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20~40년대 만주지역 사진자료의 분석 - 『아동인화집(亞東印畵集)』과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을 중심으로 = A Analysis Study of Photographic Materials about Manchuria in the 1920s~40s : Focusing on Atoingashu(『亞東印畵集』) and Ajiataikan(『亞細亞大觀』)
저자
주성지 (동북아역사재단)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173(51쪽)
제공처
Atoingashu(『亞東印畵集』) and Ajiataikan(『亞細亞大觀』) are photo books that the Japanese Photography Association in Dalian, China published after photographing across East Asia from the 1920s to the 1940s. The photo books contain a total of 4,700 photographs collected by adding 10 photos per month through the process of field survey, photographing and printing. These photographic materials provide the title and explanation of each photo, together with the year when it was photographed; the data can be a significant reference for the utilization of photographic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ilation, publishing and contents of the photo books to identify what purpose their publication would serve. Examining the purpose of publication will help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of Manchuria analyzed in detail in this study.
With modern technological development, photographs are actively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the history and chronology of photographic materials, and, furthermore, provide a foundation for critically utilizing them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venance.
『아동인화집(亞東印畵集)』과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은 1920~40년대 중국 대련(大連) 소재일본인 사진협회에서 동아시아 전역을 촬영하여 발간한 사진집이다. 이들 사진집은 답사 – 촬영 – 인쇄의 과정을 거쳐 매월 10장의 사진을 묶어총 4,700여 매의 사진자료를 남기고 있다. 이 사진집에는 간행연대와 사진의 제목․설명이 남아 있어서, 사진자료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전거가 될 수 있다. 본고는 이 사진집의 편찬체제, 간행방법 그리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간행의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렇게 정리한 간행목적은 구체적으로 만주지역 사진자료의 특징을 규정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은 근대적 기술발달에 의해 등장하여 사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진자료의 연혁과 계통을 밝히고, 나아가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사진자료를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