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 고려 기와와 그 의미 = The Significance of the Goryeo Roof Tiles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and Wolji Pond in Gyeongju
저자
이현태 (국립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65(33쪽)
제공처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문화유산이 출토되었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瓦塼類이다. 와전류의 대부분은 7세기 후반~10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데, 日暉文 막새를 비롯한 고려 기와도 일부 확인된다. 1978년에 발간된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에 수록된 고려 기와는 그동안 황룡사에서 유입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했다. 하지만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 가운데는 발굴조사보고서에 실리지 않은 것도 있고 일제강점기에 출토된 것도 있어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는 대체로 월지의 서쪽 湖岸 또는 남쪽 호안과 인접한 지점에서 출토되었거나 월지 서편 건물군에서 출토되었음이 확인된다. 그런데 월지와 황룡사의 사이에 자리한 월지 동편의 가・나지구에서는 일휘문 막새가 출토된 적이 없으며, 월지에서 출토된 日暉・雲文 수막새는 황룡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는 형식이다. 이는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가 황룡사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원래 사용처가 월지 주변의 건물이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는 적어도 월지 주변의 일부 건물이 일휘문 막새가 등장하는 11세기 중엽까지 남아 있었음을 알려준다.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 가운데 附椽瓦가 포함된 점도 주목되는데, 통일신라 때 월지 주변의 건물은 서까래와 附椽의 끝부분을 金銅 透彫 裝飾으로 마감・장식했기 때문에 椽木瓦 및 부연와는 출토된 적이 없다. 따라서 비록 1점에 불과하지만 고려시대의 부연와가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월지 주변에 남아 있던 건물을 유지・보수하는 방식을 짐작하게 한다. 아울러 권위건물로서의 전반적인 외형은 고려시대까지 이어졌다고 하더라도 건물을 장엄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여 건물 자체의 위상은 통일신라시대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A variety of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among which roof tiles and tile bricks (wajeon 瓦塼) comprise the largest proportion. Although the majority of these roof tiles and tile bricks date from the late seventh to the early tenth centuries-corresponding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several roof tiles from the Goryeo period (918-1392), such as roof-end tiles (maksae) with sun halo design (ilhwimun 日暉文), were also found. Based on the findings included in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of Anapji Pond, published in 1978, the common understanding thus far was that these Goryeo roof tiles were brought to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from the nearby Hwangnyongsa Temple. However, not all of the Goryeo roof tiles were featured in the 1978 excavation report, and some Goryeo roof tiles were also found during excavat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us, a more detailed review of the Goryeo roof tiles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s needed.
Most of the site’s Goryeo roof tiles were discovered in the vicinity of the western or southern retaining walls (hoan 湖岸) of Wolji Pond or around the buildings situated on the pond’s western side. However, no roof-end tiles with sun halo design have been found in Zones A or B, located to the east of Wolji Pond between Wolji Pond and Hwangnyongsa Temple. Furthermore, no convex roof-end tiles (sumaksae) with sun halo design or cloud design (unmun 雲文), in the style of those excavated from Wolji Pond, have been found at Hwangnyongsa Temple Site. This suggests that rather than being brought over from Hwangnyongsa Temple, the Goryeo roof tiles were used in the first place on the buildings around Wolji Pond. Furthermore, as roof-end tiles with sun halo design emerged in mid-eleventh century, we can know that at least some of the buildings around Wolji Pond remained in use until this time.
In addition, the discovery of a rafter extension tile among the Goryeo roof tiles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s noteworthy. Because the ends of rafters and rafter extensions were finished/decorated with gilt-bronze openwork decoration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rafter tiles (yeonmogwa 椽木瓦) or rafter extension tiles (buyeonwa 附椽瓦) had not been found around the buildings of Wolji Pond. However, the single Goryeo-period rafter extension tile allows us to conjecture that the buildings in the vicinity of Wolji Pond continued to undergo maintenance and repair. Moreover, this change in the way the building was adorned suggests that the even if the building retained its external appearance as an authoritative structure, its status had declined in the Goryeo perio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