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범대순 시의 존재론적 아포리즘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114(22쪽)
제공처
존재에 대한 탐색을 전방위적으로 수행한 범대순의 시를 언어의 고양과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시는 언어의 확장보다는 고양, 심화에 최적화된 쓰기로 알려져 있다. 서정시의 미학을 ‘발견’에 두는 것은 그 한 예이다. 단어의 발견, 문장의 발견, 시적 표현의 새로운 발견이 서정시의 언어적 전략이었다. 범대순의 의미의 장에 새로운 언어를 공급하는 대신 기존의 언어를 텍스트에서 해방함으로써 ‘경계’를 넓히고 ‘사이’를 심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것은 의미의 결정을 지속적으로 ‘연기’하고 있는 ‘거시기’라는 말이 대표한다. 범대순의 『나는 디오니소스의 거시기氣다』에 실린 시를 nothing, anything, something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범대순이 시도하고 있는 인식의 방법, 구조로서 『기승전결』을 서사와 구별되는 시적 플롯으로 규정했다. 서사는 시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반면, 시적 플롯은 공간,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질적 시간 인식에 다가선다. 결론을 대신해서 범대순 시인의 삶이었던 무등산을 다뤘다. 무등산은 표현의 첨단과 시적 플롯의 바탕 사이에서 불타오르는 소지의 불자체였다. 범대순 시인은 일생을 그 불 속에서 소진하면서 시를 피워 올렸다.
더보기I explored unlifting and expansion of poetic language in poems and poetry of Beom Dea-sun which had searched for subject in all directions. In general, Poem was known as the optimized writing for deeping and uplifting. It is an example that the virtue of a lyric is found in the language. The discovery of a new poetic expression and sentence, found words were the strategy of lyrical language.
The strategy of lyrical language of Beom was broadened the ‘border’ of meaning field through to be the liberation of the existing language in the text instead of supplying a new language. He deepened between language and language, text and text. The word ‘Geosigi’ is this representative.
I looked at his poem in the I am a ‘Geosigi’ of Dionysos aspect of relationship among nothing, anything, something. Next, I defined the method and structure of recognition of Beom poetry to poetic plot distinct from the narrative plot through the analysis of GiSeungJenonGyeol written by Boem.
In place of the conclusion, I explored lyric of Mountain Mudeung that was his life. Mudengsan was flaming paper between the peak of expression and the base of poetic plot. Poet Beom Dea-sun raised poem by sending the lifetime into the fir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