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남아시아 중국인 디아스포라와 화교⸱화인 학교교육의 설립과 변화: 청말 이후 1949년 이전까지 = Chinese Diaspora in South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and the Change of Chinese Ethnic Schooling Therein: From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o before 1949
저자
정은주 (인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62(5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민족주의와 국가정체성이 싹트고 성장했던 청말 이후 중국이 공산화되기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정착해있던 중국인 디아스포라의 교육 양태를 본국 및 정착국과의 관계, 그리고 지역 중국인 사회의 맥락에서 점검하는 글이다. 서구 식민지배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독립국가체제 정립 그리고 이념적으로 양분되어가던 중국의 변화 등 역사적 여정 속에서 해외 중국인의 디아스포라 교육은 국민됨과 민족성, 고향, 적응, 세대 변화, 이중국적의 이슈 등 화교⸱화인이 동남아 지역에서 겪어온 다양한 이슈들을 반영한다.
논문에서는 먼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근대적인 중국인 교육이 성립되는 배경으로서 19세기 말 이후 본국 중국의 교육 개혁의 양상과 해외 중국인 교육 시스템과 연결되는 양상을 파악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실제 진행되어온 바를 기록한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 교육의 진전에 투사되는 동남아 화교⸱화인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변화하는 중국인 디아스포라 세대의 ‘중국’과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sprouted and grew. I scrutinize the diaspora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home country and also in the context of local Chinese community. Overseas Chinese diaspora education reflects various issu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nationality, ethnicity, hometown, adaptation, generational change, and dual nationality.
In the paper, as the background of modern Chinese education in many Southeast Asian countries, I discuss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form in China and how they were linked to the overseas Chinese education system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record the actual progres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Chinese diaspora generation's recognition of "China" along with changes in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y projected on the progress of diaspora educ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