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발성 척수 탈출증 = Idiopathic Spinal Cord Herni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1-128(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Study Design: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sight into idiopathic spinal cord herniation (ISCH) in terms of clinical presentation, pathophysiology,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SCH is a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spinal cord through a ventral dural defect. It has increasingly been recognized and described over the past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Review of the English-language literature on ISCH.
Results: ISCH occurs in middle-aged adults with a female preponderance.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is Brown- Sequard syndrome, which can progress to spastic paraparesis. Its pathophysiology is unknown. However, some authors proposed that inflamm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e of a dural defe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typically shows an anterior kink of the thoracic spinal cord with an obliteration of the ventral subarachnoid space and the widened dorsal subarachnoid space.
Surgery is generally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motor deficits or progressive neurological symptoms. The posterior approach has been used because it allows wide exposure of the spinal cord. The surgical treatment of ISCH consists of spinal cord reduction from the ventral dural defect, which can be managed with enlargement, direct repair, or duraplasty (dural repair with a patch). In recent years, duraplasty has been used more frequently than enlargement of the dural defect.
Conclusions: ISCH causing thoracic myelopathy could be safely treated with surgical management. The possibility of this disease should be kept in mind when treating patients with progressive myelopathy.
연구계획: 문헌 고찰목적: 특발성 척수 탈출증의 임상 양상, 병태 생리, 진단, 분류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 요약: 특발성 척수 탈출증은 척수가 전방의 경막 결손을 통하여 빠져 나가는 질환으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지만, 최근 10년 동안 빠르게 인식되면서 많은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영문으로 보고된 특발성 척수 탈출증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특발성 척수 탈출증은 주로 성인 중년층에서 발생하며 여자에서 호발된다.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은 Brown-Sequard 증후군이며, 이것이 악화되어강직성 부전 마비로 나타날 수도 있다. 정확한 발생 기전을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염증이 경막 결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있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 흉추부 척수가 전방으로 전위되어 있으면서 척수 전방에 지주막하 공간이 소실되어 있고, 척수 후방의 지주막하 공간은 넓어진소견을 보인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근력 약화가 있거나 신경학적 증상이 진행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광범위하게 척수를 노출시킬 수 있는 후방 수술이 이용된다. 수술은 빠져 나간 척수를 경막내로 이동시킨 다음, 경막 결손에 대해서는 경막 결손을 더 크게 하는 방법, 직접 봉합하는 방법, 패취를 이용한 경막성형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경막성형술이 더 자주 사용되어 보고되고 있다.
결론: 특발성 척수 탈출증은 흉추 척수증을 유발할 수 있으나 수술로 비교적 안전하게 치료될 수 있다. 진행성 척수증을 가진 환자를 진료할 때 이 질환을반드시 유념하여야 한다.
약칭 제목: 특발성 척수 탈출증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3 | 0.03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6 | 0.05 | 0.22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