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궁예정권의 국호・연호 제정의종교・사상적 배경과 운주사 =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Background to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name[國號] and the Regnal year[年號] in the Gung-ye[弓裔]’s regime and Unjusa temple[雲住寺]
저자
이재범 (경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189(49쪽)
제공처
궁예정권의 국호・연호 제정 및 변경의 종교・사상적 배경은 한국 전통사상인 儒・佛・仙 삼교와 관련이 있다. 궁예는 896년 송악군에 보리참성[勃禦槧城]을 축조하였는데, 불교와 관련된 ‘보리 세계’의 구현과 연관성이 있다. 불교에서 의미하는 모든 사람들이 각성하여 보살이 되는 세계를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궁예는 901년에 국호를 고려라고 하였는데, 자신의 통치 지역의 민심과 정서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국호 고려는 3년간 사용되었다. 904년에 궁예는 국호를 ‘摩震’으로 변경하고, 연호를 ‘武泰’로 정하였는데, ‘마진’은 ‘동방정토’라는 뜻이며, 이때 설정한 연호 무태는 북두칠성의 武曲星과『역경』의 泰卦에서 첫 자를 취한 합성어로 그 뜻은 ‘맑고 풍요로운 평등 사회’이다. 무곡성은 불교의 熾盛光如來 사상과 관련이 있다. 905년에 궁예는 철원으로 도읍을 옮기고 연호를 ‘聖冊’으로 바꾸었는데, 이는 철원경이 정치・종교의 중심지라는 표현이었다. 궁예는 911년에 국호를 泰封, 연호를 水德萬歲로 바꾸었다. 태봉은 ‘태괘의 봉토’의 줄임말로 ‘평화와 평등의 땅’이라는 의미로 유교적 이상향을 의미하며, 수덕만세는 오행의 ‘수덕이 영원’하라는 뜻이다. 그러나 일부 반대 세력과 갈등이 심해지면서 궁예는 폭력을 수반한 강경책으로 대응하였으나 실패하였다. 918년 6월에 왕건을 중심으로 한 반궁예세력은 쿠데타로 궁예를 축출하고 고려를 재건하였다. 왕건은 바로 국호를 고려, 연호를 천수라고 하여 궁예와 다른 자신들의 正體性을 확립하였다.
한편 궁예의 종교・사상적 경향은 사찰 건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화순의 雲住寺는 궁예 시기의 유・불・선 삼교의 사상이 반영되어 이루어졌다. 특히 치성광여래사상은 화순 운주사 창건에 큰 영향을 끼쳤다. 운주사의 칠성바위는 북두칠성을 나타낸 것이다. 臥佛(背佛)은 태괘에 의하여 땅과 하늘의 위치와 기능이 바뀌어짐에 따라 우주를 대상으로 한 불상으로 조성되었다. 민간에서 부르는 사찰의 명칭인 運舟寺는 이러한 배경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운주사의 건립 주체는 국가의 지원을 받은 나주도대행대와 같은 국가 기관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고려 현종 때에 대대적인 중창이 있었다. 조선 시대에는 도교에 심취하였던 연산군때 보수가 있었으나, 그의 폐위와 함께 중종 때부터 성장한 士林에 의하여 사상적 탄압을 받으며 서서히 소멸되었다.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Background to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country name and the regnal year in the Gungye’s regime were concened with three Korean traditional idea; Cou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Gungye built a castle, called Bori[勃禦槧城], at Songak-gun[松嶽郡], in 896. The name is related to realize the Bori-World[菩提世界], inspired by Buddhism. In Buddhism, Bori-World means an ideal world that everyone finds Buddhist enlightment, and becomes Bodhisattva[菩薩], Gungye wanted to found the ideal world. Gungye named his country, Gorye in 901. It was reflected the general sentiments and views of people, who lived in the region, he ruled. The country name was used for 3 years. In 904, Gungye changed his country name, Majin[摩震], and the name of his Regnal year became Mutae[武泰]. Majin means Buddha-field or Pure land, called Dongbang-Jeongto[東方淨土] in Korean. And Mutae is a compound word. Mizar, the 6th star of Big Dipper[北斗七星], was called Mugokseong[武曲星] in Korea. Taegwa[泰卦] is 11th Hexagram of the I ching[周易]. Mutae was named after the first letter of Mugokseong and Taegwa. And the name means a pure, fertile, and an equal society. Also the name concern with Tejaprabha Buddhist ideology, called Chiseonggwang-yeorae[熾盛光如來] Buddhist ideology in Korean. In 905, Gungye moved his capital city to Cheorwon[鐵原], and re-changed his Regnal year to Seong-chaek[聖冊]. The name showed the new capital city became the political and spiritual center. But Gungye changed again his country name to Taebong[泰封], and his Regnal year to Sudeok-manse[水德萬歲].
Taebong means fiefdom of Taegwa. And Sudeok-manse means long live the phase of Water[水德]. But the conflicts between Gungye and some opposition forces to him were on the rise, and Gungye faced them with firm violence squarely. Gungye failed the response to his enemies finally. The opposing forces centered on Wanggon[王建] carried out coup June, 918. And they expelled Gungye and reestablished Goryeo[高麗]. Wanggon restored the country name to Goryeo, and named his new Regnal year to Cheonsu. It was for establishing a sense of identity against Gungye.
Gungye also affected building the buddhist temples by his Religious and Ideological tendency. The building of Unjusa temple in Hwasun[化順] was affected by Korean traditional ideologies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Especially, Tejaprabha Buddhist ideology had a large effect on the temple construction. The seven stones of Unjusa temple is symbolized Big Dipper. The Stone Statue of the Lying Buddha was made to aimed at the statue of buddha in cosmos. I think the name of this temple, Unjusa was named by these background. It’s quite possible that Unjusa temple was built by govermental institutions, and this temple was flourished during the regime of Hyeonjong[顯宗] in Goryeo. In the era of Chosun[朝鮮], this temple was repaired in the regime of Prince Yeonsan[燕山君], but after his regime, this temple had declined by ideological pressure of forest of scholars[士林] in Chosen, called Sarim in Korea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