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바늘 제문에 나타난 의인화와 감정의 문제 = A Study on Personification and Emotional Descriptions in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1-251(31쪽)
제공처
이 논문은 조선시대 여성이 쓴 한글 제문 중 부러진 바늘을 대상으로 한 두 편의 작품인 <조침문>과 <바날졔문이라>에 나타난 의인화와 감정 서술의 특징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조선시대 작품 중에는 부러진 바늘을 대상으로 하여 애도의 감정을 표하는 작품들이 다수 있으며, 선택한 장르 또한 제문, 민요, 가사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발견된다. 본고는 조선시대 일상 생활문화 속에서 바늘 제문을 살피기 위해 조선시대 여성 노동으로서의 바느질과 당대 조선의 바늘 생산, 청나라 바늘 가게 방균점에 대한 정보를 검토했다. 또 바늘 제문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 부러진 바늘을 소재로 삼은 민요와 가사 작품들과의 비교를 시도하고 또 고전문학에서 의인화 기법을 사용하는 대표적 장르인 한문 가전문학과 동물 우화소설에 나타난 비교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쓴 한글 바늘 제문은 부러진 바늘을 소재로 한 민요나 가사 작품에 비해 글쓴이와 부러진 바늘과의 관계가 부각되면서 바늘이 단지 바느질 도구가 아니라 지은이의 바느질 행위에 함께하는 협력자로 서술되는 특징이 드러남을 밝혔다. 또 의인화 기법의 경우 동물 우화소설의 의인화는 한 번 의인화가 되고 나면 본래 동물의 특성은 거의 잊혀지고 인간적 요소가 부여된 등장인물이 부각되는 반면 바늘 제문의 의인화는 의인화가 되었어도 그 대상이 바늘이라는 사물임이 지속적으로 환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의인화를 해도 바늘이라는 사물의 특징이 지속적으로 환기된다는 점에서 바늘 제문의 의인화 기법은 한문 가전문학에서 사물을 의인화하는 방식과 유사한데 그러나 감정 서술의 측면에서 보면 한글 제문은 바늘에 대한 지은이의 애도와 상실의 감정이 깊이 드러나는 반면 한문 가전문학의 경우에는 의인화되는 사물에 대한 지은이의 감정 투사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볼 떄 바늘 제문에 나타난 의인화 기법과 감정 서술은 특징적이다. 한글 바늘 제문에서 드러나는 이 같은 특징은 이 작품들이 인간과 사물이 관계를 맺는 방식, 사물을 대하는 인간의 시각 등 현재 중요하게 대두되는 인간중심주의 탈피의 논의와 관련하여 읽을 수 있는 단초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ification and emotional description in Jochimmun(弔針文) and Banaljemunira, two works about broken needles. These two works were written in Korean characters and by women write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the work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many works that express feelings of mourning by using broken needles as objects, and the genres chosen are also found in various genres among Jemun(祭文), folk songs, and Gasa(歌辭). In order to examine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in the daily lif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reviewed information on sewing as female labor during the Joseon Dynasty, needle production in Joseon at the time, and needle shop visited by Koreans during their envoys to Beijing.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m with folk songs and Gasa(歌辭) works that use broken needles as a subject matter, and also compares them with Gajeon(假傳) wor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animal fable novels, which are representative genres that use personification techniques i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 result,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written by women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broken needle compared to folk songs or Gasa(歌辭) works that use broken needles as the subject matter, and the needle is described as a collaborator in the author's sewing activities rather than just a sewing tool. Also, in the case of the personification technique, in the case of personification in animal fable novels, once personifie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 are almost forgotten and characters with human elements are highlighted, whereas in the personification of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even if personified, the object is a needle. The difference is that the facts are constantly being reminded. The personification technique of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is similar to the method of personifying objects in Gajeon(假傳) works in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the needle, is continuously evoked even through personification. However, in terms of emotional description, the Korean ancestral rite is similar to the author's mourning for the needle. While the feelings of loss are deeply revealed, in the case of Gajeon(假傳) works, the author's projection of emotions toward personified objects is not clearly revealed. In this respect, the personification techniques and emotional descriptions shown in the needle rites are characteristic. Thes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works mourning the needles can be said to show the beginning of how these works can be read in relation to the discussion of breaking away from anthropocentrism, which is currently emerging as important, such as the way humans and objects relationships and the human perspective toward objec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