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Lex Aquilia의 구성과 내용 =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s Deliktrechts im römischen Rech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13(29쪽)
제공처
소장기관
기원전 3세기에 제정된 lex Aquilia(Aquilius법)은 12표법 이래 물건침해를 원인으로 하는 불법행위에 관한 통일법률이다. lex Aquilia의 제정과 적용을 계기로 법학은 객관적인 ‘불법’만을 요건으로 하는 침해행위(iniuria)를 기초로 하는 고대법의 소박한 불법행위 관념과 포괄적인 구성요건을 벗어나 위법성, 고의와 과실, 손해와 인과관계를 요건사실로 하는 불법행위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lex Aquilia에서 전개된 고의와 과실이론은 특히 중세법을 거쳐 이성을 바탕으로 하는 근대민법전에서 정착하여 현행법의 과실책임의 근간을 형성하였다고 하더라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추상적 사고와 친하지 않았던 로마의 법학자들은 이러한 요건들을 구체적인 사건을 두고 개별사안 중심의 접근방식을 선호하였으므로, 근대민법전과 같은 정치한 불법행위의 이론은 찾아보기 어렵다.
더보기Für die Schädigung, die jemand durch Verletzung (oder Tötung) von Sklaven oder anderen Vermögen erleidet, trifft nach Vorläuferin in den 12 Tafelgesetz die lex Aquilia eine grundlegende einheitliche Regelung.
Das Verhalten des Täters muß durch unmittelbare körperliche Einwirkung sein und kausal für den Erfolg sein(conditio sine qua non), um ihn für einen getretenen Erfolg haftbar machen zu können. Gaius[Inst.3.219] formuliert das abstrakte Prinzip si quis corpore suo danmum dederit. Diese enge Haftungskriterion wurde alsbald durch prätorische actiones utiles bzw, in factum überwunden.
Die Tat muß sowohl iniuria, nämlich ohne Recht durch ungerechtfertiges Verhalten, als auch vorsätzlich geschehen. Bereits die republikanischen Juristen haben aus dem Gesetzeswort iniuria den Oberbegriff culpa(Verschulden) herausentwickelt, die in der klassischen Zeit wiederrum in Vorsatz und Fahrlässigkeit eingeteilt wurde. Die Verfeinerung des iniuna-Begriffs der lex Aquilia führt zu einer deutlicheren Abgrenzung zu dem Delikt iniuria, nämlich zu der bewußte Mißachtung einer fremden Persönlichkeit.
Die rechtstheoretische Entwicklungen und Erfahrungen, die durch Auslegung und Anwendung der lex Aquilia akkummuliert worden sind, bildeten Basis neuzeitlicher Zivilirechtskodofikation und damit das Deliktsrecht im unserem Gesetzbuch.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