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여성노동법제의 변화와 발전 : 2001년 이후 현재까지의 법제 변화를 중심으로 = Change and Development of W omen’s Labor Law : Focusing on the Change Since 2001
저자
박귀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7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71(35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에서는 2001년 이후 현재까지의 여성노동법제의 변화와 발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근로기준법, 고용보험법상의 규정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여성노동 관련 법령과 정책은 평등 실현, 모성보호 확대, 모성보호 이외의 특별보호 축소 등을 기본 원칙으로 하여 발전되어 왔고 특히 최근에는 자녀양육과 가족부양에 대한 사회적 보호와 책임 강화, 일·가정 양립의 지원 등을 위한 법제 변화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여성노동 관련 법제는 양적·질적으로 비약적 변화와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적극적인 간접차별 법리 적용을 위한 입법론적 보완, 특수형태고용종사자에 대한 성희롱으로부터의 보호, 고객에 의한 성희롱 문제에 대한 보완책 마련,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실효성 제고와 확대,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육아지원 규정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보완책 마련, 여성노동 관련 분쟁에 대한 자율적 분쟁해결 촉진 등이 보완·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여성인권 보호, 여성인력 활용의 필요성, 출산률 제고, 고령화 사회 극복이라는 국가적 과제가 여성노동 관련 법령 및 정책 변화의 중요한 배경이 되어 오고 있다. 향후 여성노동법제는 여성근로자의 인권 향상과 여성근로자, 남성근로자 및 그 가족이 인간답게 일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 것이지 자칫 여성이 출산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구로만 이용되는 법제 변화가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women’s labor law since 200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ncretely provisions of Act On Equal Employment and Support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Labor Standards Act and Employment Insurance Act. Legislations and policies for the Women’s labor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realization of Equality, expansion of Protection of motherhood and reduction of the another special protection only for women. Recent changes of legislations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social protec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caregiving and family balance assistance.
Korean women’s labor law shows rapid progress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nevertheless the law should be improved in regard of indirect discrimination, protection against sexual harassment for independent contractors, sexual harassment by customers or clients, affirmative action, realization of measures for supporting childcare and dispute resolution relating to women’s labor.
Since 2000 legislations for the women’s labor have been chang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protecting human rights for women, necessity of employment of women, pro-natal policies and measures against graying of society, etc. Women’s labor law should be improved from a persp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and decent labor environment for the all women, men and their family. Legislations and policies for the women’s labor should be not only means of job creation and childbirth promo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