the need for tailored messaging, the sharing of success stories, and the creation of participatory campaigns and content leveraging social media platforms. The study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survey-based subjective data and suggests methodological expansions in future research, such as analyzing detailed usage patterns and actual behavioral data, including time spent on social media and usage frequenc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