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단종류에 따른 한복 전통배색의 이미지 차이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9-78(10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서구문물의 유입과 한복의 예복화로 인해 한복이 일상복으로 입혀지기 꺼려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한복 소재의 세탁 및 관리의 어려움이 대표적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면과 린넨 같은 현대 의복소재로 디자인한 한복패션이 유행함으로써, 한복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향이 제시되었다. 또한 한복의 매력적인 요소로 가장 많이 손꼽히는 전통배색을 이용한 현대의복소재를 사용해 한복의 기능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한복배색을 현대원단으로 제시하였을 때, 이를 전통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평가하고 현대화된 한복에 사용 가능한 현대원단과 전통배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한복배색과 한복에 사용되는 원단과 현대의복에 사용되는 원단 종류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이론적 연구를 진행한 후, 본 연구에 활용할 전통한복배색과 전통원단 및 현대원단들을 선정하였고, 이를 이용해 제작한 배색 샘플을 제시하여 배색에서 느껴지는 전통성과 감성이미지를 조사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후 연구결과를 배색종류별, 원단종류별, 원단표면특성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전통성과 감성이미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적배색, 황청배색, 백흑배색 순으로 전통적이라 느끼고, 갑사, 면과 같이 원단의 광택이 적고, 원사가 굵을수록 조화롭고, 자연적이고, 전통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녹적배색처럼 강한 대비가 특징인 전통배색들은 조화롭고, 수수하고, 단정할수록 전통성이 약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적 원단을 이용한 전통한복배색을 활용하여 한복의 전통성을 유지하며 현대화할 수 있는 방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Because of western culture and formalization of Hanbok, the biggest problem is difficulty in washing and managing Hanbok material in this situation that Hanbok is less preferred to be worn as everyday dress. However, recently as Hanbok fashion designed with modern clothes materials as cotton and linen, etc. among 2030 generation, a direction to modernize Hanbok has been suggested. Also, there"s a necessity to improve the function of Hanbok by using modern clothes materials using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the attractive factor of Hanbok. Here, this research intended to evaluate the degree that people feel the traditionality of Hanbok when suggesting it in modern fabric with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nd suggest modern fabric and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vailable for modernized Hanbok as a method to modernize Hanbok. For this, this research selected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traditional fabric, and modern fabric to utilize for this research after conducting theoretical research that investigated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on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fabric used for Hanbok, and the kinds of fabric used in modern clothes, and conducted empirical study that researched traditionality and emotionality image in color arrangement by suggesting color arrangement sample produced by using this. Then,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each traditionality and emotionality image by classifying the research results into color arrangement type, fabric type, and fabric surface characteristic. As the result, traditionality was felt in order of green red arrangement, yellow blue arrangement, and white black arrangement, and harmonious and naturalness and traditionality were felt in order of the fabric with less gloss as cotton, and gapsa. However,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which has strong contrast as green red arrangement on characteristic, traditionality could be weakened when they are harmonious, simple, and nea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raditionality of Hanbok could be maintained and a direction to modernize it could be derived by utilizing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using modern fabric.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12-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 KCI등재 |
2014-10-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6-06-0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색채학회논문집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 | 0.905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