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강박성향 기독교인을 위한 기독교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 심리도식치료를 중심으로

    • 저자

      배시은

    • 발행사항

      서울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기독교상담학과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35 판사항(6)

    • DDC

      253.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 281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은영
      권말부록: 요구조사 설문지(대상자용) 등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ristian counseling program that is integrated Schema Therapy and test its effectiveness for adult Christian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The objective of this Christian counseling program is to help adult Christian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to know the main causes and schemes of his or h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have the person set up a change goal to be managed.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six stages that are research, analysis, design, plan, performance and evaluation. At the stage of the research, it included both a survey for needs-assessment and a Delphi survey. The program contents consisted of the opinions of 11 adult Christian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and 10 Christian counselor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in the needs-assessment and a Delphi survey, Christian Schema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of 15 sessions that includes 1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
    7 sessions of preliminary programs were given to 6 participants that are 3 hours each for 6 weeks. With the feedback of the participants, this program was modified and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May 2019,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the Counseling Center of the Torch Trinity Theological Seminary. A total of 22 people that were 11 experimental subjects and 11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11 experimental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it 2 hours a week for 14 weeks that consists of 15 sess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program, quantitative evaluations were used such as a MMPI-2 psychasthenia scale(Pt), Obsessive Beliefs Questionnaire(OBQ-44), Korean version Young Schema Questionnaire(K-YSQ-L3), Spiritual Well-being Scale(SWBS) and the subjective evalua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were described.

    The effect differences of the pre- and post-progra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For doing this, MMPI-2 Pt, OBQ-44, K-YSQ-L3, SWBS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25.0.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homogeneity of pre – tes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was performed. The independent t 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 test to determine the t value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effect test, The MMPI-2 Pt, OBQ-44, K-YSQ-L3,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Scal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bsessive-compulsive-related scores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Christian Schema Therapy program compared to the scores before the Christian Schema Therapy progra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the pre – and post – mortem mean of the spirituality scal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ean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regards to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it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felt God's greatness, intimacy, the gaze of God, the confidence in relationship, the recalling the experiences with God in the past, and the realization that he or she is rediscovered by God through the participants’ testimonies and questionnaires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ristian counseling program for adult Christians obsessive – compulsive disorder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obsessiveness was decreased and spiritual well–being was increased. The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a change in relationship with God.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help the adult Christian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in the church community because it reduces their anxiety and fear and increases the spiritual well-being.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church communities and Christian counselo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es will be developed since this study is the cornerstone of the domestic program based on Schema therapy.

    Key words:
    Program Development, Christian Schema therapy, Obsessive-compulsive Christians , Spiritual Well-Being

    더보기

    본 연구는 강박성향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심리도식치료를 통합하여 기독교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강박성향 기독교인이 하나님과 관계 안에서 자신의 강박성향 심리도식 및 양식과 관련한 문제를 알고, 변화목표를 설정하고 조절하여 다룰 수 있도록 조력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6단계인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실시, 총괄평가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 요구조사 및 델파이조사는 강박성향 기독교인 11명과 기독교상담 전문가 10명의 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요구조사 및 델파이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강박성향 기독교인을 위한 기독교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을 개인회기 1회기를 포함하여 총 15회기로 구성하였다. 6명을 대상으로 6주간 3시간씩 7회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자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는 2018년 10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 총 22명 중 실험집단에게 매주 2시간씩 14주간 15회기로 횃불트리니티 신학대학원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하여 다면적 인성검사Ⅱ의 강박척도, 강박신념척도, 한국판 Young 심리도식 질문지, 영적안녕감의 객관적평가를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 참여자의 주관적평가를 기술하였다.
    실험집단, 통제집단 간의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면적 인성검사Ⅱ의 강박척도, 강박신념, 한국판 Young 심리도식, 영적안녕감 질문지를 프로그램 전, 후에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 후 SPSS 25.0을 이용하여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검사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 전후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각각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사후검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실시 후의 t값을 알아보았다.

    효과검증 결과, 실험집단의 강박관련 심리도식척도와 강박신념척도, 강박척도의 사전 사후 집단 간 평균의 차이와 프로그램 전후의 평균차이를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다면적 인성검사Ⅱ의 강박척도, 강박신념척도, 한국판 Young 심리도식 질문지와 통제집단의 척도들 간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강박성향 관련 점수는 기독교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기독교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실험집단의 영성 척도의 사전 사후 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영적안녕감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기독교심리도식치료프로그램 전 후 평균 차이에서 영적안녕감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소감과 설문을 통한 하나님과의 관계변화에서 참여자들은 하나님의 크심, 함께함, 친밀함, 하나님의 시선을 느꼈으며, 관계에 대한 확신을 경험하였으며, 하나님과 함께 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경험, 하나님과 관계에서 자신을 재발견하는 경험을 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강박성향 기독교인을 위한 기독교상담프로그램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참여자의 강박성향이 감소하였으며 영적안녕감이 증가되어 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하나님과 관계에서 변화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강박성향을 보이는 기독교인들의 불안과 두려움의 감소를 가져오고, 영적안녕감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교회 공동체에서 강박성향을 보이는 기독교인을 도울 수 있다. 교회 공동체 및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가 심리도식치료 기반한 국내 프로그램의 초석이 되었기에 다양한 후속 연구가 개발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10
    • 1. 강박성향의 이해 10
    • 2. 강박성향의 치료 13
    • 3. 심리도식치료이론 17
    • 4. 집단심리도식치료의 이해 33
    • 5. 기독교심리도식치료 36
    • 6. 강박성향에 대한 기독교심리도식치료 70
    • Ⅲ. 연구방법 79
    • 1. 연구 방법 79
    • 2. 기독교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 개발 과정 79
    • 3. 프로그램의 구성 및 실시 113
    • Ⅳ. 연구결과 152
    • 1. 프로그램이 강박성향에 미치는 효과 검증 152
    • 2. 프로그램이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검증 157
    • 3. 프로그램이 강박성향,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검증 158
    • 4.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효과검증 160
    • Ⅵ. 논의 및 제언 174
    • 1. 결과요약 174
    • 2. 결론 및 제언 180
    • 참고문헌 202
    • 부록 216
    • 1 요구조사 설문지(대상자용) 216
    • 2 Delphi 1차 조사 설문지 221
    • 3 Delphi 2차 조사 설문지 224
    • 4 참여 대상자 사전 인터뷰질문지 229
    • 5 강박신념질문지(OBQ) 230
    • 6 다면적인성검사Ⅱ의 강박증척도(Pt) 233
    • 7 프로그램의 주관적 평가 235
    • 8 프로그램의 평가 238
    • 9 기독교심리도식치료프로그램지침서 243
    • 10 기독교심리도식치료프로그램활동지 265
    • Abstract 278
    더보기
    • 1 이용승, 이한주, "강박장애", 서울: 학지사, 2008
    • 2 이정모,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2
    • 3 Anderson, T., "화해의 상담", 상담과 선교, 76(0), 6-22, 2012
    • 4 김용태, "기독교상담학", 서울: 학지사, 2006
    • 5 박기영, 전요섭, "기독교상담학자", 쿰란출판사: 서울, 2008
    • 6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3
    • 7 최선, "기독교 집단 상담", 도서출판 그리심: 서울, 2007
    • 8 김미경, "기독상담자와 영성", 복음과 상담, 11, 165-185, 2008
    • 9 이규성, "십자가 영성과 신학", 가톨릭신학과 사상, (73), 286-337, 2014
    • 10 김광수, "용서 상담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2008
    • 11 김민숙, 최영민, 조아라, ", 영성 지향 심리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2008
    • 12 최영화, "강박증과 기독교상담", 성경과 상담, 3, 68-77, 2003
    • 13 정석환, "“기독상담과 영성.”", 신학논단, 29, 403-430, 2001
    • 14 강도형, 김의태, 김영윤, 김봉년, 권준수, "강박증의 통합적 이해", 서울: 학지사, 2009
    • 15 이기춘, "기독교의 영성과 상담", 기독교사상, 29(7), 243-249, 1985
    • 16 Anderson, T., "화해의 근거이신 예수", 상담과 선교, 76(0), 22-38, 2012
    • 17 이관직, "성경으로 불안 극복하기", 서울: 두란노, 2017
    • 18 양병모, "중독의 목회신학적 소고",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8, 95-116, 2004
    • 19 유재경, "영성의 연구 경향과 전망", 신학과 실천, 24(24), 183-212, 2010
    • 20 설순호, 신민섭, "강박장애의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7(1), 17-40, 2007
    • 21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8
    • 22 최은영, "기독교상담학: 비평과 사례", 서울: 횃불트리니티출판부, 2015
    • 23 김상인, "기독교 상담에 있어서의 영성", 성결심리상담, 2, 66-85, 2010
    • 24 조성호,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177-192, 2001
    • 25 김지영, 신민섭, "강박장애 환자의 인지행동 치료", 인지행동치료, 4(2), 97-106, 2004
    • 26 안경승, "기독교상담과 병리에 대한 이해", 복음과 상담, 9, 141-167, 2007
    • 27 권석만, 우충완, 신민섭, "강박신념의 강박증상 특이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35-52, 2010
    • 28 권수영, "기독 (목회) 상담에서의 영성 이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46(1), 251-275, 2006
    • 29 조성호, "초기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775-788, 2002
    • 30 임회정, "치의학 연구에서의 표본크기 산출", 대한치과의사협회지, 52(9), 558-569, 2014
    • 31 이정흠, 한경희, 민병배, 문경주, 김중술, 임지영, "다면적 인성검사Ⅱ 매뉴 얼 개정판", 서울: (주)마음사랑, 2011
    • 32 Smedes, L., "용서의 기술. 배응준 역. 서울:규장", (원저 1984 출판), 2005
    • 33 권주수, 신민섭, "쉽게 따라하는 강박증 인지행동치료", 서울: 학지사, 2015
    • 34 원승희, 이승재, 이상원, "강박장애 환자의 부적응적 스키마 특성", 인지행동치료. 10(2), 75-91, 2010
    • 35 Bernstein, D.P., Young, J.E., Rafaeli, E., "심리도식치료. 이은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1 출판), 2015
    • 36 이은규, "복음주의 상담을 위한 영성에 대한 고찰", 복음과 상담, 11, 9-44, 2008
    • 37 김준, "개혁주의 인간이해와 강박증 기독교상담", 총신대논총, 33, 403-429, 2013
    • 38 김경은, "의식성찰 in 오늘부터 시작하는 영성훈련", 서울: 두란노, 2017
    • 39 서영원, "기독교상담에서 회개를 통한 치유적 효과", 복음과 실천신학, 18, 170-190, 2008
    • 40 김준, "불안과 기독교상담: 성경적 인지행동접근", 성경과 신학, 71, 85-109, 2014
    • 41 김태영, "상담과정에서의 죄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5
    • 42 박광철, "종합성경연구Ⅲ 교리적 방법으로 본 성경",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 43 최민영, "이유니 강박증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이해", 복음과상담, 22(1), 290-322, 2014
    • 44 Crabb, L., "인간이해와 상담.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87 출판), 1996
    • 45 최민영, 홍경화, "기독교청년의 종교성과 강박적 성향의 관계", 복음과상담, 23(1), 287-314, 2015
    • 46 Howard, E., "성경그대로 기도하기. 채수범역. 서울: 규장", (원저 2009 출판), 2014
    • 47 권석만 , 유성진,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91-117, 2008
    • 48 최한나, 이상희, 신을진, 김형수,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 평가』", 서울: 학지사, 2011
    • 49 전요섭, "직면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이해와 활용가능성", 신앙과 학문, 13, 241-265, 2008
    • 50 Bainton, R.H., "마틴루터의 생애. 이종태 역. 서울: 생명말씀사", (원저 1964 출판), 1982
    • 51 Berkhof, L., "벌콥조직신학(상). 고영민 역. 서울: 기독교문사", (원저 1974 출판), 1999
    • 52 Berkhof, L., "벌콥조직신학(하). 고영민 역. 서울: 기독교문사", (원저 1974 출판), 1999
    • 53 이진화, "영적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 54 Wright, H., "N 자기대화와 상상요법. 안석모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86 출판), 1995
    • 55 안경승,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복음과 상담, 19, 188-216, 2012
    • 56 Erikson, E.H., "청년루터. 최연석 역.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원저 1993 출판), 1997
    • 57 이동우, 최영희, "(역) 한국판 Young 심리도식 질문지 전문가 지침서", 서울: (주)인싸이트, 2017
    • 58 박노권, 황병준, 최재락, "목회상담에서 렉시오 디비나의 활용 가능성 연구", 제36회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대회, 142-169, 2010
    • 59 박지아, 유성경, "적응 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65-778, 2003
    • 60 류현미, 전요섭, "기독교대학생과 비기독교대학생의 강박관념 분석", 복음과상담, 2, 278-309, 2004
    • 61 Abramowitz, J. S., "강박증 극복하기. 김세주, 이영준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9 출판), 2015
    • 62 McMinn, M. R., "기독교 상담과 인지 요법. 정동섭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91 출판), 1996
    • 63 주제별, "설교대사전 편찬위원회 주제별 설교 대사전 제 2권", 서울: 아가페, 1984
    • 64 Nolland, J., "WBC 성경주석 누가복음(상). 김경진 역. 서울: 솔로몬", (원저 1989 출판), 2003
    • 65 Young, J.E., "성격장애의 인지치료. 문성원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저 1999 출판), 2005
    • 66 김정택, "이냐시오 “영신수련” 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심성연구, 25(1), 27-64, 2010
    • 67 권준수, 이한주, 신민섭, 김중술, "자생성 강박사고와 반응성 강박사고; 임상집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57-74, 2002
    • 68 Klosko, J., Young, J.E., "S 새로운 나를 여는 열쇠. 최영민, 김봉석, 이동우 역", 서울: 열음사 (원저 1994 출판), 2009
    • 69 홍정미, "강박적 종교 성향을 가진 내담자의 기독 상담적 돌봄", 연세상담코칭연구,3, 331-353, 2015
    • 70 안경승, "성격변화와 죄에 대한 이해. ACTS 신학과 선교,8, 494-516", 아세아연학 신학대학교, 2004
    • 71 Berkhof, L., "조직신학개론. 박희석 역. 고양: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원저 1933 출판), 2010
    • 72 김필진, "기독교 상담 및 인지행동치료에서 성경과 기도의 활용", 신학과 문화, 18, 221-244, 2009
    • 73 연문희, 정승진,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p.147-167, 2000
    • 74 Butman, R. E., Jones, S. L.,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이관직 역. 서울: 대서", (원저 1991 출판), 2009
    • 75 Dunn, J., "WBC 성경주석 로마서(상). 김철, 채천석 역. 서울: 솔로몬", (원저 1988 출판), 2003
    • 76 반신환, "기독교 영성의 관점으로 살펴보는 기독교상담의 정체성",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7, 45-75, 2004
    • 77 전재현, "기독교상담에서의 성경사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대학원, 2003
    • 78 박은정, "목회자를 위한 게슈탈트 심리학 이론과 사례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61, 231-263, 2018
    • 79 김은영, "하나님 이미지와 부모 자녀 애착 관계에 대한 통합적 고찰", 가족과 상담, 2(2): 21-30, 2012
    • 80 강숙정, "새터민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증진 프로그램 개발",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81 장동진, "기독교상담에서 죄의 문제 다루기: 애도(mourning)를 통한 이해", 복음과상담, 26(2), 185-219, 2018
    • 82 류현미, "기독대학생과비기독대학생간의강박성향비교.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목회대학원, 2003
    • 83 김승완, "강박적 신념과 강박증상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84 김태영, "상담과정에서의 죄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성경과 상담, 34-51", 한국성 경적상담학회, 2005
    • 85 우충완, "오류정보처리 이상으로 인한 과도한 의심과 강박증상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86 Benner, D. G., "영혼돌봄의 이해. 전요섭, 김찬규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저 1998 출판), 2010
    • 87 권석만, 서수균, "분노조절 인지행동프로그램을 통한 이중인지매개모델의 검 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 495-510, 2005
    • 88 방윤주, "우울성향 기독교 청년을 위한 1:1 인지치료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원 대학교, 2016
    • 89 윤은아, "부부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기독교 인지행동치료.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 90 Antoni, M. H., Schneiderman, N., Ironson, G., "스트레스의 인지행동치료. 최병휘, 김원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7 출판), 2010
    • 91 강연정, "영적안녕 및 관계성숙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92 신문혜, 이지연, "초기부적응적도식과 상담기대 관계에서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6), 2143-2164, 2014
    • 93 강동근, "츠빙글리의 용서 이해와 목회상담적 함의. 총신대학교 일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94 김용수, "자각기반 인지치료 불안을 중심으로. 85회 통합학술대회 세미나자료", 서울: 한국상담학회, 2018
    • 95 이명신, "마틴루터의 영성과 이냐시오 로욜라의 영성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1998
    • 96 이순희, "도덕적, 인과적 책임감 및 불이행에 대한 책임감과 강박증상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97 McMinn, M., "죄와 은혜의 기독교상담학. 전요섭, 박성은 역.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저 2007 출판), 2011
    • 98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지도상 담, 20, 19-40", 대구: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5
    • 99 유성진,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인지행동치료,13, 389-405, 2015
    • 100 김용태., 이수미, 유희주, 배시은,, "자기부인(Self-Denial)과 자기수용(Self-Acceptance)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6(3), 229-253, 2015
    • 101 김찬규, "기독교인지행동치료-인지왜곡에 대한 기독교상담:조건적사고를 중심하여", 성경과 신학, 64, 113-136, 2012
    • 102 김홍근, "‘강박적인 삶과 긍휼의 삶’에 대한 영성 신학적, 대상관계 이론적인 조명", 복음과 상담, 11, 93-114, 2008
    • 103 이혜령, "종교성향과 강박적 성격특성이 사고-행동 융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2003
    • 104 김정민, 임선희, 이미영, "( 중년기 배우자 사별 여성을 위한 애도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인지행동치료, 13(2), 173-191, 2013
    • 105 이수진, "외로움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106 Jones, S. L., "통합적 관점 in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김찬영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원저 2010 출판), 2014
    • 107 유희주, "영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선교사 집단 심리 디브리핑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 108 황희선, "기독교적 인지행동프로그램의 개 발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 109 안석, "강박적 그리스도인에 관한 치유상담적 고찰: 정신분석 및 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31, 213-244, 2011
    • 110 Steketee, G.S., Wilhelm, S., "강박증의 인지치료(전문가용 지침서). 신민섭, 설순호, 권준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6 출판), 2008
    • 111 박복자, "강박장애 환자의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대학원, 2013
    • 112 임성문, "초기부적응도식과 만성적지연행동간의 관계: 매개변인과 경로모형의 탐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 113 민병배, "강박사고와 걱정: 침투사고 대처과정 및 관련 성격특성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 114 김정민, "여자 청소년의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2년 추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3-24, 2008
    • 115 노철우, "완벽주의가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상담방안 기독교 인지행동치료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16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 조현재, 문지혜, 이근배, 홍영근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8 출판), 2010
    • 117 Graham, J. R.,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이훈진, 문혜신, 박현진, 유성진, 김지영 역.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원저 2006 출판), 2008
    • 118 이봉남, "경계선 성격장애의 정서 중심 치료 프로그램 개발 : Young의 심리도식치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09
    • 119 Riso, L. P., "du Toit, P. L., Stein, D. J., & Young, J. E. 심리적문제의 인지도식과 핵심믿음. 김영혜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7 출판), 2010
    • 120 박병관, "이냐시오 데 로욜라의 사도적인 영성의 기원에 있어서 토마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의 역할", 종교연구, 61, 223-253, 2010
    • 121 서영석, 안하얀, "성인애착과 Young 의 단절 및 거절 도식에 따른 집단 분류와 우울, 불안 및 대인 관계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943-969, 2011
    • 122 김정원, 민병배, "걱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문제해결 방식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심리학회, 1998
    • 123 김미선, "기혼여성의 초기 부모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하나님애착의 조절 효과와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16
    • 124 손정락, 오자영, "인지행동집단치료가 사회공포증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 대인불안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3(2), 285-30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