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과학적 방법론 = The Approaches of Archaeological Science in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인문·사회과학의 다른 분과와는 달리 고고학은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와 학제적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는 고고과학, 혹은 고고계측학의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과학적 방법론에 토대를 둔 이 연구 분야에서 내놓은 연대측정, 고환경, 유물의 생산기술과 산지, 동물과 식물유체의 분석을 통한 생업과 식단, 혹은 고대DNA에 관한 연구 결과는 고고학 지식의 성장에 더 없이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와 같은 과학적 방법론이 한국 고고학에 도입되어 성장해 온 과정을 살피고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성 때문에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1970년대 후반 고환경의 연구와 제작기술의 복원과 산지 추정을 위한 토기분석에서 시작된 한국에서의 고고과학 연구는 고고금속학, 동물유체의 연구로 확산되어 갔고, 화학, 지질학, 지리학, 생물학 분야의 연구자들의 참여도 있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 연대측정, 고환경과 유적입지, 고고금속학, 고고화학, 동물유체, 식물유체, 인골, 지질고고학과 잔존유기물 분석 등의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전문연구자들이 생겨났으며 연구 성과도 체계적으로 축적되기 시작했고 지금은 고고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커다란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고고과학의 연구 성과는 여전히 한국고고학의 논의에 폭넓게 확산되어 있지 않으며, 고고학자와자연과학자 사이의 학제적 토론도 그리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특히 고고과학 연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한국 고고학의 발전에 기여하려면 전문 연구자의 연구프로젝트 수행이 보장될 수 있는 제도적, 그리고 재정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더보기

    Unlike other branch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chaeology includes various fields of the archaeological science, where natural scientists and archaeologists work together to conduct a research in the interdisciplinary way. The results of archaeometric research, related to chronometric dating, palaeoenvironment, ancient technology, subsistence and diet,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archaeological knowledge. This paper was written because of the need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been introduced and grown in Korean archaeology and discuss future prospects. In the late 1970s, the archaeological science in Korea, which began with the study of paleoenvironment and ceramic analyses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and provenance, expanded to the archaeometallurgy, geoarchaeology and the analysis of faunal remains. It was not until the 2000s that the specialized researchers from each field emerged, various projects of archaeological science were carried out, and systematic research became possible. However, the results of scientific analyses are still not widely accepted in the discussion of Korean archaeology, and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between archaeologists and natural scientists is not so active. In order for the scientific approach to continue to grow and its achievemen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aeology, an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is needed to ensure the various research projects of archaeological science.

    더보기
    • I. 머리말 II. 새로운 방법의 도입과 한계 III. 과학적 접근의 영역과 연구 경향 IV. 한국 고고과학 연구의 위치 Ⅴ. 맺음말
    • 1 김민구, "화재 주거지 출토 탄화물을 통한 식량자원 구성의 복원: 해남 신금유적의 예" 한국고고학회 (71) : 46-69, 2009
    • 2 김주용, "홍천 연봉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연구" 한국고대학회 (30) : 91-123, 2009
    • 3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 4 이은, "호남지방 신석기시대 생업활동에 대한 연구 -패총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49 : 43-67, 2015
    • 5 김건수, "호남지방 고분 출토 동물유체 고찰" 호남고고학회 52 : 66-75, 2016
    • 6 김주용, "호남 제4기 퇴적의 양상과 특징" 14 : 5-25, 2001
    • 7 김재현, "함안 도항리 8호분 매장프로세스" 17·18 : 231-244, 2002
    • 8 장용준, "한반도 출토 흑요석 산지연구" 국립대구박물관 2016
    • 9 최경철, "한반도 출토 인골의 황 안정동위원소를 통해 본 선사시대 사람들의 이주와 식단 연구" 한국고고학회 (109) : 40-65, 2018
    • 10 장용준, "한반도 출토 선사시대 흑요석 원산지 연구" 한국고고학회 (111) : 8-45, 2019
    • 11 이준정, "한반도 유적 출토 飼育種개의 활용 양상에 대한 고찰 –의도적 매장, 의례적 희생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81 (81): 5-34, 2013
    • 12 이경아, "한반도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운용과 두류의 작물화 검토" 중앙문화재연구원 (15) : 41-60, 2014
    • 13 이준정, "한반도 선사·고대 動物 飼育의 역사와 그 의미" 71-89, 2012
    • 14 이동영, "한반도 문화유적지층의 지질학적 특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9) : 239-260, 1996
    • 15 조대연, "한반도 고대문화 속의 울릉도: 토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72-101, 2010
    • 16 박영철, "한국의 구석기문화 2" 探究堂 1984
    • 17 이융조, "한국고고학의 편년에 대한 한 연구" 15 : 3-43, 1977
    • 18 김나영, "한국 포타쉬 유리구슬의 조성 분류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1 (31): 255-265, 2015
    • 19 고일홍, "한국 청동기시대 이주 연구 -문제점 검토와 새로운 대안 모색-" 한국청동기학회 (25) : 4-29, 2019
    • 20 이남규, "한국 전통제철기술문화의 복원과 활용을 위한 재현실험적 연구의 기본계획" 333-350, 2015
    • 21 김건수, "한국 원시.고대의 어로문화" 학연문화사 1999
    • 22 이기길, "한국 신석기시대 질그릇의 제작 기술" 16 : 39-67, 1994
    • 23 박영철, "한국 선사시대의 자연환경 연구: 선사유적지의 층위와 고생물과의 연관을 중심으로" 14 : 3-29, 1976
    • 24 박선주, "한국 선사시대 인골연구 : 부산 아치섬 인골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76
    • 25 안승모, "한국 선사고고학의 방법론적 전망" 31-52, 2014
    • 26 김장석, "한국 방사성탄소연대 이상연대치의 선별과 검증" 한국고고학회 (107) : 124-165, 2018
    • 27 신경환,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4" 국립문화재연구소 57-76, 2008
    • 28 이남규,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4" 국립문화재연구소 5-23, 2008
    • 29 김권일, "한국 고대 철기 주조유적의 현황과 조업방식 연구 시론" 한국고고학회 (113) : 42-79, 2019
    • 30 김권일,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고고학적 연구" 학연문화사 2020
    • 31 이남규, "한국 고대 제철기술 복원 연구 1" 전통제철기술연구단 2007
    • 32 이남규, "한국 고대 제철공정의 재검토 — 중국과의 비교적 시각에서" 한국고고학회 (111) : 116-151, 2019
    • 33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분석적 연구(I)"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4) : 79-95, 1989
    • 34 강봉원, "한국 고고학연 구에 있어서 표본조사 방법의 중요성" 영남고고학회 (46) : 69-91, 2008
    • 35 허준수, "풍납토성 라-19호 출토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특성" 국립문화재연구소 45 (45): 196-213, 2012
    • 36 김헌석, "포유동물유체로 본 영남지방 중심지의 동물이용의 현황과 양상" 대한체질인류학회 33 (33): 45-55, 2020
    • 37 이철, "패턴인지법에 의한 한국산 고대 유리제품의 분류" 36 (36): 113-124, 1992
    • 38 강형태, "패턴 認知에 依한 考古學的 試料의 分類法" 3 : 1-78, 1990
    • 39 안덕임, "패총출토 동물유체" 29 : 51-75, 1993
    • 40 李俊貞, "패총 유적의 機能에 대한 고찰-생계?주거 체계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한국고고학회 46 : 53-80, 2002
    • 41 이희진, "토양을 활용한 고대 농경 복원" 91-104, 2012
    • 42 오승준, "토기의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 고대 중서부 지역의 전통 제염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493-507, 2020
    • 43 정유진, "토기 압흔을 통해 본 식물이용 연구" 211-215, 2018
    • 44 곽승기, "토기 내 잔존유기물을 활용한 한반도 선사·고대의 토기 사용과 식생활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146-159, 2019
    • 45 김민구, "탄화 밀을 이용한 작물 생산성의 이해 전남지역 마한계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68) : 4-37, 2008
    • 46 안덕임, "탄소·질소동위원소를 이용한 고대인의 식생활 연구" 6 : 135-149, 1994
    • 47 박종철, "충남 천안 백석동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 환경"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297-312, 2011
    • 48 박지훈, "충남 아산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분석 -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을 사례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4 (14): 110-125, 2011
    • 49 강소영,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 탄착물에 대한 화학적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437-444, 2013
    • 50 김주용, "춘천 금산리 갈둔 구석기유적의 형성 환경 고찰" 호남고고학회 42 : 5-30, 2012
    • 51 조대연, "초기철기시대 납-바륨 유리에 관한 고찰 - 실험 고고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회 (63) : 34-63, 2007
    • 52 안승모, "청원 소로리 토탄층 출토 볍씨 재고" 한국고고학회 (70) : 192-238, 2009
    • 53 윤호필, "청동기시대의 토지활용과 농경시스템" 61-68, 2018
    • 54 신석원, "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출토 인골을 통해 본 젠더 연구 - 매장패턴과 석검 부장양상을 중심으로 -" 영남고고학회 (78) : 43-71, 2017
    • 55 이희진, "청동기시대 실내 공간의 기능적·문화 적 측면에 대한 지질고고학적 연구" 호서고고학회 (44) : 82-109, 2019
    • 56 조남철, "철원 상사리 구석기유적 흑요석의 성분조성 및 산지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78 (78): 5-21, 2012
    • 57 김건수, "철기시대 영산강유역의 생업상 검토-자연유물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24 : 65-80, 2006
    • 58 강형태, "천 화산리고분 동검편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7 : 609-618, 2002
    • 59 조대연, "진천 삼룡리·산수리 유적 출토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고찰 –토기암석학과 주사전자현미경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2 (62): 55-84, 2008
    • 60 고민정, "진주 평거동유적 출토 식물유체" 200-206, 2012
    • 61 이상길, "진주 대평리 田作址의 구조와 의의: 어은Ⅰ지구를 중심으로" 177-204, 1997
    • 62 이희진, "지질고고학적 연구에 기초한 농경 초현기 경작 방식의 검토 -중국과 근동 및 중·북부유럽을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28) : 61-92, 2014
    • 63 이희진, "지질고고학(Geoarchaeology)의 새로운 연구 경향과 전망" 5 (5): 73-91, 2006
    • 64 박지훈, "지리적 관점으로 본 아산 용두천 유역 및 주변지역에 있어서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69-82, 2009
    • 65 최영민, "중세 제련기술 복원 실험 결과 보고" 26 : 45-63, 2020
    • 66 이철,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한국산 고고학적 유물의 특성화 연구(II):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고대 유리제품의 분류 연구" 31 (31): 567-575, 1987
    • 67 정광용,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459-465, 2010
    • 68 姜炯台, "중성자 방사화 분석에 의한 한국 고대 토기 및 자기 분류"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6
    • 69 이경아, "중국 출토 신자료의 검토를 통한 벼의 작물화에 대한 고찰" 한국고고학회 (61) : 42-69, 2006
    • 70 한국고고학회, "주거의 고고학" 2013
    • 71 이희수, "조선시대 토기의 성분분석" 15 : 215-248, 1994
    • 72 김권일, "제철유물 금속분석의 고고학적 해석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8) : 69-102, 2016
    • 73 도의철, "제철산업의 중심 중원에서 고대 제철기술을 탐구하다" 국립문화재연구소 48 (48): 148-165, 2015
    • 74 신경환, "제철복원실험 노 내 형성물의 위치별 특성" 419-432, 2015
    • 75 이기길, "제주도 신석기·청동기시대 질그릇의 산지 연구: 고산리·북촌리·원령리·상모리질그릇의 분석" 25 : 23-46, 1990
    • 76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 77 최삼용, "점말용굴 사슴과 화석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 78 박영철, "점말 용굴 발굴 보고" 연세대학교박물관 1980
    • 79 김은영, "임당유적 고분에서의 조류 대 어류의 부장양상" 172-185, 2017
    • 80 황상일, "일산충적평야의 홀로세 퇴적환경변화와 해면변동" 33 (33): 143-163, 1998
    • 81 박지훈, "인천 영종도 운서동유적그룹의 신석기시대 주거지 최적 입지환경- 지리 및 지형학적 관점에서 -" 한국지형학회 20 (20): 15-25, 2013
    • 82 박순영, "인골의 신장 추정을 통한 과거 사회의 복지수준 연구" 347-356, 2012
    • 83 박선주, "인골을 통해 본 한·중(동북부) 민족적 특성" 11 : 31-44, 2005
    • 84 김재현, "인골로 본 장송과 피장자" 123-135, 2008
    • 85 김재현, "인골로 본 고대 한일 관계사" 한국고대사학회 27 : 309-338, 2002
    • 86 신지영,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한국고고학회 (70) : 84-109, 2009
    • 87 강형태, "익산 왕궁리 유적 납유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한국상고사학회 45 (45): 31-48, 2004
    • 88 안덕임, "유기물 화학분석법을 이용한 선사시대의 식생활 패턴 기초 연구" 6 : 147-156, 1999
    • 89 김헌석, "월성 해자출토 곰뼈의 이용과 폐기에 대한 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31) : 77-100, 2020
    • 90 안소현, "월성 고환경 복원연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0-203, 2020
    • 91 이희경,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한국고고학회 (75) : 98-125, 2010
    • 92 이희경, "원삼국~한성백제기 작물의 저장, 소비, 폐기의 일양상 - 용인 고림동유적의 사례 -" 한국상고사학회 92 (92): 95-115, 2016
    • 93 이민희,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 출토 구슬류의 특성 고찰" 22 : 69-84, 2019
    • 94 황상일, "울산시 황성동 세죽 해안의 Holocene 중기 환경변화와 인간생활" 한국고고학회 48 : 35-58, 2002
    • 95 김건수, "우리나라 유적 출토 개 유체 고찰" 호남고고학회 37 : 5-26, 2011
    • 96 최삼용,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짐승잡이의 예" 檀國大學校博物館 2 : 15-36, 1986
    • 97 곽종철, "우리 나라의 선사~고대 논 밭 유구" 21-73, 2001
    • 98 양삼열, "영암 내동리 초분골 고분" 국립광주박물관 1986
    • 99 이찬희, "영산강유역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특성과 제작환경에 따른 유통범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1
    • 100 이헌종, "영산강유역 구석기 고고학과 4기지질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구석기학회 7-12, 2009
    • 101 김민구,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한국고고학회 (75) : 46-71, 2010
    • 102 전세원, "영산강 상류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 연대 재고" 영남고고학회 (79) : 63-100, 2017
    • 103 고은별,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경산 임당유적 출토 동물유존체 분석자료집 I:포유류·조류"
    • 104 이창희, "연대측정학을 통해 본 고대 경주의시간" 66-81, 2021
    • 105 황재훈, "연대측정학을 통해 본 고대 경주의 시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영남고고학회 66-81, 2021
    • 106 김나영,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205-216, 2012
    • 107 남상원, "실험 고고학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 제작기술 연구" 백제학회 (12) : 5-34, 2014
    • 108 유혜선,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주칠토기(朱漆土器)의 과학적(科學的) 분석(分析)(II)" 2 : 69-76, 2000
    • 109 신숙정,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의 성격" 14 : 7-93, 1993
    • 110 이경아, "신석기시대 남강유역 식물자원 이용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회 (56) : 5-42, 2011
    • 111 김헌석, "식성분석을 통한 영남지방 집돼지 사육의 시작과 존재양상" 한국고고학회 (84) : 4-29, 2012
    • 112 신지영, "식생활 복원을 통해 본 조선시대 중·후기 사회경제사의 일면 - 호남 지역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97) : 208-231, 2015
    • 113 김민구, "식물자료를 이용한 농업연구" 15-32, 2012
    • 114 정유진,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한국상고사학회 69 (69): 19-38, 2010
    • 115 김민구, "수렵채집사회 거주 유적 출토 식물상의 통시적 변화와 변화 요인의 해석-일본 산나이마루야마 유적의 예" 한국고고학회 (64) : 4-33, 2007
    • 116 강형태, "수동유적 움무덤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조성" 호남고고학회 18 : 123-132, 2003
    • 117 김은아, "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6 (36): 405-420, 2020
    • 118 이동영, "선사유적지층의 형성시기와 고환경해석을 위한 지질연구" 521-546, 1994
    • 119 이경아, "선사시대 팥의 이용 및 작물화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75 (75): 169-187, 2012
    • 120 안승모, "선사 농경 연구의 새로운 동향" 사회평론 270-301, 2009
    • 121 신지영, "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호남고고학회 48 : 103-125, 2014
    • 122 김재현, "석당뮤지엄 발굴 늑도유적 인골의 형질적 특징" 석당학술원 (79) : 5-20, 2021
    • 123 신숙정, "상노대도 조개더미유적의 토기연구" 28 : 211-272, 1984
    • 124 성형미,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영남지역자료를 중심으로-" 부산고고학회 (13) : 71-87, 2013
    • 125 兪炳一, "사슴(鹿)의 捕獲ㆍ解體ㆍ利用에 대한 試論 -南海岸의 原三國時代 貝塚資料를 中心으로-" 영남고고학회 33 : 43-70, 2003
    • 126 박재형, "비파괴 분석을 통한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연구" 35 : 5-23, 2014
    • 127 박선주, "부산 아치섬(조도) 인골에 대하여" 22 : 83-126, 1977
    • 128 신지영,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식생활 양상" 한국분석과학회 26 (26): 387-394, 2013
    • 129 김민구, "보성 금평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토기의 압흔 연구" 호남고고학회 34 : 131-143, 2010
    • 130 김규호, "베트남 옥 에오(Oc Eo)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재질 및 특성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49 (49): 158-171, 2016
    • 131 박지훈, "백제도성에 관한 자연지리학 연구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지형학회 31 (31): 69-82, 2014
    • 132 권오영, "백제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조성을 통해 본 수입과 유통" 중부고고학회 16 (16): 39-70, 2017
    • 133 김장석,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99-144, 2008
    • 134 이남규,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275-313, 2008
    • 135 조대연,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67-71, 2008
    • 136 이희경, "백제 국가 형성에 따른 중부지방의 농업 양상의 변화" 한국고고학회 (103) : 4-41, 2017
    • 137 윤호필, "밭유구 조사법 및 분석방법" (사)한국문화유산협회 (1) : 33-72, 2006
    • 138 이철, "방사화분석에 의한 한국산 고대토기의 분류" 21 : 41-46, 1977
    • 139 이영선,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불확실성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한국통계학회 28 (28): 371-383, 2015
    • 140 황재훈, "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92 (92): 117-149, 2016
    • 141 김장석,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원삼국시대 - 삼국시대 토기편년—중부, 호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0) : 46-85, 2016
    • 142 이창희,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皇南大塚南墳과 須惠器의 실연대 -방사성탄소연대의 적용방법과 타당성 재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9) : 51-84, 2012
    • 143 이융조, "방사성탄소 연대측정과 한국의 선사시대 편년문제: H. E. Suess 이론을 중심으로" 68 : 53-92, 1977
    • 144 고은별, "발 없는 70마리의 새: 임당고총고분 조류 부장의 원칙과 의미" 186-196, 2017
    • 145 윤순옥, "밀양 금천리의 홀로세 후기 환경변화와 농경활동" 한국고고학회 56 : 27-48, 2005
    • 146 안덕임, "미량원소분석을 이용한 고남리 및 대죽리유적의 식생활 복원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53 (53): 23-42, 2006
    • 147 안덕임, "미량원소(Ba, Sr, Zn) 분석법을 이용한 연대도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고식생활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66 (66): 5-26, 2009
    • 148 이철, "미량성분원소의 분석에 의한 한국 토기 및 자기의 분류 연구" 3 (3): 12-18, 1981
    • 149 조남철, "미량성분 및 스트론튬(Sr)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한반도 흑요석제 석기의 산지추정" 한국상고사학회 53 (53): 5-22, 2006
    • 150 안덕임, "물고기유체와 고고학: 안면도 고남리 패총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4) : 97-114, 1993
    • 151 김재현, "몽골 · 우즈벡과의 형질 비교를 통해 본 예안리 인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3 (23): 1-22, 2013
    • 152 한국고고학회, "마을의 考古學" 1994
    • 153 신숙정, "리나라 신석기문화 연구경향" 20 : 149-182, 1993
    • 154 안승모, "두류재배 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19 (19): 24-33, 2002
    • 155 김주용, "동해안 중부의 해안단구 형성 환경과 지질고고학의 적용" 8 : 1-11, 2003
    • 156 김헌석, "동위원소로 본 동래패총인의 식생활과 가축사육" 부산고고학회 (16) : 33-49, 2015
    • 157 이기길, "동삼동유적에서 나온 신석기시대 덧문지른무늬토기의 연구(II) - 바닥흙과 구운 온도의 과학분석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6) : 23-46, 1990
    • 158 李俊貞, "동물 자료를 통한 유적 성격의 연구- 동삼동 패총의 예 -" 한국고고학회 50 : 5-30, 2003
    • 159 홍종욱, "도.토기의 과학적 분석 연구-충청 남.북도, 강원도 토기 도요지 중심으로" 24 : 99-130, 2003
    • 160 이찬희, "대형옹관 성분분석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2
    • 161 윤혜수, "대전시 유성구 장대지역 홀로세 하성 퇴적층에서 산출된 화분분석" 12 : 99-109, 1998
    • 162 김종찬, "대구월성동 흑요석 원산지 및 쓴자국 분석" 국립대구박물관 2016
    • 163 한국고고학회, "농업의 고고학" 2012
    • 164 윤호필, "농경으로 본 청동기시대의 사회" 3 : 4-25, 2010
    • 165 강형태, "논산시 원북리 토광묘유적 출토 청동기의 과학분석" 한국상고사학회 39 : 19-30, 2003
    • 166 강형태, "납동위원소비법에 의한 영광 수동유적 청동기의 산지추정" 호남고고학회 15 : 7-18, 2002
    • 167 李俊貞, "남해안 신석기 시대 생계 전략의 변화 양상 - 패총 출토 동물 자료의 새로운 해석 -" 한국고고학회 48 : 59-92, 2002
    • 168 이정철, "남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편년 연구 - 하안단구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1 (11): 5-24, 2012
    • 169 이준정, "꿩 대신 닭?: 고분 부장 동물유존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86-196, 2017
    • 170 박영아, "김제 청도리 동곡마을 도요지 출토 도자기의 고고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131-147, 2017
    • 171 정광용, "금강유역 세형동검의 과학분석 ( 1 ) - 청원 문의면 수습 세형동검" 7 : 571-583, 2002
    • 172 김규호, "구슬 및 유리 장신구에서의 대외교류" 부산대학교 문화유산보존연구소 97-108, 2018
    • 173 권학수, "구석기시대 동물뼈 해석의 방법론적 고찰" 38 : 1-26, 1998
    • 174 강형태, "고창 만동유적(8호 및 9호묘) 유리구슬의 특성" 호남고고학회 21 : 73-87, 2005
    • 175 이희진, "고성 문암리 유적의 토양분석과 신석기시대 경작지에 대한 소고" 한국신석기학회 (40) : 27-61, 2020
    • 176 신석원, "고령 지산동 44호분 순장곽의 매장패턴 연구 –인골과 부장품의 위치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88) : 120-156, 2013
    • 177 유혜선, "고대토기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의한 분류" 17 : 521-550, 1994
    • 178 권오영,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회 85 (85): 135-160, 2014
    • 179 김권일, "고대 큰대장간의 노 구조 및 조업방식 복원 시론 —경주 황성동・밀양 임천리 제철유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3) : 76-111, 2017
    • 180 강형태, "고대 청동기의 과학적 분석(Ⅰ): 미륵사지·경주유적의 출토품을 중심으로" 26 : 33-48, 1997
    • 181 김권일, "고대 제철복원실험의 철 제련로 구조복원과 조업 매뉴얼" 333-350, 2015
    • 182 김권일, "고대 단야공정의 실험고고학적 연구" 호서사학회 (89) : 199-242, 2019
    • 183 복천박물관, "고고학의 새로운 지향" 2000
    • 184 박순영, "고고학유적 출토 인골을 통한 선사-근대 생활사 연구" 313-325, 2003
    • 185 이경아, "고고학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과학기술의 응용문제: 식물유체 복원법의 발달과 식물규소체 분석의 고고학적 의의" 6 : 21-47, 1999
    • 186 이진주, "고고학에서의 층: 이론·해석·적용" 진인진 2012
    • 187 신숙정, "고고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 토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9) : 271-281, 1996
    • 188 최몽룡, "고고학과 자연과학: 토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 189 강형태, "고고자료의 자연과학 응용" 국립문화재연구소 (36) : 241-266, 2003
    • 190 김태호, "고고유전학의 분석 원리와 최근 고유전체 연구 동향" 대한체질인류학회 31 (31): 105-119, 2018
    • 191 신숙정, "고고과학의 어제, 오늘과 내일" 71-281, 2021
    • 192 김동윤,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한국상고사학회 74 (74): 115-131, 2011
    • 193 윤호필, "경작유구를 통해 본 경지이용방식의 변천 연구" 51-69, 2012
    • 194 김규호, "경상북도 상주 성동리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연구" 16 : 104-109, 2004
    • 195 장상수, "경산지역 고분 출토 인골의 분석: 조영 1A지역을 중심으로" 23 : 111-161, 1996
    • 196 정상수, "경산 임당유적 G지구 출토 인골의 親緣 系統樹에 대하여" 신라사학회 (24) : 159-192, 2012
    • 197 이준정,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성격 연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68) : 128-155, 2008
    • 198 김효선, "경남 함안 묘사리 식물규소체 분석과 농경가능성" 25 (25): 39-48, 2011
    • 199 권윤미, "경남 사천 늑도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특성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 : 105-117, 2007
    • 200 안승모, "개미와 종자" 129-149, 2010
    • 201 성형미, "강원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87 (87): 97-117, 2015
    • 202 東村武信, "鰲山里遺蹟" 서울大學校博物館 69-73, 1984
    • 203 안덕임, "魚類耳石을 利用한 季節性硏究 -참조기 耳石의 成長線分析을 中心으로-" 한국고고학회 (76) : 5-22, 2010
    • 204 이준정, "飼育種 돼지의 韓半島 出現 時點 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 意味" 한국고고학회 (79) : 131-174, 2011
    • 205 한국고고학회, "韓國의 貝塚文化" 1992
    • 206 이성주, "韓國考古學의 起源論과 系統論" 한국고고학회 (102) : 128-163, 2017
    • 207 한국고고학회, "韓國考古學에 있어서 科學的 分析의 檢討" 1988
    • 208 성형미, "韓國考古學 編年硏究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한국고고학회 55 : 5-34, 2005
    • 209 김정기, "韓國竪穴住居址考(二)" 3 : 1-52, 1974
    • 210 김정기, "韓國竪穴住居址考(一)" 1 : 31-60, 1968
    • 211 최몽룡, "韓國上古史" 民音社 1989
    • 212 허문회, "韓國 裁培稻의 起源과 傳來" 27-30, 1991
    • 213 최몽룡, "韓國 考古學에 있어서 土器의 科學分析에 대한 檢討" 1 : 1-35, 1988
    • 214 전영래, "韓國 稻作農耕의 起源과 傳播" 31-48, 1991
    • 215 최성락, "韓國 磨製石鏃의 考察" 12 : 157-212, 1982
    • 216 최은주, "韓國 曲玉의 연구" 4 : 1-150, 1986
    • 217 윤동석, "韓國 古代鐵器의 CMA와 EPMA에 의한 硏究" 17·18 : 91-106, 1985
    • 218 李仁淑, "韓國 古代 유리의 考古學的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1
    • 219 손명조, "韓國 古代 鐵器文化 硏究" 진인진 2011
    • 220 노태천, "韓國 古代 冶金技術史 硏究" 학연문화사 2000
    • 221 윤동석, "韓國 初期鐵器遺物의 金屬學的 硏究" 高麗大學校出版部 1984
    • 222 윤동석, "韓國 初期鐵器時代에 土壙墓에서 出土된 鐵器遺物의 金屬學的 考察" 13 : 97-133, 1982
    • 223 한국고고학회, "韓國 先史稻作農耕의 諸問題" 1991
    • 224 심봉근, "韓國 先史稻作農耕" 9-25, 1991
    • 225 김건수, "韓半島의 原始·古代漁業" 20 : 7-101, 1995
    • 226 권오영, "韓半島에 輸入된 琉璃구슬의 變化過程과 經路 -初期鐵器~原三國期를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37) : 38-69, 2017
    • 227 안승모, "韓半島 靑銅器時代의 作物組成-種子遺體를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8 : 5-50, 2008
    • 228 한영희, "韓半島 中西部地方의 新石器文化" 5 : 17-108, 1978
    • 229 손명조, "韓半島 中·南部地方 鐵器生産遺蹟의 現狀" 22 : 75-111, 1998
    • 230 최몽룡, "閔錫泓박사회갑기념논문" 삼영사 679-706, 1985
    • 231 최몽룡, "閔錫泓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697-706, 1985
    • 232 金子浩昌, "金海 水佳里 貝塚" 釜山大學校博物館 223-291, 1981
    • 233 이창희, "郡谷里貝塚의 年代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 小考 -영남고고학의 입장에서-" 영남고고학회 (68) : 4-29, 2014
    • 234 김건수, "郡谷里貝塚出土 반지락의 季節性 檢討" 23 : 79-93, 1996
    • 235 김건수, "貝塚 硏究 方法論 검토" 8 : 99-112, 2004
    • 236 임효재, "西海岸地域의 櫛文土器文化: 編年을 中心으로" 14·15 : 1-18, 1983
    • 237 황상일, "蔚山太和江中·下流部의 Holocene 自然環境과 先史人의 生活變化" 43 : 67-112, 2000
    • 238 최몽룡, "考古學硏究方法論" 서울대학교출판부 61-129, 1998
    • 239 신숙정, "考古學硏究方法論" 서울대학교출판부 203-255, 1998
    • 240 이청규, "細形銅劍의 型式分類 및 그 變遷에 對하여" 13 : 1-37, 1982
    • 241 안승모, "種子와 放射性炭素年代" 한국고고학회 (83) : 152-204, 2012
    • 242 윤무병, "無文土器型式分類試攷" 39 : 5-41, 1975
    • 243 최몽룡, "渼沙里" 渼沙里先史遺蹟發掘調査團 1994
    • 244 곽종철, "沖積地遺蹟·埋沒 논의 조사법 소개(下)" 25 : 247-279, 1997
    • 245 곽종철, "沖積地遺蹟·埋沒 논의 조사법 소개(上)" 24 : 193-250, 1997
    • 246 이경아, "植物考古學에 適用되는 土壤試料크기의標準化및 種子遺體密度의 相對比較法: 南江댐 水沒地區靑銅器時代遺蹟出土種子遺體를 중심으로" 한국청동기학회 (10) : 4-21, 2012
    • 247 안승모, "栽培麥類의 起源과 傳播 -近東에서 中國까지-" 한국고고학회 55 : 35-76, 2005
    • 248 안승모, "東아시아 先史時代의 農耕과 生業" 학연문화사 1998
    • 249 김재현, "東海市湫岩洞B地區古墳群의 埋葬과 副葬行爲" 동아시아문물연구소 02 (02): 27-49, 1998
    • 250 최몽룡, "新羅·伽耶土器의 生産과 分配에 關한 硏究" 18 : 157-207, 1995
    • 251 강형태, "新羅·伽耶土器 産地推定 硏究」, 『韓國考古學에 있어서 科學的分析의 檢討" 15-31, 1988
    • 252 최성락, "放射性炭素測定年代 問題의 檢討: 理論的 檢討 및 그 活用方法에 대하여" 13 : 61-95, 1982
    • 253 이창희,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II) –考古學的 活用과 適用事例–" 한국고고학회 (81) : 269-291, 2011
    • 254 하대룡, "慶山 林堂遺蹟 新羅 古墳의 殉葬者 身分 硏究 -出土 人骨의 미토콘드리아 DNA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고고학회 (79) : 175-204, 2011
    • 255 이성주, "慶北大學校考古人類學科30周年紀念考古學論叢" 慶北大學校出版部 269-311, 2011
    • 256 오지영, "平澤地區 土炭의 花粉 分析" 1 : 124-134, 1976
    • 257 최삼용, "孫寶基博士停年紀念考古人類學論叢" 지식산업사 227-274, 1988
    • 258 황상일, "大邱盆地의 先史 및 古代 人間生活에 미친 Holocene 自然環境變化의 영향" 41 : 1-36, 1999
    • 259 이희진, "土壤分析을 통해 본 韓半島 初期 水田農耕의 일면" 한국고고학회 (82) : 84-113, 2012
    • 260 이경아, "古民族植物學의 硏究方向과 韓國에서의 展望" 23 : 61-89, 1998
    • 261 최병현, "古新羅積石木槨墳硏究: 墓型과 그 性格을 中心으로" 31 : 1-84, 1980
    • 262 이인숙, "古新羅期 裝身具에 대한 一考察" 62 : 35-73, 1974
    • 263 이남규, "南韓 初期鐵器 文化의 一考察: 特히 鐵器의 金屬學的 分析을 중심으로" 13 : 39-59, 1982
    • 264 이창희, "勒島甕棺의 實年代와 海洋리저버效果" 한국고고학회 (75) : 72-97, 2010
    • 265 이성주, "初期鐵器時代와 原三國時代 考古學 資料의 認識 : 지역별 주거유적의 토기군과 자료의 공백" 중부고고학회 15 (15): 5-41, 2016
    • 266 이선복, "全谷里" 文化財硏究所 1983
    • 267 이준정, "作物섭취량 변화를 통해 본 農耕의 전개 과정 –한반도 유적 출토 人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3 (73): 31-66, 2011
    • 268 윤동석, "中國封建社會 前期鋼鐵冶鍊技術發展의 硏究" 10‧11 : 79-108, 1981
    • 269 안승모, "上芳村 炭化穀物의 經濟的 解釋" 한국상고사학회 54 (54): 81-114, 2006
    • 270 이성주, "三國時代 前期 土器의 硏究: 嶺南地方出土 土器를 中心으로" 1 : 93-187, 1988
    • 271 이융조, "三佛 金元龍敎授 停年退任記念論叢" 一志社 1987
    • 272 이동희,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호남고고학회 35 : 47-79, 2010
    • 273 Lucas, G., "Writing the Past: Knowledge and Literary Production in Archaeology" Routledge 2019
    • 274 Bumcheol Kim, "Warm-and-Humid or Cold-and-Dry?: A Climate Archaeological Approach to Korean Prehistoric Sociocultural Development"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39 : 4-31, 2018
    • 275 Atalay, S. L., "Transforming Archaeology:Activist Practices and Prospects" Left Coast Press 2014
    • 276 Kristiansen, K., "Towards a new paradigm? The third revolution and its possible consequences in archaeology" 22 : 11-71, 2014
    • 277 정혜경, "Topographical Environment Study of Haman Seongsan Fortress by Using Microtopograph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9 (29): 69-84, 2019
    • 278 Seungki Kwak, "The use of soil samples for understanding ancient human activities: focusing on the organic residues"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48 : 4-27, 2021
    • 279 Hun Suk Kim, "The study of boar domestication from Jongdalri site in Jeju island"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22 : 47-64, 2018
    • 280 Waksman, Y., "The Oxford Handbook of Archaeological Cera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48-161, 2017
    • 281 SUNGJOO LEE, "The Anti-Anthropocentrism in the Recent Theoretical Archaeology" The Yeongnam Archaeological Society (85) : 21-53, 2019
    • 282 Seungki Kwak, "Subsistence strategy, pottery use, and the role of animal hunting during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Korean peninsula."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40 : 4-27, 2018
    • 283 Hea Kyung JUNG, "Study of paleoclimatic environmental change around Haman Seongsan Fortress in Mt. Jonam, Using Magnetic susceptibility analysis of Sedi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5 (25): 316-325, 2019
    • 284 Heejin Lee, "Soil Micromorph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Living Floors and U-shaped Black-colored Deposits of Bronze Age Songgukri Type Houses: Case Study of the Dongsandong site, Jeonju"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48 : 28-50, 2021
    • 285 Deogim An, "Seasonality of shellfish gathering using oxygen isotope analysis of Crassostrea gigas from the Gagok-ri shell midden site, Dangjin" The Malacological Society of Korea 30 (30): 1-8, 2014
    • 286 김규호, "SEM-EDS를 이용한 경남 김해 양동리 출토 유리구슬의 분석 고찰" 7 (7): 23-30, 1998
    • 287 Sohyeon Ahn, "Reconstructing the Vegetation History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Silla Capital Using Pollen Analysis"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117 : 71-103, 2020
    • 288 Hea Kyung Jung, "Possibility of Paleoclimatic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Influence around Haman Seongsan Fortress"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8 (8): 71-78, 2019
    • 289 김민구, "Plant Agency and the Domestication of Prehistoric Korea"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74 (74): 99-133, 2017
    • 290 Meltzer, D., "Paradigms and the Nature of change in archaeology" 44 : 644-657, 1979
    • 291 문영롱, "Pala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f the Lower Reaches of Ganggyeongcheon Using Pollen Analysis"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63-94, 2012
    • 292 Lucas, G., "Mobility of theory" 23 : 13-32, 2015
    • 293 Killick, D., "Material Evidence: Learning from Archaeological Practice" Routledge 159-172, 2015
    • 294 Daeyoun Cho, "Iron production and the function of the tuyere in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39 : 128-149, 2018
    • 295 김나영,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yellow, green and foil glass beads excavated from King Muryeong's Tomb in Gongju" The Institute of Paekche 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1 (1): 83-109, 2011
    • 296 Abadía, O. S., "Interdisciplinarity and Archaeology :Scientific Interaction in Nineteenth- and Twentieth-century Archaeology" Oxbow 203-223, 2021
    • 297 Chang Hee Lee, "Guidance of the radiocarbon dating in excavation of sites"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24 : 45-71, 2019
    • 298 Seung ki Kwak, "Food processing, pottery use, and the role of intensive agriculture in the Early Bronze Ag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95 : 55-78, 2017
    • 299 Minkoo Kim, "Fermented Soybean and Foodways of the Three-Kingdoms Period"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100 : 165-187, 2018
    • 300 우은진,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Sex and Age Estimates of Archaeological Skeletal Remains"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37-51, 2015
    • 301 Habu, J., "Evaluating Multiple Narratives: Beyond Nationalist, Colonialist, Imperialist Archaeologies" Springer 2008
    • 302 Kristiansen, K., "Europe before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 303 VanPool, C. S., "Essential Tensions in Archaeological Method and Theory" The University of Utah Press 1-4, 2003
    • 304 Jihoon Park, "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Fortification of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from the Pollen Analysis" Konkuk University Climate Research Institute 11 (11): 331-341, 2016
    • 305 Siapkas J., "Debating Archaeological Empiricism: the Ambiguity of material Evidence" Routledge 1-10, 2015
    • 306 Thomas, J., "Debating Archaeological Empiricism: the Ambiguity of material Evidence" Routledge 11-31, 2015
    • 307 이준정, "DNA 분석을 통한 백제 葬法의 연구-완주 은하리 고분 출토 인골의 예 -" 한국고고학회 (61) : 70-92, 2006
    • 308 Na-Young Kim,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Red Brown Glass Beads Excavated in Korean Peninsula"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29 (29): 279-286, 2013
    • 309 Min-hee Lee, "Changing Process of the Glass Beads from Osan Sucheong Site in Gyeonggi‐do, Korea"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33 (33): 331-344, 2017
    • 310 우은진, "Burial type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 in the Joseon Dynasty, Korea"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139-162, 2011
    • 311 Jina Heo, "Bead Maritime Trade and Changes in Political Landscape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106) : 51-79, 2019
    • 312 Killick, D., "Archaeometallurgy: The study of preindustrial mining and metallurgy" 41 : 559-573, 2012
    • 313 Hauptmann, A., "Archaeometallurgy: Materials Science Aspects" Springer 2020
    • 314 Thornton, C. P., "Archaeometallurgy in the 21ts Century" 41 : 173-187, 2012
    • 315 Roberts, B. W., "Archaeometallurgy in Global Perspective: Methods and Syntheses" Springer 2014
    • 316 Hodder, I., "Archaeology beyond Dialogue" The University of Utah Press 2003
    • 317 Alberti, B., "Archaeologies of ontologies" 45 : 163-179, 2016
    • 318 Hodder, I., "Archaeological Theory Today" Polity 1-13, 2002
    • 319 Moore, J. A., "Archaeological Hammers and Theories" Academic Press 1-13, 1983
    • 320 최몽룡, "Analysis of ‘Plain Coarse Pottery’ from Cholla Province, and the Implication for Ceramic Technology and so-called ‘Yeongsan River Valley Culture Area’" 10·11 : 261-276, 1981
    • 321 김민구, "An archaeobotanical investigation on the beginning of rice agriculture in Gimpo, Korea"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5-27, 2019
    • 322 Price, T. D., "An Introduction to Archaeological Chemistry" Springer 2012
    • 323 Kyung Min Nam, "An Analysis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Low‐grade Celadons Excavated at Noksan dong, Busa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34 (34): 345-358, 2018
    • 324 정상수, "A study on the Average Lifespan of the Tomb owner from Yimdang site, Gyeongsan and Yeanri site, Gimhae"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27-52, 2015
    • 325 이정철, "A Study on the Sandy Gravel Layer(Artifacts layer) of the Main Paleolithic Sites in the Lower Han River Area"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39-62, 2016
    • 326 신경환, "A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of Stone Build Type Iron Manufacture Furnace"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75-110, 2015
    • 327 유병일, "A Study on the Methods of Catching Fish and Marine Mammals - With focus on the shell midden material of the Yeongnam region dating to the Samhan and Three Kingdoms Period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37-70, 2012
    • 328 고경신,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I): Comparison of Punch’ŏng with Koryŏ Ware and Chosŏn Whiteware"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75-90, 2011
    • 329 고경신,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 Chosŏn Whiteware"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61-74, 2011
    • 330 고경신,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 Celadon and Koryŏ Whiteware"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213-228, 2010
    • 331 정상수, "A Reasoning about the Migration through on stable isotopic analysis of Human Skeletons from the Sunhung(順興) Mural Tomb, Korea" Institute of Youngnam Culture null (null): 283-306, 2017
    • 332 Sung-rak Choi, "A Critical Review to “About the Archaeological Record of the South Korean Proto-Historic Period”"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18 (18): 67-81, 2019
    • 333 유병일, "A Consideration on Practices of Dissection, Cookery, and Consumption through Fish Bones - With focus on material from shell middens dating to the Samhan and Three Kingdoms period located along the east and south coast-"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null (null): 177-217, 2009
    • 334 한국고고학회, "21세기 한국고고학의 방향"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