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퇴석(退石) 김인겸(金仁謙)의 계미통신사행기(癸未通信使行期) 시문과 내용 고찰 -한문학 작품의 현황과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the poetry and content of Toeseok Kim In-gyeom's Gyemi Tongsinsa period -Current principles and divisions of Chinese literary works with a central focus-
저자
이성형 (국립공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1-412(42쪽)
제공처
본고는 퇴석(退石) 김인겸(金仁謙, 1707~1772)이 계미통신사행기(癸未通信使行期)에 남긴 한문학 작품을 찾아서 그 현황과 작품 세계를 분석했다.
김인겸은 문학적 능력을 인정받아 통신사의 서기로 선발되었고, 일본에서도 시문 수창 능력이 뛰어나다는 명성이 있었는데, 천여 수의 수창시를 지었다. 조엄(趙曮)의 해사일기(海槎日記)와 일본의 창수록에 수록된 김인겸의 한문 작품은 필담을 제외하고 편지 2편과 한시 192수가 확인된다.
김인겸 시문의 작품 세계로, 먼저 ‘막부(幕府)에 대한 양가감정(兩價感情)’에 대한 작품은 임진왜란의 원흉인 풍신수길(豐臣秀吉)에 대해서는 적개심이 뚜렷하지만, 덕천가강(德川家康)에 대해서는 조선의 원수인 풍신수길을 처단했던 점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강호(江戶) 막부(幕府)가 덕천가강을 계승했기 때문에 현재의 막부를 긍정적으로 판단한 것이다. 다만 전명례(傳命禮)에 임진왜란의 기억을 투사하며 참여를 거부했던 모습은 막부를 부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막부에 대한 양가감정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선린(善隣)과 화국(華國)을 위한 수창(酬唱) 의지(意志)’에 대한 작품은 일본 문사들과 수창을 통해 선린을 도모하면서 조선의 문학적 역량을 드러내고자 했다. 다만 실제 시문 수창 현장은 선린을 표방한 일종의 시전(詩戰)처럼 진행되어, 조식(曹植)이나 온정균(溫庭筠)같은 시재(詩才)가 높게 평가되었다. 필하전담(筆下傳談)이 가능한 일본을 사해동포(四海同胞)로 인식하고, 수창은 이문회우(以文會友)로 평가하며 선린을 도모했다. 또한 병증을 무릅쓰고 응수하려는 의무감과 의지가 확인되는데, 선린과 화국에 응대가 기본이 되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일본(日本) 학술(學術)과 불교(佛敎)에 대한 논평(論評)’에 대한 작품에서 일본 성리학에 대해서는 진량(陳良)같은 인재들에게 북학(北學)의 길이 막힌 것 같다는 비유를 통해, 일본 성리학의 범위와 수준에서 한계를 지적했다. 조래학자(徂徠學者)나 절충학자(折衷學者)는 그들의 예모(禮貌)와 시문의 격조를 근거로 객관적인 논평을 남겼고, 학문적 경향과 수준에 대한 논평은 남기지 않았다. 다만 불교에 대해서는 한유(韓愈)의 ‘불골표(佛骨表)’를 근거로 견해를 직접적으로 반박하며, 조선은 성리학이 아닌 불교를 통금(痛禁)한다고 주장했다. 불교와 관련해서 심도 있는 필담을 병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This paper found the Chinese literary works left by Toeseok(退石) Kim In-gyeom(金仁謙, 1707-1772) during the Gyemi Tongsinsa(癸未通信使) period and analyzed their current status and world of works.
In recognition of his literary ability, Kim In-gyeom was selected as a secretary at Tongsinsa, and he had a reputation in Japan for his outstanding ability to recite poetry, and he wrote more than a thousand poems. In Jo Eom(趙曮)'s Haesailgi(海槎日記) and Kim In-gyeom's Chinese writing works included in Japanese records, 2 letters and 192 Chinese poems are confirmed, excluding text dialogue.
Looking at the literary world of Kim In-gyeom's Chinese literary works, first of all, the works about ‘ambivalence toward Bakufu(幕府)’ clearly show hostility toward Toyotomi Hideyoshi(豐臣秀吉), the culprit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On the other hand, Tokugawa Ieyasu(德川家康) was evaluated positively for the fact that he punished Toyotomi Hideyoshi(豐臣秀吉), the enemy of Joseon. Because the Edo(江戶) Bakufu(幕府) succeeded Tokugawa Ieyasu(德川家康), the current Bakufu(幕府) was judged positively. However, the refusal to participate while projecting memori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ceremony of handing over the national letter indicates a negative perception of Bakufu(幕府), confirming the ambivalent feelings toward Bakufu(幕府).
Second, the work about ‘friend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will to sing for the glory of one’s country’ attempted to show off Joseon’s literary capabilities while promoting friend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singing with Japanese writers. However, the actual poetry and prose writing scene proceeded like a kind of literary war that advocated friend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Chinese poetry skills of Jo Sik(曹植) and On Jeong-gyun(溫庭筠) came to be highly regarded. Recognizing Japan, where text communication was possible, as a compatriot, Suchang promoted friend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evaluating it as ‘making friends through literature.’ In addition, the sense of duty and will to sing despite illness is confirmed, because singing became the basis for friend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glory of one's country.
Third, in the work on ‘Essay on Japanese Studies and Buddhism’, Japanese Neo-Confucianism was likened to the path to Northern studies being blocked for talented people like Jin Ryang(陳良),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in the scope and level of Japanese Neo-Confucianism. Scholars of ancient literature and scholars of art left objective comments based on their manners and the quality of their poetry and writing, and did not leave comments on academic trends and levels. However, regarding Buddhism, he directly refuted the view based on Han Yu(韓愈)'s ‘Bulgolpyo(佛骨表)’ and claimed that Joseon strictly prohibited Buddhism, not Neo-Confucianism. This appears to be because they had an in-depth text conversation related to Buddhis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