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회계이익-세무이익 차이 정보의 재해석 : 이익지속성과 당기 및 차기시장 반응을 중심으로 = The Reanalysis for Information of Book Income-Tax Income Difference : Emphasis on the Income Persistence and the Market Response of Current and Next Perio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9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7-227(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회계이익은 경영자의 재량적 회계선택에 따라 경영성과를 적절하게 나타내지 못하며 세무이익은 엄격한 세법의 적용으로 경영자의 자의성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인식된다. 회계부정 기업의 BTD가 매우 컸다고 밝혀지면서 세무이익과 BTD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한편, 수정결정계수로 표시되는 모형 설명력 증가를 위하여 Easton et al.(1991) 이후로 수준변수(level variables)에 변화변수(change variables)를 함께 독립변수로 사용하는 연구방법이 적용되어 왔지만 설명력 증가를 실증하는 추가적인 연구와 당기수준변수는 전기수준변수와 변화변수로 분해되는데 따른 세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하는 연구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회계이익과 회계이익 구성요소의 이익지속성과 당기 및 차기주가반응에 대하여 정보가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계이익은 BTD와 세무이익으로 분해되고, BTD는 일시적차이와 영구적차이로 분해된다. 또한 각 회계이익 구성요소의 당기수준변수는 전기수준변수와 변화변수로 분해된다. 각 회계이익 구성요소의 변수 각각의 이익지속성․당기초과수익 설명력․차기초과수익 설명력에 대하여 정보가치가 있는지와 있다면 정보가치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당기수준변수, 변화변수, 당기수준변수와 변화변수, 전기수준변수와 변화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과 Mishkin(1983) 검증을 각각 수행한다.
표본은 1999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 비금융업사(연도별 최대 512개 기업․년)를 대상으로 하였다. 세무이익과 일시적차이 및 영구적차이는 재무제표 주석에서 직접 수집하였으며, 다른 재무수치는 KIS-VALUE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변수는 이익지속성에 대하여 양(+)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당기수준변수보다 설명력이 낮았다. 둘째, 변화변수는 당기초과수익에 대하여 당기수준변수보다 설명력이 크며 변화영구적차이도 큰 양(+)의 상관관계가나타났다. 셋째, 차기초과수익에 대하여는 변화일시적차이, 변화BTD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입증되었다. 넷째, 변화변수와 당기수준변수를 함께 독립변수로 사용하는 연구의 설명력 증가는 이익지속성, 당기 및 차기초과수익률 모두에서 기대할 수 없다고 실증되었다. 다섯째, 변화일시적차이와 변화BTD의 이익지속성은 자본시장에서 과소평가되고 있다는 정보가치 특성이 실증되었다. 여섯째, 당기기준 변화변수의 계수 값은 전기기준 변화변수 계수 값에서 전기수준변수 계수 값의 차이로 나타나 변화변수와 당기수준변수를 함께 독립변수로 사용하는 연구결과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함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BTD와 일시적차이의 정보가치 연구, 변화변수의 정보가치에 관한 연구 그리고 당기수준변수에 변화변수를 함께 사용하는 연구결과의 해석 발전에 기여하였다.
It is usually accepted that accounting income cannot properly reflect manage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manager's discretionary accounting choices and that tax income does not reflect the manager's arbitrariness due to the strict application of tax law. Interest in tax income and BTD has widely expanded since companies of accounting fraud turned out to have very big BTD. Both level and change variabl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a model represented by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ut the explanatory power made only a small increase and the current level variables failed to provide enough explanation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as they were divided into prior level variables and change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information value of the income persistence and current and next stock price responses of accounting income, and the constituents of accounting income. Accounting income is divided into BTD and tax income, BTD into temporary and permanent difference, and the current level variables of each constituent of accounting income into prior level variables and change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re was information value in the income persistence of each variable of each constituent of accounting income, explanatory power for current excess return and explanatory power for next excess return and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information value if they was any. For that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ishkin(1983) test were conducted with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current level variables, change variables, current level variables and change variables, and prior level variables and change variables.
The sample consists non-banking firms(maximum 512 firm-year) with a December fiscal year-end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over 1999-2007. The data on tax income, temporary and permanent difference, are collected from notes to financial statements directly. And other firm-specific financial data are collected from KIS-VALUE database.
Empirical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hange variabl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come persistence but had lower explanatory power than current level variables; second, change variables had higher explanatory power for current excess return of accounting information than current level variables, and change permanent difference had hug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at; third, it was proven that change temporary difference and change BTD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ext excess return of accounting information; fourth, the research that used both change variables and current level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would not increase in explanatory power for income persistence and current and next excess return; fifth, a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value was proven that change temporary difference and change BTD were underestimated in the capital market; and sixth, the coefficient of current change variables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efficient of prior change variables and that of prior level variables, which means extra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a research that uses both change variables and current level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thus made a contribution to the interpretation development of results of researches that use both current level variables and change variables as well as researches on the information value of BTD, temporary difference, and change variabl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