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中宗朝 士林派의 '敎化詩' 一考 = A thinking about 'Enlightening poetry' of Sarim in the reign of JungJong
저자
조영린 (대구한의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23-356(34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is paper found out the background and the aspect of enlightening poetries by literary men of Sarim in the reign of JungJong In sixteenth centuries, the conflict of political ideology between Hungu and Sarim came to climax, and before and after the reign of JungJong there were four times of massacres of literati. Thus, it was the time that was requiring the necessity to resolve various political conflicts, stabilize the confused people and renovate customs socially. At that time, Jo Gwangjo, Kim Anguk, Kim Jeongguk, Kim Jeong, who were representatives of Sarim, stood for 'right politics of the king'(王道政治) by politics of virtue and politeness(德治, 禮治) to administrate the state to reliev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gratifying the policy of JungJong who encouraged to practice Confucianism for rectifying the misgovernment in the reign of Yeonsan and making the political situation stable through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a realization of these things, they tried to correct the education of decorum through diffusing Sohak, Geunsarok for the custom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this, through enlightening poetries, they persuaded Hungu about the complacent and absurd manners of Hungu, who had vested rights, oppressed them politically and simultaneously consoled the impoverished mind of the people. These poetries of enlightening spirits that intended to edify people and form beautiful custom(化民成俗) is regarded to need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the value as a literature of Sarim spirit that tried to overcome the evils of Hungu's unethical politics. Following this, this paper noticed to 'enlightening poetries' by the representatives of Sarim that enabled to settle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make it have intensified development in JungJong's age, took a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stinguished features of each writer's enlightening poetries;Jo Gwangjo's realization of ethical politics(道學政治) through seeking the way and thinking the reason(求道窮理), Kim Anguk's practice of duty that have to keep every day(日用彛倫) through the edcation of Sohak(小學), Kim Jeongguk's persuit of the spirit that is clean and not secular(淸逸不俗) through cultivating mind(心性修養) and Kim Jeong's manifestation of the sense of love for the people(愛民意識) through people oriented idea(民本思想). The appearance of Sarim armed with the sense of edification proves that Neo-confucianists who sought realizing Neo-confucian ideal world that was based on humanity and morality grew up to be able to lead the political discourses in Josun society. They intended to spread the ideal of Yosun age(堯舜時代) insisting the recovery of moral order for practical humanity through Sohak and the people-centered statecraft theory(經世論). The result of Sarim's edifying the rural community to have the common subjects practice Confucian thinking by utilizing means of literature called 'enlightening poetry' became an important impetus that aroused the advancement of matured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thinking that reached to the intensive stage academically by Toigye and Yulgok after that. The fact can be an opportunity to give the important meaning about the literature of this age in literary history and it has the meaning as a form of transitional literature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더보기본 논문은 조선 中宗朝 士林派文人들의 教化詩 창작 배경과 교화시의 제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6세기는 勳舊派와 士林派의 정치적 이념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여 중종조를 전후하여 네 차례에 걸친 士禍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각종 정치적 갈등을 수습하고 백성들의 혼란한 마음을 안정시키고 사회적으로 풍습을 새롭게 쇄신할 필요성이 요구되던 시기이다. 이 당시 사림파의 대표격 문인이라 할 수 있는 趙光祖·金安國·金正國·金淨 등은 연산조의 폐정을 바로잡고 왕권강화를 통한 정국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儒學의 실천을 장려한 中宗의 정책에 부응하여 經世濟民을 위한 德治와 禮治에 의한 王道政治를 標榜하였으며 이러한 至治의 실현으로 鄕俗교화를 위하여 『小學』·『近思錄』 등의 보급을 통하여 禮教를 바로잡으려 했다. 또한 교화시를 통하여 당시 기득권층인 훈구파의 안일하고 부조리한 태도에 대한 설득과 정치적 압박도 가하면서 동시에 疲弊한 백성들의 마음을 달래기도 하였다. 이러한 化民成俗의 教化精神의 시는, 부도덕한 훈구정치의 폐해를 극복하려했던 사림정신의 문학으로 그 의의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종대 성리학의 정착과 심화발전을 가능케 한 사림파의 대표적인 문인들의 '교화시'를 주목하여 공통적 특징으로 삼고 작가별 교화시의 특징을 趙光祖의 道學政治 具顯을 위한 教化詩, 金安國의 日用彛倫 實錢을 위한 教化詩, 金正國의 淸逸不俗 追求를 위한 教化詩, 金淨의 民本思想 發顯을 위한 教化詩 등으로 살펴보았다. 교화의식이 투철한 사림파 문인들의 등장은 인륜과 도덕에 기초한 性理學的 理想世界의 실현을 추구하는 사림의 성리학자들이 조선사회의 政治談論을 주도할 정도로 성장했음을 증명한다. 그들은 『小學』을 통한 실천위주의 인륜의 도덕적 질서회복과 民本위주의 經世論을 주창하며 堯舜時代의 理想鄕을 펼치고자 하였다. 사림파 문인들이 '교화시'라는 문학의 도구를 활용하여 성리학적 사유를 널리 일반백성들에게까지 실천하도록 한 鄕村教化의 성과는 후일 退溪·栗谷에 이르러 성숙한 성리학의 발전과 학문적 심화단계에 이르는 哲學的思惟의 발달을 불러일으킨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사실이 이 시대의 문학에 대하여 文學史에서의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며 性理學의 발전 단계에서 過渡期的인 문학의 형태로써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1 | 1.49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