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대안적 세계의 창의적 제시, <손천사영이록(孫天師靈異錄)> 연구 : 작품에 나타난 도술모티프를 중심으로 = Creativ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Worlds, A Study of Sonchonsayoungiro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1-324(34쪽)
제공처
본 연구는 <영이록>에 나타난 도술모티프의 복합적 양상을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영이록>은 손기가 국가 천사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다루며, 어리숙한 인물인 손기를 도교 영웅으로 만드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손기가 도술을 획득하고 활용하는 양상이 독특하게 그려진다.
<영이록>은 다양한 계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도술모티프를 활용한다. 우선 손기가 도술을 획득하는 과정에서는 출가와 이계 체험, 수학 과정이 서술된다는 점에서 단편 영웅소설과 견주어볼 수 있다. 도술을 활용하는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필 수 있는데, 손기 개인의 능력을 드러내는 것과 가문과 국가의 안정을 수호하기 위한 것이 그것이다. 전자의 경우 손기가 부리는 도술의 경이성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전우치전> 계열과, 후자의 경우 손기의 도술이 국가 권력 아래 위치한다는 점에서 한글장편소설과 비슷하다.
이처럼 <영이록>은 단편 영웅소설, 한글장편소설, <전우치전> 계열과 같이 다양한 작품에서 확인되는 도술모티프를 두루 활용한다. 도술모티프의 측면에서 보자면 <영이록>이라는 하나의 작품에서 복합적인 양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영이록>이 <소현성록>의 파생작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파생작은 작자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원작을 비평하려는 태도가 나타나는데, <영이록>의 작자 역시 자신의 의도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요소를 취사선택하여 작품을 창작한 것이다. 특히 손기가 도교 영웅으로 자리매김해가는 과정을 다양한 도술모티프를 통해 보여주는 것은 작자의 비평의도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자 도교, 내지는 도술에 대한 관심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이록>에서 도술은 우열이 나뉘는 대상으로 그려지며, 손기는 고차원의 도술을 실행한다. 이는 고차원의 도술, 나아가 도교적 질서가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업룡이 퇴치되지 못하고 도망치는 모습을 통해 도교적 질서 역시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함께 보여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영이록>이 다양한 계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도술모티프를 차용하여 <소현성록>이 보여주는 유교적 서사세계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 대안으로 도교적 서사세계를 비롯한 새로운 질서를 고민하게 하는 작품으로 이해하였다. 요컨대 <영이록>은 손기의 도술을 통해 유교적 서사세계에 균열을 만들어 내며 독자로 하여금 새로운 질서에 대해 상상하게 만드는 작품인 것이다.
This study reveals the complex aspects of the Taoist magic shown in Youngirok and examines its meaning. Youngirok deals with the process of Son-ki establishing himself as a national Taoist leader(天師) and aims to make Son-ki, an immature character, a Taoist hero. In this proces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unique description of Son-ki acquiring and using Taoist magic.
Youngirok, utilizes Taoist magic that appears in various works. First of all, it can be compared to short hero novels in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Taoist magic describes the leave, the experience of another world, and the learning process. The aspects of using Taoist magic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which are to reveal the individual abilities of Son-ki and to protect the stability of the family and the country. In the former case, it is similar to "Jeonwoochijeon" in that the wonders of Son-ki's magic are remarkable, and in the latter case, it is identical to a Korean long novel Son-ki's magic lies under state power.
In this way, Youngirok uses a wide range of magic motifs identified in various works such as short hero novels, Korean long novels, and "Jeonwoochijeon". In terms of Taoist magic, a complex aspect appears in one work. This is because Youngirok is a derivative of Sohyeonseongro. There is an attitude to criticize the original work by actively utilizing a method that meets the purpose of the author, and the author of Youngirok also selected and used elements that can express his thoughts well. In particular, the work shows the process of Son-ki becoming a Taoist hero through various magic motifs, which seems to be a means to realize the author's intention to criticize and an interest in Taoism.
On the other hand, in Youngirok, the Taoist magics are drawn as objects that are divided into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nd Son-ki performs high-level. This can be understood as showing that high-level Taoist magics can be one way to solve problems. At the same time, it also shows that Taoism is not a complete solut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Eopryong running away without being eradicat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was understood as a work that raises a problem with the Confucian narrative world shown by Sohyeonseongrok by borrowing the Taoist magic motif that appears in various kinds of works, and as an alternative, raises a problem with the Confucian narrative world, including the Taoist narrative world. In short, Youngirok is a work that creates a crack in the Confucian narrative world through the magic of Son-ki and makes the reader imagine a new orde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