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먼셀의 5가지 기본색상에 의한 남성과 여성의 뇌파와 감성반응 = Brainwave and Emotional Responses of Male and Females to Munsell’s Five Primary Col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7-445(9쪽)
제공처
목적: 정량화된 뇌파, 감성 반응 및 성별 간 도출된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컬러의 효과를 객관화시키고, 감성 반응을 색채 조절 중심리적 효과와 연관 지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이 결과를 통하여 색자극에 의한 인지반응이 사람의 뇌와 감정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5가지 기본 색자극에 의한 뇌파와 감성반응을 평가하였다. 뇌파는 바탕뇌파의 상대 뇌파파워 차이의 비율인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CVB)로 분석하였다. 5가지의 색은 먼셀의 표기법과 RGB값으로 표기하였다. 감성반응은 10쌍의 형용사를 제시하여 선호도(PI), 평균선호도(API), 호감도(favorability)를 평가하였다. 뇌파와 감성평가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반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5가지색상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은 남녀 모두 R, P의 자극에서 집중과 각성반응이 컸다. 이완되고 편안하게 느끼는 색상은 남녀 모두 Y 와 G의 자극이었다. 색상별 부분적으로 남녀의 감성은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비슷한 반응이었다. 컬러에 대한 호감도는 남녀모두 R이 높았고 Y와 P에 대한 호감도가 동일하게 높았다. 호감도가 높은 R컬러에 대한 집중과 각성의 β, γ파가 남녀 모두 크게 활성되었다. 남녀의 반응이 난색의 자극에서 각성이 되었고 한색의 경우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뇌파반응과 감성반응을 통하여 도출되었다. 남녀간 뇌파와 감성 결과는 비슷하게 도출되었고 컬러자극에 의한 뇌파와 감성은 민감하게 유의미하게 작용되었다. 결론: 정량화된 컬러를 바탕으로 한 뇌파와 감성 반응 결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컬러를 활용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면 색 인식이 사람의 뇌와 감정 조절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Purpose: The goal is to use quantified EEG and emotional responses to objectively assess the effects of color using gender-specific EEG data, as well as to analyze emotional responses concern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modulation.
This study intends to apply these findings in various fields. Through this, we hope to better understand how color stimuli affect cognitive responses,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EG and emotional responses to five basic color stimuli in male and females in their 20s. EE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s (CVBs), which is the ratio of the relative brainwave power difference to the baseline brainwave. The five colors were specified using the Munsell notation and RGB values. Emotional responses were evaluated using 10 pairs of adjectives to calculate the preference index(PI), average preference index(API), and favorability. The EEG and emotional evaluation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in SPSS 22.
Results: The EEG responses to the five-color stimuli revealed that both male and female experienced increased concentration and arousal with the red (R) and purple (P) stimuli. Colors yellow (Y) and green (G) caused relaxation and comfort in both genders. While male and females had different emotional responses to each color, the reactions were generally similar. Both male and females preferred the color R, while Y and P were equally popular. Color R significantly activated β and γ waves associated with concentration and arousal in both genders. Warm colors were found to elicit arousal, while cool colors induced feelings of comfort, as evidenced by EEG and emotional responses. The findings showed that EEG and emotional responses to color stimuli were similar across genders and that color had a significant and meaningful impact on brainwaves and emotions. Conclusion: The quantified findings of color-based brainwaves and emotional response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that use colors. By leveraging these findings, color perception is expecte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human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